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l Anisotropy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3초

강소성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평면 이방성 재료의 디프 드로잉 해석 (Analysis of Deep Drawing of Planar Anisotropic Materials Using the Rigid- Plastic Finite Element Method)

  • 김형종;김동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48-258
    • /
    • 1992
  • Three-dimensional rigid-plastic finite element formulation based on the membrane theory was described and a computer program for large deformation analysis was developed. In the formulation, normal and planar anisotropy of sheet material and rotation of the principal axes of anisotropy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Sheet metal was assumed to be rigid-plastic material obeying Hill's quadratic yield criterion and its associated flow rule. Deep drawing process, as a preliminary test, for normal anisotropic material was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of developed finite element program.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finite element solutions or experimental data. The present study was mainly concerned with the influence of planar anisotropy on deformation behaviour. Finite element analysis and experiment were carried out for the whole process of deep drawing of planar anisotropic material. The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results on the shape of ear, strain distribution and punch load were in good agreement.

EMAT를 이용한 판재의 소성이방성 평가 (Evaluation of Plastic Anisotropy in the Steel Sheets Using EMAT)

  • 안봉영;김영길;이승석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0-277
    • /
    • 1997
  • 소성이방성은 판재의 가공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써 주로 기계적인 인장시험에 의해 측정되고 평가되어 왔다. 압연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인 방향으로 진행하는 초음파의 속도로부터 집합조직의 결정분포함수를 구할 수 있으며, 결정분포함수의 계수인 결정방위계수는 소성이방성의 평균값들과 상관 관계를 갖는다. 본 실험에서는 초음파 속도로 구한 결정방위계수와 압연강판의 소성이방성을 비교하여 서로의 상관 관계를 구하였으며, 측정결과 average normal anisotropy, $\bar{\gamma}$${\pm}0.082$, average planar anisotropy, ${\Delta}r$${\pm}0.096$의 편차 내에서 예측 가능하였다. 초음파 속도 측정에는 공진주파수측정법이 적용되었고, 초음파의 송수신에는 EMAT가 이용되었다.

  • PDF

ANISOTROPY OF CMBR AND GAUGE INVARIANT COSMIC PERTURBATION THEORIES - SOME AMBIGUITIES AND PROBLEMS

  • XU CHONGMING;WU XUEJUN
    • 천문학회지
    • /
    • 제29권spc1호
    • /
    • pp.17-18
    • /
    • 1996
  • COBE's results on the anisotropy of th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 (CMBR) is discussed. Some ambiguities in the linear GI cosmic perturbation theory are clarified. The problem of the last scattering surface and the deficiencies of the linear cosmic perturbation theory are mentioned. The possible ways to overcome the theoretical difficulties are discussed also.

  • PDF

미소면적 광학이방성 정밀 측정을 위한 수직반사형 타원계의 광소자 편광특성 및 측정정밀도 향상 연구 (Study on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Optical Device and Improvement of Measurement Precision of Normal Incidence Ellipsometer for Measuring Optical Anisotropy of a Micro Spot)

  • 염경훈;박상욱;서영진;이민호;김웅기;김상열
    • 한국광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274-280
    • /
    • 2012
  • 기존의 반사형 타원계에 광분할기와 프리즘 등의 광학소자를 추가하여 $8.0{\mu}m$ 보다 작은 면적에서 시료의 광학이방성을 측정할 수 있는 수직반사형 타원계를 제작하였다. 수직반사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 광학소자들의 편광작용을 보정하여 광학이방성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비편광 광분할기를 사용하고 사분파장 위상지연자를 장착하며 광섬유를 제거하고 파장영역을 최적화하여 광학이방성인자 측정값의 표준편차를 0.00083 으로 줄이고 방위각 변화에 따른 rutile 시료의 광학이방성인자의 변동폭을 0.015 이하로 줄일 수 있었다.

유한 요소법과 반응표면법이 결합된 동기형 릴럭턴스 전동기의 특성해석 및 이방성 회전자 설계 (Characteristics Analysis & Optimum Design of Anisotropy Rotor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Using Coupled Finite Element Method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일교;조용현;이중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754_755
    • /
    • 2009
  • This paper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 optimum design of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RM) with anisotropy rotor using a coupled Finite Element Method (FEM)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focus of this paper is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 optimum design relative to the output power on the basis of rotor materials of a SynRM. The coupled Finite Elements Analysis (FEA) & Preisach model have been used to evaluate nonlinear solutions. Comparisons are given with characteristics of normal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and those of anisotropy rotor SynRM (ANISO-SynRM), respectively. The feasibility of using RSM with FEM in practical engineering problem is investigated with computational examples and comparison between the fitted response and the results obtained from an analytical solution according to the design variables of rotor in anisotropy rotor SynRM.

