• 제목/요약/키워드: NT-proBNP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7초

가와사끼병에서 진단적 지표로서의 NT-proBNP (NT-pro BNP : A new diagnostic screening tool for Kawasaki disease)

  • 이현주;김희정;김혜순;손세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5호
    • /
    • pp.539-544
    • /
    • 2006
  • 목 적 : 가와사끼병의 진단 지표로서 NT-proBNP의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가와사끼병을 진단 받은 환아 58명에서 발병 10일 이내 급성기에 전기화학발광면역법(Electrochemiluminescence immunoassay)를 이용하여 NT-proBNP를 측정하였고, 그 중 51명에서 회복기(발병 60에서 81일 이내)에 NT-proBNP 값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가와사끼병과 임상적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급성 열성 질환이 있는 환아 34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NT-proBNP를 측정하여 가와사끼병 환자군과 비교하였다. 또한 가와사끼병 급성기에 심장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심낭삼출과 관상동맥 병변의 여부를 확인하였고 좌심실 확장기말 내경(LVIDd)과 수축기말 내경(LVIDs), 좌심실 구출율(LVEF)과 좌심실 단축율(LVSF)을 측정하여 NT-proBNP 측정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가와사끼병과 다른 질환의 감별진단을 위해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를 이용하여 NT-proBNP의 cutoff value를 구하였다. 결 과 : 가와사끼병 급성기 NT-proBNP 측정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1,501.6{\pm}2,132.6$ vs. $139.0{\pm}88.8pg/mL$, P<0.0001). 51명의 가와사끼병 환자군에서 NT-proBNP 값은 급성기에 증가하고 회복기에 크게 감소하였다($1,466.0{\pm}2,173.2$ vs. $117.5{\pm}95.5pg/mL$, P<0.0001). 가와사끼병의 감별진단을 위한 NT-proBNP의 cutoff value를 260 pg/mL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 93%, 특이도 88%를 보였다. NT-proBNP는 심낭삼출이 있는 환아에서 심낭삼출이 없는 환아에 비해 높았다($1,784.2{\pm}1,903.1$ vs. $1,384.4{\pm}2,232.6pg/mL$). 관상동맥 병변이 있는 환아(n=3)가 적어 NT-proBNP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NT-proBNP 측정치와 LVEF index(r=0.104, P=0.46) 및 LVIDd index(r=0.171, P=0.22)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NT-proBNP는 가와사끼병 급성기에 크게 증가하며 회복기에 감소한다. NT-proBNP >260 pg/mL일 때 가와사끼병을 강력히 의심할 수 있으며, NT-proBNP는 가와사끼병을 진단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개의 만성 이첨판 폐쇄부전증 환자군에서 혈장 NT-proBNP 농도 평가연구 (Evaluation of Plasma NT-proBNP Concentration in Dogs with Chronic Mitral Valve Insufficiency)

  • 이승곤;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51-158
    • /
    • 2013
  • 본 연구는 개의 이첨판 폐쇄부전증(CMVI) 환자군에서 혈장 NT-proBNP농도를 평가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CMVI에 이환된 50마리와 건강한 대조군 7마리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심초음파 검사와 혈중NT-proBNP농도를 측정하였다. 심부전의 심하기에 따라 분류된 환자군에서 측정된 NT-proBNP농도와 심초음파 인덱스의 상호관련성을 평가하였다. 혈중 NT-proBNP 농도는 심부전의 심하기에 따라 상승하였다. 또한 심초음파 인덱스중 left atrium/aorta (LA/AO), early diastolic transmitral flow (E) velocity, late diastolic transmitral flow (A) velocity, end diastolic volume index (EDVI) 등과 밀접한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이첨판 폐쇄부전증 환자의 예후를 평가하는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첨판 패쇄부전증에 이환된 개에서 NT-proBNP농도, 비만, 당 관련 인자 및 지방 관련인자간에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NT-proBNP and Obesity, Glucose and Lipid Profiles in Dogs with Chronic Mitral Valve Insufficiency)

  • 이승곤;남효승;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1-276
    • /
    • 2012
  • 사람에 연구에 따르면 심부전 진단에 널리 사용되는 NT-proBNP농도는 비만, 비만 관련인자들과 밀접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관관계는 아직까지 수의분야에서는 입증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정도의 이첨판 패쇄부전증(CMVI)에 이환된 73마리 개 집단에서 NT-proBNP와 비만 및 비만 관련인자들간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절식시 혈당 농도, 지방관련 인자(i.e., total triglycerides [TG], total cholesterol [TC],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fructosamine, insulin 및 NT-proBNP 농도를 측정하였다. Insulin/glucose ratio 역시 계산하였다. NT-proBNP 농도는 CMVI에 의한 심부전의 정도에 따라 농도변화가 관찰되었으며, body condition scores (BCS), insulin 및 fructosamine 농도와도 관련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비만과 혈중 NT-proBNP농도 간에 상관관계 역시 확인되었다. 또한 NT-proBNP농도는 비만과 관련 있는 인자인 fructosamine과 insulin농도와도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개에서 NT-proBNP농도와 비만 정도와 상관관계를 입증한 첫 보고이다.

