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Ionic Characteristic Surfactan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Characterization of PVOH Nonwoven Mats Prepared from Surfactant-Polymer System via Electrospinning

  • Jung, Yoon-Ho;Kim, Hak-Yong;Lee, Douk-Rae;Park, Sun-Young;Khil, Myung-Seob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3권5호
    • /
    • pp.385-390
    • /
    • 2005
  • The electrospinning process is a fascinating method to fabricate small nanosized fibers of diameter several hundred nanometers. Surfactant-polymer solutions were prepared by adding poly(vinyl alcohol) (PVOH) to distilled water with cationic, anionic, amphoteric, and non-ionic surfactants. Average diameter of the electrospun PVOH fibers prepared from PVOH solution was over 300 nm, and was decreased to 150 nm for the mixture of PVOH/amphoteric surfactant. To explain the formation of ultra fine fiber,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in a mixture of PVOH/surfactant such as surface tension, viscosity, and conductivity were determined. In this paper, the effect of interactions between polymers with different classes of surfactants on the morph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lectrospun PVOH nonwoven mats was broadly investigated.

폴리아미드섬유를 사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proof Characteristics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Polyamide Fiber)

  • 이수철;전중규;전찬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286-293
    • /
    • 2011
  • 최근 건축구조물은 초고층화, 대형화에 따라 고강도 및 고성능콘크리트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고성능콘크리트는 화재 시 발생하는 폭렬현상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폭렬은 화재 시 콘크리트 피복의 손실을 초래하여 내부콘크리트와 철근의 열전달률(rate of heat transmission)을 높여 콘크리트와 철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고강도콘크리트의 화재 시 폭렬을 막기 위하여 여러 가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 강섬유를 사용한 연구들이 폭렬제어성능을 입증되었으나 유동성 저하에 따른 시공성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를 에스테르계 윤활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코팅액으로 코팅된 polyamide 섬유를 혼입하여 내화성능을 확보하였으며 강도영역별 최적 조건을 실험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13mm의 polyamide 섬유 적용시 강도영역별 적정 섬유 혼입량은 160MPa는 2.5kg이상에서 폭렬제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Ferric Oxinate를 標職物質로 사용한 人工汚染布의 洗滌特性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ly Soiled Fabrics Containing Ferric Oxinate as a Tracer)

  • Ahn, Kyung Cho;Kim, Sung Reon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3-89
    • /
    • 1996
  • Carbon black has been used as a particulate soil to prepare artificial soiled fabrics for detergent study but it has two major defects. The one is the difficulty of quantitative analysis of carbon black for evaluate the detergency, the other is that there is no reliable correlation between the removal of carbon black and oily soil which is the major component of natural soil. In this study ferric oxinate was used as a particulate soil since it is in black color and can be soiled on fabric by suspension in water or by solution in chloroform and it is easily analysed quantitatively by extracting it from soiled fabric with chloroform to get correct value of soil removal. The characteristics of soil removal of ferric oxinate were compared with that of carbon black and Sudan black, an oil soluble dye, which had been proved that it's detergency correlated with that of oily soil The soil removal of ferric oxinate and Sudan black estimated from quantitative analysis and from K/S value were in good agreement whereas the result calculated by simple reflectance was consistently low. The soil removal of ferric oxinate was exceeded from that of carbon black without regard to surfactants, Triton and Las, but the effect of washing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washing time on soil removal of both soils with different suffactants showed no considerable difference. Though the soil removal of Sudan black was little effected by the conditions, the soil removal in Triton exceeded considerably that of in Las,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oily soil. Thus the soil removal of Sudan black was in good agreement with ferric oxinate in Triton, a non-ionic surfactant, and with carbon black in Las, an artionic surfactant. We concluded that ferric oxinate is a more realistic model particulate soil for artificial soiled cotton fabric washed with non-ionic surfactant than carbon black.

