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oun-modifying adverb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4 seconds

An Analysis of Noun-modifying Adverbs for Structural Disambiguation (구조적 중의성 해결을 위한 명사 수식 부사 연구)

  • Hwang, Seon Yeong;Lee, Gong Ju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3 no.4
    • /
    • pp.42-42
    • /
    • 2002
  • An adverb has been generally defined as what modifies verbs or adjectives in Korean, but we can find that some adverbs can modify nouns. These kinds of adverbs lead a structural analysis complicated; therefore, they should be exceptionally processed by a syntactic parser. In this paper, we categorize a noun-modifying adverb and characterize that from a syntactic analysis standpoint. And also, we propose a method to handle noun-modifying adverbs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syntactic analysis. By using this proposed method, we can show that the parser increases it′s accuracy from 81.9 to 83.6% on testing corpus.

An Analysis of Noun-modifying Adverbs for Structural Disambiguation (구조적 중의성 해결을 위한 명사 수식 부사 연구)

  • 황선영;이공주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3 no.4
    • /
    • pp.43-53
    • /
    • 2002
  • An adverb has been generally defined as what modifies verbs or adjectives in Korean, but we can find that some adverbs can modify nouns. These kinds of adverbs lead a structural analysis complicated; therefore, they should be exceptionally processed by a syntactic parser. In this paper, we categorize a noun-modifying adverb and characterize that from a syntactic analysis standpoint. And also, we propose a method to handle noun-modifying adverbs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syntactic analysis. By using this proposed method, we can show that the parser increases it's accuracy from 81.9 to 83.6% on testing corpus.

  • PDF

A Study on Korean Language Processing of Degree Adverb modifying Stative Noun (한국어에서 상태성 명사 수식 정도부사의 처리에 관한 연구)

  • Park, Sung-Won;Min, Chang-Woo;Kim, Seong-Mo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373-380
    • /
    • 2001
  • 한국어에서 부사는 관형사와 구별하여 통사적으로 명사 등의 체언을 수식할 수 없다고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의미적으로 상태성 명사와 수식관계를 가질 수 있는 정도부사의 경우에도 명사를 직접 수식하는 것이 아니라 그 명사를 보어로 취하는 지정사를 포함한 지정사구 전체를 수식한다는 것이 현재의 이론언어학에서의 입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말뭉치에 나타난 실제 문장을 기계적으로 처리하는 관점에서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 것은 지정사구가 아니라 상태성 명사 자체로 설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근거로서 말뭉치에서 추출한 실제 문장을 중심으로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 지정사구에 지정사가 생략되는 경우와 지정사구 형태가 아닌 다양한 명사구 형태 역시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 경우가 존재함을 보인다. 또한 정도 부사와 결합하는 명사들이 갖는 의미적 특성을 통해 정도부사와 명사와 결합시켜야 수식 관계의 처리에 용이함을 보이고 정도부사에 대한 이론적 설명에도 타당함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말뭉치에 나타난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 명사의 용례를 분석하여 빈도 및 하위 분류 특성을 살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