경기도 일개 종합병원에서 Pro-Brain Natriuretic Peptide와 통상적 혈액검사 인자간의 상관성 조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and Routine Blood Test Factors at a General Hospital in Gyeonggi-do)

  • 박동엽;김상수;성현호;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72-18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N-말단 프로-뇌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NT-proBNP)의 결과와 통상적인 혈액검사와의 상관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NT-proBNP는 심부전의 병태 생리학에 관여한다. 본 연구결과는 연령과 NT-proBNP의 관계는 양의 상관관계(r=0.16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NT-proBNP 농도는 총 단백질(r=-0.250)과 알부민(r=-0.270)은 음의 상관관계, 적혈구수와 혈색소 그리고 적혈구 용적률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난 결과로 나타났다(P<0.01). NT-proBNP는 호중구와 양의 상관관계(r=0.227)와 림프구는 음의 상관관계(r=-0.23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1). NT-proBNP와 크레아티닌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r=0.594, P<0.01), 다중회귀분석결과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관찰되었다(B=0.53, t=7.65, P<0.01). NT-proBNP와 요산의 농도는 양의 상관관계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r=0.180, P<0.05). 젖산탈수소효소가 NT-proBNP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관찰되었다(B=0.20, t=3.28, P<0.01). 이러한 설명력은 43%의 영향력을 나타내어 NT-proBNP의 정확한 검사와 관련인자들은 심장표지자로서 임상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심장사상충 감염 진도견에서 혈장 NT-proBNP 농도 증가 증례 (Elevation of Plasma NT-proBNP Concentration in a Korean Jindo Dog Infected with Dirofilaria immitis)

  • 황수현;박형진;서경원;이상은;송근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6-498
    • /
    • 2013
  • 본 증례는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 내원한 심장사상충에 중감염된 2세, 암컷의 진도견에서 혈장 NT-pro BNP농도를 측정하였다. 심장사상충 감염은 신체검사, 혈액검사, ELISA 키트검사 및 영상진단검사 등으로 진단하였다. 본 증례 진도견의 혈장 NT-pro BNP농도는 심장사상충에 감염되지 않고, 다른 질병도 없는 5마리(모두2세, 모두 암컷)의 정상견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정상견 평균: 373 pmol/L, 본 증례: 2,950 pmol/L). 본 연구는 우리가 아는 한 심장사상충에 감염된 진도견에서 혈장 NT-pro BNP농도를 측정하여 보고한 최초의 증례보고이다.

울혈성 심부전 환자에서 N-Terminal Probrain-type Natriuretic Peptide의 진단적 유용성 (Diagnostic Usefulness of N-Terminal Probrain-type Natriuretic Peptide to Detect Congestive Heart Failure Patients)

  • 손계성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8-95
    • /
    • 2005
  • Even though the echocardiograph has been recognized as the method of choice among various diagnostic tools to detect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relation to the consumption of time, labor and process. We analyzed results of N-terminal probrain-type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and various parameters of the echocardiographic findings to clarify the diagnostic usefulness of NT-proBNP in detecting patients with CHF. We analyzed the sera from total of 242 cases from in-patients and out-patients, which were requested from the cardiovascular section of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03 to May 2004. The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order as shown below; sampling, NT-proBNP analysis, data acquisition and data analysis. All data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nd echocardiographic findings ware acquired by medical record review. When classifying the study population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 the serum level of NT-proBNP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51-60% of LVEF (P=0.023). There were low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level of NT-proBNP and various parameters of the echocardiographic findings with LVESD (r=0.1513), LVEDD (r=0.0831), LVEF (r=0.2035), IVST (r=0.03) and LVPWT (r=0.0728), respectively. When comparing NT-proBNP with atrial and/or ventricular enlargement, the patient group with both left atrial and left ventricular enlargement (p=0.186) or only left atrial (p=0.105) or only left ventricular enlargement (p=0.256) showed higher level of NT-proBN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patient group with no enlargement. Searching the optimal cutoff of the serum level of NT-proBNP, the sensitivity (98.9%) and the specificity (100%) was highest at the cutoff of 300 pg/mL than any other cutoff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analysis of NT-proBNP in serum might detect the patients with CHF earlier than with the echocardiograph, especially in patients with asymptomatic or mild symptomatic CHF. In conclusion, NT-proBNP test was proved to be clinically useful to diagnose CHF patients.