  • PDF

비이온성 고분자의 Iodine 착물형성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 (Influence of Surfactant on the Iodine Complex Formation of Some Non-ionic Polymers)

  • 안범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31-1037
    • /
    • 2018
  • 수용성 비이온고분자인 Polyvinylalcohol (PVA), Polyvinylpyrrolidone (PVP), Hydroxypropyl cellusoe (HPC)와 iodine과의 착물 형성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odiumdodecylsulfate을 포함하는 수용액에서 이들 사이의 반응을 수행하였다. PVP와 HPC에서 tri-iodide band의 적색 이동에 의하여 착물이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PVA-iodine 착물에서는 500 nm 부근에서 고유의 특색있는 띠를 나타내었다. SDS 계면활성제의 존재는 PVA-iodine 착물의 파괴를 가져왔고, 고유의 푸른색도 사라지게 만들었다. 그러나 SDS 단량체는 PVP, HPC와 iodine의 착물 형성을 도와주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분자 용액에서 겔이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하는 n-propanol은 고분자-iodine 착물이 형성되는 것을 도와주었다. SDS가 있을 때와 없을 경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순수한 HPC와 HPC-iodine 착물을 만들고 이들의 성질을 조사하였다.

유기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Spalling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Synthetic Fiber)

  • 전찬기;전중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8-26
    • /
    • 2012
  • 최근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초고층화, 대형화의 요구에 의해 고강도 및 고성능 콘크리트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고강도 및 고성능 콘크리트는 화재 시 발생하는 폭렬현상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폭렬은 화재 시 콘크리트 피복의 손실을 초래하여 내부콘크리트와 철근의 열전달률을 높여 콘크리트와 철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화재 시 폭렬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 강섬유를 콘크리트에 혼입한 연구들에 의해 폭렬제어성능이 입증되었으나, 섬유 혼입에 따른 유동성 저하 및 시공성 불량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스테르계 윤활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코팅액으로 코팅된 Polyamide 섬유를 콘크리트에 혼입하여 내화성능 및 시공성을 확보하였으며, 강도영역별 적정 조건을 실험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그 결과, 13mm의 polyamide 섬유 적용시 강도영역별로 60MPa에서는 $0.8kg/m^3$, 80MPa에서는 $1.0kg/m^3$, 100MPa는 $1.5kg/m^3$이상 혼입시 폭렬 제어 및 시공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온영역에서 계면활성제의 마찰저감 성능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rag Reduction Additive under High Temperature Range)

  • 조성환;유재성;정상훈
    • 에너지공학
    • /
    • 제19권2호
    • /
    • pp.116-120
    • /
    • 2010
  • 국내 집단에너지 사업의 대표적인 지역난방시스템은 전체 배관망이 약 3,000 km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장거리 배관망을 통한 열수송에서는 마찰 저항으로 인해 많은 펌프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효율적인 장거리 열수송을 위한 연구로서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가 마찰저감제를 투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마찰저감제는 파이프내 표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계면활성제인 Amine Oxide $C_{18}$을 이용하여 $80{\sim}110^{\circ}C$의 온도범위에서 단기간 동안에 마찰저감 특성을 비교하고, 장기간 동안 퇴화현상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향후 지역난방 시스템에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역 난방시스템을 축소하여 실험장치를 제작하였다. 마찰저감제를 첨가하지 않은 파이프내의 차압과 마찰저감제를 첨가하였을때의 차압을 비교하여 마찰저감율을 측정하였다. 단기성능 실험결과 마찰저감제는 온도의 영향을 받아 유체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마찰저감율이 낮게 나타났다. $80^{\circ}C$의 실험에서 최대 30%의 마찰저감율이 나타났으며, $100^{\circ}C$ 이상에서는 마찰저감율이 감소하여 약 15%의 마찰저감율을 보였다. 장기성능 실험결과 $80^{\circ}C$의 실험에서는 1000 ppm 0.8 m/s의 유속에서 마찰저감율의 지속시간이 155시간동안 유지되었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지속시간이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