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ionic emulsifier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7초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아크릴계 비이온 반응성 유화제 합성 및 이를 이용한 수성 점착제 물성 연구 (Synthesis of Acrylic Nonionic Reactive Emulsifier with Aromatic Ring and the Properties of Water-based Acry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염도영;김동환;황가은;황도훈;정유진
    • 접착 및 계면
    • /
    • 제22권2호
    • /
    • pp.31-3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polyoxyethylene(10) dodecylphenyl ether와 3-butenoic acid를 사용하여 방향족을 포함한 아크릴계 비이온 반응성 유화제를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비이온 반응성 유화제는 1H-NMR과 FT-IR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수성 아크릴 베이스 에멀젼의 제조에서 합성된 방향족을 포함한 비이온 반응성 유화제와 방향족을 포함하지 않은 비이온 반응성 유화제 및 음이온 유화제를 사용하여 고형분, 전환율, 입도분포, 박리강도와 내열유지력의 물성을 확인하였다. 입도분포의 경우 370~698 nm 범위에서 측정되었으며, 박리강도는 평균 1.507~1.802 kgf/in범위에서 측정되었다. 제조된 베이스 에멀젼의 내열유지력은 0.50~2.00 mm 범위에서 측정되었으며, 특히 합성된 방향족을 포함한 비이온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한 경우, 방향족을 포함하지 않는 비이온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한 경우보다 내열 유지력이 가장 뛰어남을 확인하였으며, 수성 아크릴 점착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한 화장용 크림 유화액의 유화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Emulsion Stability for Cosmetic Facial Cream Emulsion Using Mixed Nonionic Emulsifier)

  • 홍인권;김수인;박보라;최준호;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27권5호
    • /
    • pp.527-531
    • /
    • 2016
  • 화장품 제조의 기본원리인 유화과정은 섞이지 않는 두 액체성분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한 쪽의 액체를 다른 쪽의 액체에 분산하여 안정화된 유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하여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한 후 유화액의 점도변화, 입자 크기 변화, 입자 크기 분포변화 등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비이온성 유화제의 HLB 값은 EMU-01 (HLB = 12.9), EMU-02 (HLB = 12.9), EMU-03 (HLB = 12.4), EMU-04 (HLB = 12.5)이다. 4종류의 혼합유화제 모두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가 증가하고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화장품 제조 시 교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는 감소하고 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4종류의 혼합유화제를 사용한 유화액 모두 층분리는 일어나지 않아 56일까지의 유화액의 안정성은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유화액의 점도는EMU-01 > EMU-02 > EMU-03 > EMU-04로 크게 측정되었으며, 입자 크기는 $EMU-01{\approx}EMU-02$ > $EMU-03{\approx}EMU-04$로 측정되어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할 경우 맞춤형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응성 유화제를 이용한 피부용 수성 아크릴 점착제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of Water-based Acry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Skin Using Reactive Emulsifier)

  • 이상철;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0권3호
    • /
    • pp.352-3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3-butenoic acid와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테르를 사용하여 비닐기를 가진 반응성 유화제를 합성하였다. 합성 반응성 유화제는 FT-IR 및 $^1H-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에서 합성된 반응성 유화제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각각의 점착제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형분 함량은 56.8~57.4%의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초기 접착의 경우, 반응성 유화제로 제조된 S20BA는 $^{\sharp}13$으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접착제의 박리강도는 $0.66{\sim}1.05kg_f$의 범위에서 측정되었고 S20BA를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박리 강도가 측정되었다. 내열성 시험 결과, S20BA의 내열성이 $840^{\circ}C$로 가장 높았다. 피부용 접착제에 대한 응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pH는 중성 7로 측정되었으며, 일차 피부 자극 시험의 결과로 비자극성으로 측정되었다.

D-리모넨 오일의 유화특성 (Characterization of Emulsion Properties for D-limonene)

  • 하윤식;장윤호;문현수;이정경;서무룡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875-881
    • /
    • 1998
  • Microemulsion is prepared by the method of phase inversion emulsification with d-limonene that is environmental friendly substance and nontoxic to human body as dispersed phase. Emulsifier used for preparation of microemulsion is nonionic surfactants, 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Stability of prepared microemulsion was estimated by the various method of ξ-potential, hydrodynamic diameter and electric conductivity. When d-limonene is emulsified by NP series, microemulsion is most stable and narrowly distributed at HLB value of 12.3(either one emulsifier or mixed emulsifiers). Stability of microemulsion is increased as the amount of emulsifiers is increased at same HLB value of 12.3. In the case of using the same amount of emulsifiers, number of produced micelle are relatively large as hydrodynamic diameter is small. Therefore, the state of microemulsion is stable and the electric conductivity is increased. One can determine that higher electric conductivity value means that microemulsion has more micelles and is more stable.