  • PDF

신생아기에 발견된 단독 심실 비치밀화증 1예에서 관찰된 NT pro-BNP의 변화 (Changes in 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in a neonate with symptomatic isolated left ventricular noncompaction)

  • 송지현;김여향;김천수;이상락;권태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호
    • /
    • pp.129-132
    • /
    • 2009
  • 저자들은 청색증과 끙끙거림, 심비대로 전원되어 심장 초음파 검사에서 좌심실에 발생한 단독 심실 비치밀화증을 가진 신생아 1예를 경험하였다. 환자에서 측정한 NT pro-BNP는 높았고, 수유 곤란과 빈호흡을 동반한 심부전 증상이 있었다. 심부전증에 대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주기적으로 시행한 NT pro-BNP가 더 높아지면서 환자에게서 급성 심정지가 발생하였고, 심폐소생술 이후 NT pro-BNP가 다시 낮아지면서 심부전 등의 증상은 호전을 보였다. 심초음파 검사와 함께 NT pro-BNP를 주기적으로 검사해 보는 것이 병의 경과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Evaluation of ST2 and NT-proBNP as Cardiac Biomarkers in Dogs With Chronic Mitral Valve Disease

  • Kim, Jung-Kook;Park, Jun-Seok;Seo, Kyoung-Won;Song, Kun-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5-38
    • /
    • 2018
  • Recently assessment of suppression of tumorigenicity 2 (ST2) level has become a useful cardiac biomarker in human medicine. This study compared serum ST2 levels and 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levels between healthy dogs and dogs with chronic mitral valve disease. Twenty client-owned dogs were investigated. Dogs were divided into normal,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groups. Serum samples were used to measure levels of NT-proBNP and ST2. Samples for NT-proBNP were sent to IDEXX laboratory for analysis while ST2 levels were measured by using a canine interleukin 33 receptor ELISA ki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T-proBNP levels between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groups (P < 0.01), and between normal and symptomatic groups (P < 0.01). In contrast, ST2 levels were not relatively different between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groups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all groups in ST2 study. The usefulness of measuring NT-proBNP level as a cardiac biomarker in dogs with chronic mitral valve disease was confirmed, but usefulness of the ST2 level was not observed.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evaluate the potential usefulness of ST2 level as a cardiac biomarker in canines.

Correlation between Vertebral Left Atrial Size and NT-proBNP in Dogs with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 Chae, Dong-Jin;Han, Sung-Hyun;Song, Kun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15-22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vertebral left atrial size (VLAS) and NT-proBNP levels. Sixty-three dogs with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MMVD)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MMVD group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CVIM stage based on medical history, clinical signs, and thoracic radiography and echocardiography findings. The 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levels were measured using fluorescent immunoassay. VLAS and VHS values were measured using a digital caliper in the right lateral view.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LAS for each American college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ACVIM) stage (p < 0.01). As the ACVIM stage increased, it tended to increase. Vertebral heart score (VHS) also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the ACVIM stage (p < 0.01). VLA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VLAS <2.6, 2.6≤ VLAS <3.1, and VLAS ≥3.1. NT-proBNP valu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p < 0.01), and VLAS and NT-proBNP value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r = 0.756, p < 0.01).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CVIM stages B1 and B2, B1 and C-D, and B2 and C-D groups regarding VLAS. Furthermore, NT-proBNP increased proportionally as VLAS increased. Measurements of VLAS may be helpful in the diagnosis of MMV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radiological and echocardiographic methods.

Factors Related to 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as a Biomarker for Heart Failure

  • Lee, Hyeong Suk;Choi, Mona;Oh, Eui Geum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8권4호
    • /
    • pp.247-25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levels with th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factors, self-care behaviors, and the physical symptom experience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tilized a convenience sample of adult outpatients and inpatients who attended a cardiology department in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The data from 154 patients with heart failure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their clinical data were extracted from their electronic medical records. Results: Compared with the patients with high NT-proBNP levels, those with low NT-proBNP levels had significantly lower physical symptom experiences scores. Patients with low- and mid-NT-proBNP levels were more likely to be employed compared with those with high NT-proBNP levels. Patients with low NT-proBNP levels had higher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s, and were less likely to have arrhythmias and comorbidities.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s with more severe heart failure had higher physical symptom experiences scores; hence, individualizing treatment approaches based on heart failure severity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