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고품질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s for High Quality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List)

  • 최윤경;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75-9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2002년에 개발된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용어 품질을 검토하여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국내외 국가도서관의 주제명표목표 사례 조사,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 표목표의 주제명 및 관계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주제명 기술의 비일관성, 불분명하고 불필요한 관계 설정, 계층 관계 적용의 비일관성, 최신성 부족, 분류기호의 부정확한 기입, 신규 주제명의 중복 신청, 비우선어 및 미등록어 부여와 같은 문제점이 나타났다. 주제명표목표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주제명 정비, 서지 데이터 정비, 주제명표목 검토위원회 운영, 주제명 지침 보완을 고품질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주제 접근의 다양성과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 표목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eties of Subject Access and Usabilitie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 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71-185
    • /
    • 2014
  • 본 연구는 급격히 변화하는 도서관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주제 접근 방식의 다양성을 살펴보고 국립중앙도서관의 주제명표목에 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해 주제 접근의 미래에 관해 제시하였다. 먼저 주제 접근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주제명 표목인 미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의 장점과 단점을 바탕으로 주제명 표목의 검색 효율성을 증진하는 방법에 관해 다루었다. 소셜북마킹, 폭소노미, 태깅, 패싯 적용, 저자부여 키워드, 시소러스, 분류표, 자동완성기능 부여로 주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하였고 국립중앙도서관의 주제명 표목의 현황과 향후 주제 접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인디아스포라 관련 주제명표목 개선 방안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한인 관련 용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Korean Diaspora-related Subject Headings: Focusing on Korean-related Terminology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 여지숙;양기덕;이토히로코;이혜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03-124
    • /
    • 2022
  • 이 연구는 한인디아스포라와 관련된 연구에서 한인에 대한 용어를 분석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에서 관련 용어들을 조사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KCI 등재(후보)학술지 중 디아스포라 관련 논문의 비율이 높은 3개의 학술지를 선정하여 한인과 관련된 용어에서 추출하여, 이 3개 학술지 논문에서 사용된 빈도를 조사한 다음, 한인과 관련된 용어를 사용한 논문을 직접 보고 추가 한인 관련 용어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에서 한인 관련 주제명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영문표기의 변경, 비우선어의 추가, 기존 주제명의 계층관계 변경 등을 제안하였다.

주제명 활용 분석을 통한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List through Utilization Analysis of Subject Headings)

  • 이혜경;이용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7-182
    • /
    • 2023
  • 이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개발한 주제명표목표의 구성 현황과 2003년부터 2022년까지 국가서지 1,218,867건에 부여된 주제명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주제명표목표의 전체 주제명 중 우선어는 257,103개로 전체 용어의 50.2% 이상이었으며, 외국어가 169,466개(33.1%), 비우선어가 61,442개(12.0%) 등으로 구성되었다. 우선어 중에 활용된 주제명은 57,312종으로 22.3%에 해당하며 이 중 54.7%인 31,351종의 주제명은 부여횟수 5회 미만으로, 전체 중에서 적은 수의 주제명만을 활용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관계지시기호의 빈도는 RT, BT, NT 순으로 나타났으며, 최상위 주제명은 12,602종, 최하위 주제명은 143,704종이었고 최대 심도는 17수준이었다. 셋째, 서지 당 평균 1.72회의 주제명이 부여되었으며, 자료의 내용이 특정적일수록 주제명 부여 횟수가 많아지고 심도도 깊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최근에 입력한 서지일수록 부여된 주제명 수가 증가하였고 심도도 깊어졌으나, KDC 주류에 따라 서지 당 부여된 주제명 수는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황 분석을 통해 결과적으로 주제명표목표가 수록한 용어의 범위에 대한 평가와 주제명의 계층 관계 및 심도의 재정비가 요구되며, 주제명표목표의 세목 개발을 통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LCSH 한국관련 주제명표목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opical Headings Related to Korea in LCSH)

