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em product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님추출물 아자디라크틴의 살충활성과 국내 이용현황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Neem Extracts (Azadirachtin) and its Current Status of Practical use in Korea)

  • 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63-471
    • /
    • 2021
  • 열대식물인 인도멀구슬나무(Azadirachta indica)는 병해충과 방제와 의학적인 목적으로 오랫동안 이용하였다. 본고에서는 님제의 활성성분인 아자디라크틴의 해충에 대한 곤충생장조절, 기피, 섭식저해, 산란억제 등 다양한 작용기작과 국내 이용현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국내 유통되는 친환경유기농자재 중에서 님제 제품은 총 57종이었다. 그중 효능효과가 표시된 자재는 7종이었고 평균 아자디라크틴 함량은 0.38%로써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평균 함량 2.1%와 비교할 때 약 5.5배 낮았다. 국내에서 님제의 방제효과에서 진딧물은 실험에서 다소 변이는 있었으나 대부분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꽃매미 약충에 누적살충률은 73~77%를 보였고, 총채벌레에 대한 방제가는 50~72% 범위로 살포효과가 인정되었다. 노린재와 나방류에 대한 방제효과는 대체적으로 낮았다. 본고는 유통되는 님제품의 이해와 실험자료의 해석에 필요한 주요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기농 가지재배에서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천연물질 효과 (The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Selection for Control the Bemisia tabaci (Gennadius) on Organic Eggplant Cultivation)

  • 김주;권영립;김주희;정성수;임주락;이장호;심창기;김민정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63-372
    • /
    • 2013
  • 가지 담배가루이 친환경 방제기술을 개발하고자, 난황유 등 8종의 천연물질을 가지 정식 후 7일 간격으로 살포하면서 생육을 조사한 결과 님제처리에서 가장 양호한 경향이었다. 담배가루이 성충과 약충의 발생은 디노테퓨란약제처리에서 가장 적었고, 친환경자재 중에서는 님제 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수량은 디노테퓨란 약제처리에서 가장 많았고, 친환경 자재에서는 님제, 고추씨유 등이 많았으며, 고삼제 은행과육 등에서 적었다. 님제 처리의 경우 무처리에 비하여 69% 많았고, 디노테퓨란약제에 비해 52% 낮은 수량을 나타내었다.

Neem (Azadirachta indica) Seed Cake in Animal Feeding-Scope and Limitations - Review -

  • Gowda, S.K.;Sastry, V.R.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5호
    • /
    • pp.720-728
    • /
    • 2000
  • The different products of neem (Azadirachta indica) are utilized for variety of purposes in industry, health and animal agriculture in the Indian subcontinent. The cake from seeds after oil extraction is a good source of nutrients (CP: 35-38%; EE: 4.5-5.5%; CF: 12-15%; Ca: 0.75%; P: 0.45% on DM), and in particular, the one out of its kernel is proteinaceous and is relatively balanced in its amino acid and mineral profile. But the cake is toxic and bitter to taste owing to triterpenoids (nimbin, salannin, azadirachtin), which restricts its safe inclusion in livestock diet. Several feeding trials with raw cake have revealed poor palatability and adverse performance among different categories of livestock and poultry. Internal organ changes included histological alteration in intestine, liver, kidney and distruption of spermatogenesis and ovarian activity. Ruminants appears to tolerate reasonably higher levels of the cake and to a limited low levels of dietary inclusion also proved to be tolerable in monogastric farm animals. Debitterization through solvent (hexane, ether) extraction, water washing, alkali (NaOH, 1.5, 2.5 or 3%, wt/wt) soaking and urea (1.5 or 3%, wt/wt) - ammoniation have been tried with appreciable success in improving the palatability and nutritive value of the cake. For enhanced utilization, decortication of neem seeds is to be done effectively at industrial level with maximum oil recovery. The resultant proteinaceous kernel by-product could be a cheaper unconventional protein supplement after suitable processing.

