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ighbor generation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2초

Neighbor Generation Strategies of Local Search for Permutation-based Combinatorial Optimization

  • Hwang, Jun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0호
    • /
    • pp.27-35
    • /
    • 2021
  • 지역 탐색은 다양한 조합 최적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활용되어 왔다. 지역 탐색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이웃해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순열 기반 조합 최적화를 위한 지역 탐색의 이웃해 생성 전략들을 제안하고, 순회 외판원 문제를 대상으로 각 전략들의 성능을 비교한다. 본 논문에서는 총 10가지 이웃해 생성 전략을 제안한다. 기본적으로 기존에 많이 사용했던 Swap 등 4가지 전략 이외에 Rotation 등 4가지 기법을 새롭게 제안한다. 이외에 기본 이웃해 생성 전략들을 결합하여 만든 Combined1과 Combined2가 있다. 실험은 기본적인 지역 탐색을 적용하되 이웃해 생성 전략만 변경하여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이웃해 생성 전략에 따라 성능 차이가 큰 것을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Combined2의 성능이 가장 좋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Combined2는 기존의 지역 탐색 기법들보다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함을 확인하였다.

Greedy-based Neighbor Generation Methods of Local Search for the Traveling Salesman Problem

  • Hwang, Junha;Kim, Yong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69-76
    • /
    • 2022
  • 순회 외판원 문제는 가장 유명한 조합 최적화 문제 중 하나이다. 지금까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메타휴리스틱 탐색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그중의 하나가 지역 탐색이다. 지역 탐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이웃해 생성 방법으로 주로 역전(inversion)과 같은 무작위 기반 이웃해 생성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4가지의 새로운 그리디 기반 이웃해 생성 방법들을 제안한다. 3가지 방법은 그리디 삽입 휴리스틱을 기반으로 하는데, 선택된 도시들을 하나씩 차례로 현재 가장 좋은 위치로 삽입한다. 나머지 하나는 그리디 회전을 기반으로 한다. 제안된 방법들은 대표적인 지역 탐색 알고리즘인 first-choice 언덕 오르기 탐색과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에 적용된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그리디 기반 방법들이 기존의 무작위 기반 방법들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부 그리디 기반 방법들은 기존의 지역 탐색 기법들보다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Machine Learning Based Neighbor Path Selection Model in a Communication Network

  • Lee, Yo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1호
    • /
    • pp.56-61
    • /
    • 2021
  • Neighbor path selection is to pre-select alternate routes in case geographically correlated failures occur simultaneously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ventional heuristic-based algorithms no longer improve solutions because they cannot sufficiently utilize historical failure information. We present a novel solution model for neighbor path selection by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Our proposed machine learning neighbor path selection (ML-NPS) model is composed of five modules- random graph generation, data set creation, machine learning modeling, neighbor path prediction, and path information acquisition. It is implemented by Python with Keras on Tensorflow and executed on the tiny computer, Raspberry PI 4B. Performance evaluations via numerical simulation show that the neighbor path communication success probability of our model is bet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heuristic by 26% on the average.

DTMNs를 위한 방향성 정보와 최대 공동 이웃 노드에 기반한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An Efficient Routing Algorithm Based on the Largest Common Neighbor and Direction Information for DTMNs)

  • 서두옥;이동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83-90
    • /
    • 2010
  • DTNs (Delay Tolerant Networks) refer to the networks that can support data transmission in the extreme networking situations such as continuous delay and no connectivity between ends. DTMNs (Delay Tolerant Networks) are a specific range of DTNs, and its chief considerations in the process of message delivery in the routing protocol are the transmission delay, improvement of reliability, and reduction of network loading. This article proposes a new LCN (Largest Common Neighbor) routing algorism to improve Spray and Wait routing protocol that prevents the generation of unnecessary packets in a network by letting mobile nodes limit the number of copies of their messages to all nodes to L. Since higher L is distributed to nodes with directivity to the destination node and the maximum number of common neighbor nodes among the mobile nodes based on the directivity information of each node and the maximum number of common neighbor nodes, more efficient node transmission can be realized. In order to verify this proposed algorism, DTN simulator was designed by using ONE simulat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imulation, the suggested algorism can reduce average delay and unnecessary message generation.

ANALYSIS OF NEIGHBOR-JOINING BASED ON BOX MODEL

  • Cho, Jin-Hwan;Joe, Do-Sang;Kim, Young-Rock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5권1_2호
    • /
    • pp.455-470
    • /
    • 2007
  • In phylogenetic tree construction the neighbor-joining algorithm is the most well known method which constructs a trivalent tree from a pairwise distance data measured by DNA sequences. The core part of the algorithm is its cherry picking criterion based on the tree structure of each quartet. We give a generalized version of the criterion based on the exact box model of quartets, known as the tight span of a metric. We also show by experiment why neighbor-joining and the quartet consistency count method give similar performance.