  • 김정현;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9-68
    • /
    • 2009
  • LCSH는 오늘날 도서관목록 및 국가서지에 있어 매우 중요한 주제접근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1914년 처음 LC에서 개발했지만 오늘날 세계 여러 나라 도서관에서 LCSH를 적용하고 있을 만큼 주제명표목에 있어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LCSH에 수록된 주제명표목 가운데 한국관련 주제명의 변천과정과 특성을 LCSH 초판(1914)부터 제30판(2007)까지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역사구분이나 관련 주제명이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학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와 다른 경우가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중요하거나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주제명이 누락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세분된 주제명도 많이 있다. 한국관련 주제명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누락되거나 전개가 부족한 것은 전적으로 LC의 장서수집정책과 관련이 있지만, 최근의 학술적 연구 성과가 반영된 한국관련 문헌이 LC에 골고루 많이 수집될 수 있도록 기증을 하는 등 우리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 검색 시스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Access & Retrieval System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 백지원;정연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1-5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이용자 접근 및 검색 시스템 기능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국내외 주요 주제명표목표의 주제명 접근 및 검색 방식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검색 시스템 분석을 통해 주제명 접근, 이용 방식과 절차 등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이용 현황 및 검색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셋째, IFLA의 국가 서지 주제 접근 지침과 FAST의 적용 사례에 나타난 주제 접근 도구의 발전 방향 및 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등을 바탕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검색 시스템 개선안을 기능, 인터페이스, 질의, 부가 서비스 등 4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시소러스를 연계한 문학류 패싯 분류체계 개발 (Developing a Faceted Classification Scheme Integrated with a Thesaurus for Literature)

  • 박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77-8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시소러스 연계 패싯 분류체계(FCT)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한국십진분류법을 패싯분류표로 재구조화시키고,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디스크립터와 연계하였다. FCT를 기존의 KDC와 비교하면 1) 복합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2) 인용순서를 변경할 수 있으며, 3) 새로운 분류항목을 추가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류표의 표목을 시소러스의 디스크립터와 연계하여 분류표와 시소러스 간에 패싯을 공유하고, 분류표목의 개념수준 확장에 활용할 수 있었다.

주제명 데이터를 통해 본 현행 목록의 품질과 과제 (A Study on the Quality of Subject Data in Library Catalog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9-402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국내 자료조직 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주제명 데이터의 '품질'에 관해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대표도서관으로서 주제명표목표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주제명 데이터의 구축을 주도해 온 국립중앙도서관의 실체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 보이면서 과연 현재와 같은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폭넓게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주제명 데이터에 반영되어야 할 '주제'의 의미와 속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어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구축한 주제명 데이터의 품질을 절대적 품질과 상대적 품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절대적 품질 분석을 위해서는 '대중자료'와 '학술자료' 중 샘플자료를 임의로 추출하여 이들 자료에 반영된 주제명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상대적 품질 분석을 위해서는 미의회도서관(이하 LC)과 국내의 A대학도서관에서 구축한 주제명 데이터와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Resources for assigning MeSH IDs to Japanese medical terms

  • Tateisi, Yuka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7권2호
    • /
    • pp.16.1-16.4
    • /
    • 2019
  • Medical Subject Headings (MeSH), a medical thesaurus creat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LM), is a useful resource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In this article, the current status of the Japanese version of Medical Subject Headings (MeSH) is reviewed. Online investigation found that Japanese-English dictionaries, which assign MeSH information to applicable terms, but use them for NLP, were found to be difficult to access, due to license restrictions. Here, we investigate an open-source Japanese-English glossary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assigning MeSH IDs to Japanese terms, to obtain preliminary data for NLP proof-of-concept.

주요 국가의 주제명표목표에 나타난 한국의 국경관련 주제명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ubject Headings Related to Korean Border in the Subject Headings of Major Countrie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17-239
    • /
    • 2013
  • 주요 국가의 주제명표목표 즉, 전거레코드 파일에 수록되어 있는 한국의 국경관련 주제명의 실태 및 특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의 국경관련 문헌이 소장되어 서지 레코드가 작성되어 있더라도 국경관련 주제명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다수 발견되고 있으며, 또한 프랑스의 경우 '압록강'과 '두만강', 스페인의 경우 '황해', '두만강', '백두산'에 관한 서지 레코드조차도 전혀 검색되지 않았다. 둘째, 우리가 실효적 지배를 하고 있는 '독도'에 대해서도 미국과 프랑스를 제외하고는 한국이라는 지명이 나타나 있지 않았다. 독일은 한국과 일본이라는 지명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셋째, '동해' 관련 주제명에 대해서는 이미 대부분의 국가도서관 목록에서 '일본해'라고 표기하고 있으며, '황해' 관련 주제명에 대해서는 '황해'라고 표기하고 있다. 넷째, '압록강'과 '두만강'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중국식 발음으로 표기하고 있다. 다섯째, '백두산'의 경우 대부분 한국식 발음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장백산'과 구분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장백산'을 '백두산'의 이형 접근점으로 표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