Effect of Graded Dietary Levels of Neem (Azadirachta indica) Seed Kernel Cake on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 Rabbits

  • Vasanthakumar, P.;Sharma, K.;Sastry, V.R.B.;Kumar,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8호
    • /
    • pp.1246-1250
    • /
    • 1999
  • Rabbits (48) of Soviet chinchilla (24) and White giant (24) were fed from 6 weeks to 12 weeks of age intensively on either of four isonitrogenous - isocaloric diets containing 0 ($D_1$), 5($D_2$), 10($D_3$) and 20($D_4$) percent raw neem seed kernel cake (NSKC), respectively as per NRC (1977) requirements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and slaughtered at the end to find out differences in their carcass traits due to NSKC feeding. Dietary treat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weight of edibles and inedibles and their percentages and dressing percentage in terms of carcass, carcass with pluck and carcass with pluck and head. Similarly, the meat-bone ratio of various primal cuts and overall carcass, yield of edibles per unit of inedibles and eye muscle area were not influenced due to the dietary variations. Chemical composition of fresh meat, and organoleptic evaluation of cooked meat with and without salt did not vary significantly due to incorporation of NSKC in the diets. The rabbits fed 20% NSKC ($D_4$) though consumed more (p<0.05) DM and DE per kg meat production, the intake of crude protei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was similar with other dietary treatments. Feed cost per unit meat production was, however, lower on 5 and 10% NSKC containing diets by 7.75 and 12.56%, respectively, as compared to deoiled ground nut cake containing control diet. It appears that NSKC could be used as a wholesome vegetable protein supplement upto 10% in diet of rabbits without any adverse effect on commercial carcass traits.

Screening of Fungicides and Natural Plant Products and Their Efficacy on Control of Aspergillosis in Silkworm, Bombyx mori L.

  • Singh, G.P.;Sharma, S.D.;Selvakumar, T.;Nataraju, B.;Datta, R.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권1호
    • /
    • pp.5-11
    • /
    • 2002
  • Seven fungicides viz., salcylic acid, bacistin (Carbandazim 50% WP), bayleton (Triadimefon 25% WP), Dithane M-45 (Mancozeb 75% WP), captan (Captaf 50% WP) formaldehyde and benzoic acid at three concentrations (0.50,0.75 and 1.0%) and ten plant products viz., Hena leaf, garlic bulb, tomato leaf, mango bark, cotton leaf, turmeric powder, onion, tulsi leaf, neem leaf and ginger at 1.0,2.0 and 3.0% concentrations were screened against Aspergillus flavus and A. tamarii in vitro. Among fungicides, salcylic acid and bavistin and among plants Hena and Mango bark powder were found to be very effective at all concentrations tested. Based on in vitro screening, only selected six fungicides at 1.0, 1.5 and 2.(0% and six plants at 2.0,4.0 and 6.0% concentrations were tested in vivo for controlling Aspergillosis in silkworm. Salcylic acid and bavistin fungicides and Hena leaf powder and Mango bark powder have shown considerable effect in controlling Aspergillus infection in silkworm at all concentrations tested.

Pesticidal Activity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s)

  • Park, J.H.;Han, E.J.;Hong, S.J.;Ahn, N.H.;Kim, Y.K.;Jee, H.J.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287-290
    • /
    • 2011
  •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 products (EFAMs) in current market were evaluated for their insecticidal or acaricidal activities. EFAMs were evaluated against Tetranychus urticae, Plutella xylostella, Myzus persicae and Nilaparvata lugens in spray method. Several EFAMs indicated high control value in spray method. Hatchability of T. urticae was relatively high after EFAM treatment. some materials show high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P. xylostella larvae but not against eggs. Few mete rials showed more than 80%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M. persicae and N. lugen. The control value of more than half the materials for pest control was lower than 60%. EFAMs containing S. flavescens, neem oil and Rape showed higher control value.