  • PDF

불소화 알킬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고분자의 합성과 발수성 (Synthesis and Water Repellency of Polymers with Fluorinated Alkyl Group and Isocyanate Group)

  • 백창훈;공종윤;현석희;임용진;김우식
    • 폴리머
    • /
    • 제29권5호
    • /
    • pp.433-439
    • /
    • 2005
  • 내구발수성 고분자를 얻기 위해 불소화 알킬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m-이소프로페닐-$\alpha,\;alpha$-디메틸벤질 이소시아네이트(TMI)를 유화중합시켜 불소화 알킬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3 단량체의 공중합속도는 비이온 유화제 및 비이온-양이온 혼합 유화제의 사용에 따라 상당히 의존하였고 그 최적조건을 얻었다. 공중합체의 입자크기는 105에서 222nm의 범위에 있었고 비이온-양이온의 혼합 유화제에 의해 만들어진 공중합체가 비이온 유화제로 만들어진 공중합체보다 입자가 작았다. 나일론과 면의 모델 화합물로 N-메틸아세트아미드와 셀로비오스 각각과 TMI는 반응하지 않았다. 반면에 TMI와 부틸아민은 실온에서 반응하였다. 혼합 유화제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를 코팅한 나일론과 PET 천에 대한 세탁 전후의 물의 접촉각은 $139^{\circ}$$133^{\circ}$ 정도였다. 따라서 공중합체의 내구발수성은 우수하였다

면섬유에 대한 Methyl Methacrylate의 유화 그라프트 중합 (Emulsion Graft Copolymerization of Methyl Methacrylate onto Cotton Fiber)

  • 배현석;류효선;김성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1-280
    • /
    • 1991
  • Emulsion graft copolymerization of MMA onto cotton fiber using Ce(IV) salt as an initiator was carried out. Graft yield and graft efficiency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kinds and concentrations of emulsifier and polymerization conditions. The physical properties of MMA grafted cotton fabric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heighest graft yield of emulsion graft polymerization occurred at the concentration below cmc of emulsifier, which was different from emulsion polymerization. Nonionic sur- factant as an emulsifier was more effective than anionic one. 2. The highest graft yield was obtained at the initiator concentration $1{\times}10^{-2}mol/l$. The viscometric molecular weight of PMMA was in the order of 106. 3. As reaction time increased, the graft yield increased but the graft efficiency decreased. 4. Elevation of reaction temperature resulted in increase of graft yield.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y of MMA graft polymerization was 4.72 Kcal/mol. 5. Physical properties of MMA grafted cotton fabric varied with increase of grafting. Thickness and stiffness showed a noticeable increase, whereas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as slightly increased. Crease recovery increased as the graft yield increase up to $50\%$ and decreased thereafter.

  • PDF

유화제의 HLB에 따른 O/W 및 W/S 에멀젼의 유화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ulsion Stability of O/W and W/S Emulsion according to HLB of Emulsifier)

  • 연제영;신보람;김타곤;서정민;이청희;이상길;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27-23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친수성 계면활성제와 친유성 계면활성제가 조합된 다양한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을 갖는 유화 시스템의 조건에서, required HLB 값이 각기 다른 오일들을 적용하여 제조한 O/W 및 W/S 에멀젼들의 특성 및 유화 안정성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O/W 에멀젼은 유화제의 HLB 값이 낮을수록 점도가 높고, 유화입자는 작고 조밀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원심분리에서도 더 안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W/S 에멀젼은 유화제의 HLB 값이 높을수록 유화입자는 작고 조밀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원심분리에서도 더 안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W/S 에멀젼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유화제의 HLB 조건에서 점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나 장기 안정도에서는 불안정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O/W 에멀젼은 HLB 값이 높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적용이 적합하며 W/S 에멀젼은 HLB 값이 낮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적용이 적합하다는 기본 이론과 상반되는 결과로서 앞으로의 화장품 연구 개발 시 유용한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수성접착제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Water-based Adhesive Using Gemini Type Nonionic Reactive Surfactants)

  • 신혜린;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0권5호
    • /
    • pp.597-605
    • /
    • 2019
  • 수용성 접착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여 수계 접착제에 적용하였다.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는 말레산 및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몰수가 다른 폴리 옥시 에틸렌 세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계면활성제는 FT-IR 및 $^1H-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합성된 화합물은 밝은 노란색 왁스의 형상이었고, 화합물의 운점은 $78^{\circ}C$ 이상이었다. 측정된 임계 미셀 농도(c.m.c)는 $1.0{\times}10^{-4}{\sim}7.0{\times}10^{-4}mol/L$이었고 표면장력은 25.9~32.0 mN/m이었다.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몰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화력이 향상되었다. Ross-Miles 법에 의한 화합물의 발포 높이는 1.4~4.5 cm이었다. 본 연구에서 합성된 계면활성제는 수성 접착제의 유화 중합에서 유화제로 사용되었으며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준비된 접착제의 고체 함량은 59%이었다. 접착제의 평균입자크기는 164~297 nm이었다. 접착제의 초기 점착성의 볼 번호는 20~32이었으며, 박리 강도는 $1.8{\sim}2.1kg_f/mm$이었다. 점도 유지율은 30 days 동안 99%로 확인되었다. 합성된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는 점착력을 위한 유화제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동차 보호용 아크릴 점착제의 제조 및 내성조사 (Preparation and Resistant Property of Acrylic Adhesives for Automobiles Protection)

  • 함현식;박지영;안성환;김송형;홍석영;박홍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9-176
    • /
    • 2006
  • Acrylic adhesives for automobiles protection were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Monomers used were n-butyl acrylate(BA), acrylonitrile (AN), butyl methacrylate(BMA), glycidyl methacrylate(GMA), and acrylic acid (AA). Emulsifiers used were sodium lauryl sulfate and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which are an anionic emulsifier and a nonionic emulsifier respectively. Potassium persulfate was used as an initiator and polyvinyl alcohol was used as a stabilizer. Emulsion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in a semi-batch reactor at $70^{\circ}C$ and agitation speed was kept at 200 rpm. Wat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acid resistance, alkali resistance and smoke resistance were examined. As a result, when each 0.03 mole of GMA and AA was introduced, the adhesion properties and various above mentioned resistances of the prepared adhesives were satisfied the standard for automob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