QUARTET CONSISTENCY COUNT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 Cho, Jin-Hwan;Joe, Do-Sang;Kim, Young-Rock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49-160
    • /
    • 2010
  • Among the distance based algorithms in phylogenetic tree reconstruction, the neighbor-joining algorithm has been a widely used and effective method. We propose a new algorithm which counts the number of consistent quartets for cherry picking with tie breaking. We show that the success rate of the new algorithm is almost equal to that of neighbor-joining. This gives an explanation of the qualitative nature of neighbor-joining and that of dissimilarity maps from DNA sequence data. Moreover, the new algorithm always reconstructs correct trees from quartet consistent dissimilarity maps.

센서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SWAD-KNH 기법 설계 (A Design of SWAD-KNH Scheme for Sensor Network Security)

  • 정은희;이병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462-147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단위로 센서 노드의 키와 그룹키를 생성한 후 분배하는 KGDC(Key Generation and Distribution based on Cluster) 모듈과 이 키를 이용하여 시빌 공격과 웜홀 공격을 탐지할 수 있는 SWAD(Sybil & Wormhole Attack Detection) 모듈로 구성되는 SWAD-KNH(Sybil & Wormhole Attack Detection using Key, Neighbor list and Hop count) 기법을 제안한다. KGDC 모듈은 ECDH 알고리즘, 해시함수, 키 체인 기법을 이용하여 그룹키와 센서 노드의 키들을 생성하고 안전하게 배포한다. SWAD 모듈은 2단계 키 확인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시빌 공격 탐지를 강화시키고, 근원지와 목적지 노드의 공동이웃노드들의 수와 홉 카운트를 이용하여 웜홀 공격을 탐지한다. 그 결과 SWAD-KNH 기법은 시빌 공격 탐지율은 91.2%, 평균 FPR(False Positive Rate)은 3.82%이고, 그리고 웜홀 공격 탐지율은 90%, 평균 FPR(False Positive Rate)은 4.64%으로 평가되므로 시빌과 웜홀 공격 탐지율 및 시빌과 웜홀 공격 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The Study on Security Vulnerabilities in IPv6 Autoconfiguration

  • Kim, Myung-Eun;Seo, Dong-Il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545-1549
    • /
    • 2005
  • According as computer is supplied in a lot of homes and offices and Internet use increases, various service based on the Internet. Including wireless PDA in the future, many devices such as Internet telephone, TV, refrigerator and oven will be connected on the Internet and Internet address exhaustion will be raised to serious problem gradually. Today, the IPv4 address exhaustion problem has been solved partially using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however, the transition to next Generation Internet will be accelerated because of advantages such as mobility, security service, QoS, and abundant IP addresses. In IPv6, all hosts are designed to create and set their address automatically without manager's intervention using Neighbor Discovery Protocol. But, when an IPv6 host sets its address automatically, there are serious security vulnerabilities. In this paper, we analysis security vulnerabilities in auto-configuration and provide security requirements for secure auto-configuration.

  • PDF

Location-Aware Fast Link Switching Scheme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Networks

  • Nguyen, Tuan;Chowdhury, Mostafa Zaman;Jang, Yeong Min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0호
    • /
    • pp.888-893
    • /
    • 2012
  • Quality of Service (QoS) provisioning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design of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networks, link switching is a solution to maintain or improv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link switching scheme using the location of mobile nodes (MNs). The current serving transmitter uses location history of the MN to find out which neighbor transmitter the MN is approaching. This neighbor transmitter is chosen to inform the MN as the next serving transmitter.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scheme gains better performance than non-predictive link switching scheme.

딥러닝을 이용한 주변 무선단말 파악방안 (Neighbor Discovery for Mobile Systems based on Deep Learning)

  • 이웅섭;반태원;김성환;류종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27-533
    • /
    • 2018
  • 최근 단말-대-단말(Device-to-device, D2D) 통신기술이 차세대 무선통신시스템의 핵심기술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단말간 통신에서는 자신의 주변에 어떠한 단말이 있는지 파악하는 주변단말 탐색(Neighbor discovery)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활용하여 단말간 통신에서 주변단말을 파악하는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제안 방안은 기존의 방안과 달리 무선채널의 공간적 연관성을 이용하여 단말간의 신호 전송 없이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파일럿 신호를 기반으로 주변 단말을 찾고 따라서 기존의 방식에 비해 신호전송 복잡도(signaling complexity)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안 방안에서는 떨어져 있는 거리에 따라서 주변 단말을 분류 가능하여 기존 방안에 비해서 좀 더 세밀한 단말 탐색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tensorflow를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 방안의 성능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