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xt.j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Next.js와 Express.js를 활용한 전기 자동차 대여 시스템 (Electric Vehicle Rental System Using Next.js and Express.js)

  • 허태성;오주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469-470
    • /
    • 2023
  • 내연기관 자동차는 연료 소모로 인해 대기 중에 유해 물질과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반면에 전기 자동차는 전기로 작동되어 대기 중 오염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운행을 제공한다. 전기차 대여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기에 해당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는 React 기반의 Next.js 웹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 측 렌더링을 지원하고 사용자들에게 빠른 반응 속도와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Bootstrap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개발하고, 전기 자동차 대여 서비스에 필요한 화면을 구성하였다. 또한 Node.js 기반의 Express.js 웹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서버 사이드 로직과 RESTful API를 개발하는 데 사용하고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 사용자 인증, 대여 정보 관리 등을 처리하였다. 이러한 기술적 개발을 통해 전기 자동차 대여 시스템은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환경 보호와 탄소 배출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젝트라고 볼 수 있다.

  • PDF

Next.js를 활용한 깃허브 전자 명함 제작 및 앱, 웹 멀티 플랫폼 기반 서비스를 통한 효율적인 개발자 명함 생태계 구축 (Creating GitHub Electronic Business Card Using Next.js and Building an Efficient Developer Business Card Ecosystem through App and Web Multi-Platform-Based Services)

  • 김현우;이정민;박민수;이소현;심재만;김영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45-747
    • /
    • 2023
  • 깃허브는 개발자의 명함이라는 말이 있듯, 많은 수의 개발자들이 깃허브를 활용해 자신의 개발 이력과 프로젝트들을 관리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깃허브 정보 요약 서비스들이 제공되어졌으나, 정보 공유의 불편함과 많은 정보를 담지 못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서버 기반의 깃허브 웹 명함 제작 및 멀티플랫폼에서의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개발자 명함 생태계 구축을 제안한다. 본 서비스에서는 Next.js 기술을 활용한 한 명함 제작 및 웹, 앱 클라이언트를 통한 명함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Github oauth를 통해 인증된 정보를 바탕으로 Next.js를 활용해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정해진 형식으로 요약한 명함을 제작한다. 제작된 명함은 웹 / 앱 플랫폼을 기반으로 관리되며, 추가적으로 명함의 공유 및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명함 공유를 바탕으로 한 개발자 네트워크 형성을 목표로 한다.

Next.js 와 Spring Boot 를 이용한 조직 리쿠르팅 관리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Recruiting Management Service Using Next.js and Spring Boot)

  • 공소나 ;박진석 ;배현서 ;최호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63-764
    • /
    • 2023
  • 조직 활동에 필수적인 조직 모집 관리를 위해 많은 조직들은 효과적인 모집 전략과 도구를 추구하고, 이러한 모집 프로세스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모집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웹 서비스를 구축하여, 조직 관리자와 지원자가 모집 및 지원 활동에 효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Node.js를 활용한 웹GIS 서버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GIS Server Using Node.js)

  • 전상환;도경태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45-53
    • /
    • 2013
  • 웹GIS는 수년 동안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이고 정확한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최신 웹기술을 기반으로 발전해왔다. 또한 웹GIS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빠르게 연산 처리하고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성능개선을 지속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서버 개발에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사용하는 이벤트 기반의 비동기식 I/O 처리가 가능한 프레임웍 기술인 Node.js를 활용하여 NodeMap이라고 이름붙인 웹GIS 서버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NodeMap은 기본적으로 OGC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웹GIS 서버이다. 이를 위해 공간 인덱스 및 표준 공간쿼리 함수를 지원하는 DBMS를 활용하여 GIS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공간 정보를 타일 맵 위에 렌더링 하기 위해 HTML5 Canvas를 지원하는 Node-Canvas 모듈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Node.js의 가장 많이 쓰이는 커넥트 모듈 기반의 프레임웍인 Express 모듈을 활용하였다. 구현된 NodeMap은 성능테스트를 통해 향 후 웹GIS 서버개발기술로서 Node.js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서버 개발 기술과 차별화된 기술인 Node.js를 웹GIS 서버 구현에 우선적용 함으로서 향 후 인터넷 GIS 서비스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n Asynchronous-Driven Node.js Based Intermediary-free Direct Deal Distribution Platform Converged with Cloud Service

  • Lee, SongYeon;Paik, JongH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8호
    • /
    • pp.4212-4226
    • /
    • 2019
  • In this paper, a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direct deal distribution platform is proposed to bypass the complex traditional distribution structure of agricultural market, as one of the fields where distribution patterns have changed. In the case of domestic agricultural distribution, demand and supply are unstable since the sales market is excessively concentrated in the designated wholesale market. Besides sales must go through multiple stages of distribution leading to problems in freshness and st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downward pressure on profit margins for producers. To solve the above mentioned issues, we propose a cloud service convergence direct deal distribution platform based on asynchronous-driven Node.js. The proposed platform can facilitate a variety of direct trading functions and also access to visualiz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s, which may increase user confidence at an intermediary-free direct transactions platform. First, we describe the requirements of intermediary-free direct transaction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transaction entities. Next the database structure and transaction functions are designed and then implemented according to those requirements. Finally, an API based cloud convergence service structure is designed to provide the analyzed information to ensure a trustworthy system.