  • PDF

유전율 이방성이 음인 액정을 이용한 이중 도메인 FFS 모드의 전기광학 특성 (Electro-Optic Characteristics of the Dual Domain Fringe-Field Switching(FFS) Mode using the Liquid Crystal with Negative Dielectric Anisotropy)

  • 김향율;고재완;노정동;서대식;이승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720-725
    • /
    • 2002
  • The fringe-field switching (FFS) mode was known to exhibit both a wide viewing angle and high transmittance, especially when using the liquid crystal (LC) with negative dielectric anisotropy. In the device, the LC director rotates almost in-plane. However, in the bright state the device shows bluish and yellowish color along parallel and perpendicular to the LC director at off-normal directions since the LC director rotates only in one direction. Such a problem was greatly improved using a wedge shape of only pixel electrodes. In this way two different field directions exist in a pixel, enabling the LC director to rotate in two opposite directions. Consequently, owing to dual domain effect when using the LC with negative dielectric anisotropy,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re greatly improved.

비정질 Sm-Fe계 합금 박막의 유도자기이방성 형성 (Formation of Induced Anisotropy in Amorphous Sm-Fe Based Alloy Thin Films)

  • 송상훈;이덕열;한석희;김희중;임상호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261-269
    • /
    • 1998
  • 스퍼터링 중 500~600 Oe의 자기장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조된 비정징 Sm-Fe 합금 박막에서 6$\times$104 J/m3 크기의 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되었다. 자장 증착에 이해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된 합금 박막은 이방성이 형성되지 않은 합금 박막에 비해 자구 구조에 무관한 "포화" 자기변형은 유사하지만, 측정 방향에 따른 자기변형의 이방성 비는 최대 35 정도로서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자기변형 박막의 디바이스 응용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므로, 실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스퍼터링 중 자기장을 인가하지 않고 통상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해 제조된 비정질 Sm-Fe 합금 박막을 넓은 조성 범위에 걸쳐서 체계적으로 소자한 결과, 이러한 합금 박막에서도 미약하나마 스퍼터링 중의 누설 자계에 의해 증착 도중 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최대의 유도자기이방성은 Sm 함량 25~30 원자%에서 얻어졌다. 또한 본 합금 박막의 유도자기이방성은 자장 중 열처리에 의해서도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는데, 형성된 이방성의 크기는 자장 증착에 의해 제조된 시료보다 매우 작게 나타났다. 이는 자장 증착의 경우 원자의 표면 확산을 통한 원자의 이동에 의해 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되나, 증착 후 자장 열처리에 의한 경우는 체적 확산에 의해 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때문으로 생각된다.

  • PDF

Frictional Anisotropy of CVD Bi-Layer Graphene Correlated with Surface Corrugated Structures

  • Park, Seonha;Choi, Mingi;Kim, Seokjun;Kim, Songkil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8권6호
    • /
    • pp.235-240
    • /
    • 2022
  • Atomically-thin 2D nanomaterials can be easily deformed and have surface corrugations which can influence the fri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2D nanomaterials.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graphene can be grown in a wafer scale, which is suitable as a large-area surface coating film. The CVD growth involves cooling process to room temperature, an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mismatch between graphene and the metallic substrate induces a compressive strain in graphene, resulting in the surface corrugations such as wrinkles and atomic ripples. Such corrugations can induce the friction anisotropy of graphene, and therefore, accurate imaging of the surface corrugation is significant for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friction anisotropy of CVD graphene. In this work, the combinatorial analysis using friction force microscopy (FFM) and transverse shear microscopy (TSM) was implemented to unveil the friction anisotropy of CVD bi-layer graphene. The periodic friction anisotropy of the wrinkles was measured following a sinusoidal curve depending on the angles between the wrinkles and the scanning tip, and the two domains were observed to have the different friction signals due to th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atomic ripples, which was confirmed by the high-resolution FFM and TSM imaging. In addition, we revealed that the atomic ripples can be easily suppressed by ironing the surface during AFM scans with an appropriate normal force. This work demonstrates that the friction anisotropy of CVD bilayer graphene is well-correlated with the corrugated structures and the local friction anisotropy induced by the atomic ripples can be controllably removed by simple AFM scans.

대수층 이방성 분석을 위한 자연전위 모니터링의 적용 (Application of SP monitoring to the analysis of anisotropy of aquifer)

  • 송성호;용환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1호
    • /
    • pp.49-58
    • /
    • 2003
  • 대수층의 수리적 이방성 분석을 위하여 시험정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두 곳의 실험현장에 대하여 양수시험 전후에 장기간의 자연전위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자연전위법 적용 이전 단계에서 지표 전기비저항탐사, 노말비저항검층 및 순간수위변화시험을 이용하여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구조를 파악하였다. 최근에 제안된 수치 모델을 이용하여 두 실험현장에 대한 자연전위 모니터링 자료를 해석한 결과 피압 대수층의 특성이 나타나며, 자연전위 자료로 등전위 분포도를 작성한 결과 다양한 방법에서 얻어진 대수층의 이방성 방향과 일치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이용된 대수층시험과 자연전위 자료의 복합해석을 이용한 이방성 분석 기법 적용 결과는 관측정이 없는 단공양수시험 시대수층의 수평적인 이방성 등을 추정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