천연 식물추출물 복합제를 이용한 오디균핵병 및 뽕나무이에 대한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Study on Eco-friendly Control Effect of Natural Plant Extract Mixtures on Mulberry Popcorn Disease and Mulberry Sucker)

  • 안인;맹운영;이인애;김삼현;유지원;장기운;김배용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8-342
    • /
    • 2013
  • 오디균핵병에 대한 친환경농자재 방제효과시험에서 2012년 3월 초 석회유황합제 살포, 4월초 석회보르도액을 살포한 포장에서 미생물 2종과 천연물 4종 혼합제를 교호적으로 처리한 결과 7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나, 2013년도에는 약제 살포간격을 줄이는 등 더욱 철저히 방제 하였음에도 발병이 극심하여 미생물제 및 천연물합제 모두 17~64% 범위로 전년보다 효과가 저조하였다. 부안의 동일한 시험포장의 동일 조건하에서 지오파네이트메칠 농약을 3회 처리한 대조구에서도 약효가 저조하게 나타났다. 한편 뽕나무이에 대한 천연식물추출물 친환경농자재의 방제효과는 고삼추출물, 데리스추출물, 고삼+데리스+님오일 3개 처리구 모두 방제효과가 88~95% 정도로 우수하게 나타나 천연식물추출물 복합제를 이용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방제효과가 확인되어 뽕나무이를 친환경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우수한 시험결과라고 판단되므로 오디 친환경 재배농가에 조속한 기술보급이 요망된다.

농업해충에 대한 친환경유기농자재들의 살충력 및 섭식저해력 평가 (Evaluation of Insecticidal and Antifeeding Activities of Eco-friendly Organic Insecticides Against Agricultural Insect Pests)

  • 김유화;나영은;김민준;최병렬;조형찬;김순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99-109
    • /
    • 2015
  • 충해 또는 병충해 관리용 친환경유기농자재로 목록공시된 제품 29종의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 복숭아혹진딧물 성충,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에 대한 살충과 섭식저해활성을 분무법과 잎침지법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평가하였다.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 추천농도 분무 또는 잎침지시 유효성분으로 고삼 추출물 60% 단제(EOIS)와 고삼외 3종 식물 추출물(백부근, 멀구슬나무, 개박하, EIOSm) 및 고삼외 2종 식물추출물(EOISc)을 함유한 혼합제의 살충력이 우수했다. 하지만 반량 처리 시 그 활성은 50% 이하로 감소되었다. 파밤나방 유충에 대해서는 고삼 60%단제(EOIS)만이 우수한 살충력을 보였고, 비슷하게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에 대해 잎침지 후 24시간과 48시간 노출 시 85%와 95%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에 대한 분무시험에서 고삼 외 3종 혼합제(EOISm)와 유채외 2종 혼합제(EOIR)가 93%와 68% 살충력을 보였는데, 농도를 배량 증가시켜도 살충력은 크게 향상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추천농도 잎침지에서는 고삼외 3종 혼합제(EIOSm)만이 100%의 강한 접촉독성을 나타냈는데, 노출 시간과 농도를 증가시키면 시트로넬라오일외 1종(EOICi)과 유채외 2종 혼합제(EOIR)들의 살충력이 증가하였다.흥미롭게도 cedar oil 16%(EOICe), 고삼 60% 단제(EOIS), 고삼외 3종 혼합제(EIOSm), 고삼외 2종 혼합제(EOISc), 미생물 89.62%(EOIM), 유채외 2종 혼합제(EOIR), 식물추출물(EOIPe), 차나무추출물 48%(EOIT)제 등은 파밤나방에 대해 분무처리 시 강한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서도 이들 혼합제들 이외에 3종 미생물제들(EOIB, EOIM, EOIBs)과 시트로넬라오일외 1종(EOICi), 겨자외 2종(EOIMc) 등의 식물 추출물 혼합제들이 70% 이상의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 대상 곤충 종 및 유효성분이나 처리량에 따라 살충력과 섭식저해력이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고삼추출물외 2-3종 식물추출물을 복합적으로 함유한 혼합제들의 유효력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