국내에서 사육되는 Holstein 젖소과 Jersey 젖소의 대변 미생물 분석 : 비교연구 (Fecal Microbiota Profiling of Holstein and Jersey, in South Korea : A Comparative Study)

  • 하광수;서지원;양희건;박세원;이수영;박영경;이란희;정도연;양희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565-573
    • /
    • 2023
  • 숙주 동물과 동물의 장내 미생물의 건강 또는 생산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가축 동물의 장내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육되는 젖소 중 홀스타인 종과 저지종 젖소의 장내 미생물을 분석하고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젖소 종에 따른 장내 미생물 군집 구조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젖소의 원유 생산과 관련있는 것으로 알려진 종 풍부도와 종 다양성 지수 분석 결과 대부분의 풍부도 및 다양성 지수가 홀스타인 종 보다 저지 종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 간의 계통학적 거리를 합산하여 산출되는 phylogenetic diversity 지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 분포 분석 결과 홀스타인과 저지 종의 두 집단 장내 미생물 군집 구조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종의 젖소에서 과(family) 수준의 다양한 장내 미생물간의 분포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저지 종의 장내 미생물은 다양한 미생물 분포 사이에 매우 유의한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종의 젖소 장내 미생물 구조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beta-diversity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PCoA 분석과 UPGMA clustering 분석 결과 두 그룹의 cluster가 명확히 분리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였으며, PERMANOVA 분석 결과 두 종의 장내 미생물 군집 구조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젖소 종의 장내 미생물 군집 구조 차이에 기여하는 미생물을 확인하기 위해 LEfSe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Firmicutes, Bacilli, Moraxellaceae, Pseudomonadales 등의 상대적인 미생물 분포 차이가 두 그룹간 장내 미생물 군집 구조 차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acterial Communities of Meongge (Halocynthia roretzi) Jeotgal Prepared with 3 Different Types of Salts

  • Kim, Jeong A;Yao, Zhuang;Kim, Hyun-Jin;Kim, Jeong 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527-537
    • /
    • 2019
  • Three types of meongge (Halocynthia roretzi) jeotgal (MJ) were prepared with 3 different types of salts (12%, w/v): purified salt (PS), solar salt aged for 3 years (SS), and bamboo salt that had been recrystalized 3 times (BS). One set of MJ was fermented with starters, Bacillus subtilis JS2 and Tetragenococcus halophilus BS1-37 (each 6 log CFU/g), and another set without starters for 42 days at $10^{\circ}C$. The LAB count of the SSMJ (non-starter) was highest at day 28 (2.30 log CFU/g). The pH of the PSMJ and SSMJ was 5.72-5.77 at day 0, and 5.40-5.50 at day 42. BSMJ showed higher pH and lower titratable acidities than other samples. Amino-type nitrogen (ANN) increased continuously, and SSMJ showed higher values than other samples from day 14. Bacterial species of non-starter MJ were examined by culture independent method. Clone libraries of 16S rRNA genes were constructed in Escherichia coli from total DNA from non-starter MJ samples at day 0, 14, and 28. Thirty clones per each sample were randomly selected and DNA sequences were analyzed. Variovorax sp., uncultured bacterium, and Acidovorax sp. were the most dominant group at day 0, 14, and 28, respectively. Lactobacillus sakei and Streptococcus sp. were the next dominant group in SSMJ at day 28. A Streptococcus sp. was detected from PSMJ at day 28. Sensory evaluation for MJ samples at day 28 showed that SSMJ got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These results showed that solar salt can cause desirable changes in the microbial community of fermented foods, thereby positively affecting their overall quality.

국내 가금농장의 차단방역수준비교에 따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by Comparison of Biosecurity Level in Domestic Poultry Farms)

  • 소현희;배연지;모인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13-325
    • /
    • 2019
  • 일반적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가 발생을 하면 일정한 방역지역을 선정하여 그 범위 내의 농장에 대해서는 일괄적 살처분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살처분은 산업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줄 수 있지만, 방역 범위를 줄이게 되면 수평전파의 위험성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가금농장의 차단 방역 수준과 HPAI 발생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고, HPAI가 발생 시 방역지역에 포함된 농장들을 선별적으로 살처분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내 가금농장의 계종, 규모, 지역에 따라 전국적으로 8개의 농장을 선정하였으며, 일반관리 51항목, 방역관리 106항목, 위생관리 26항목으로 총 183 항목으로 나누어 차단 방역 수준을 평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산란계 농장인 5개 농장(JS, GE, CS, HS, OE)이 복지농장 (CH), 육계농장(JG, LB)보다 종합적으로 높은 수준의 점수를 획득하였다. 산란계 농장은 대부분 130점에서 157점 사이에 있는 반면, 육계농장은 45점과 75점이었으며, 복지농장은 70점 수준으로 농장간 차단 방역 수준 편차가 심하였다. 평상시 가금농장의 HPAI 발생의 위험도도 일반관리, 방역 관리, 위생관리로 나누어 평가한 후 기존의 각 농장별 현재의 차단 방역수준과 서로 비교하였다. 현재의 차단 방역 수준이 HPAI 발생 위험도보다 높은 수준의 농장의 경우 대부분이 3개 관리 분야 중 방역 관리가 뛰어나다는 공통점이 있었으며, HPAI 발생 위험도가 현재의 차단 방역 수준을 능가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3개 분야의 관리가 전반적으로 취약하였지만, 특히 방역 관리수준이 매우 낮은 점수를 취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금농장의 차단 방역 수준 평가를 위한 항목들을 활용을 하면 현재 가금농장의 차단 방역 수준을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HPAI 발생에 대한 위험도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도 평가를 HPAI 발생시 방역 지역 내 농장에 다른 요소들과 함께 적용을 한다면 선택적 살처분의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