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Self-Efficacy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6초

The Relationships among Occupational Identity, Occupation Satisfaction Job Commitment of Care Workers in Care Hospital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 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79-18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identity, occupation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f care workers in care hospital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care workers in care hospitals as an independent variable, occupation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of occupational identity, and self-efficacy as a moderating variable were selected.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identity and occupation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care workers in care hospital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occupation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Also, the effects of occupational identity on occupation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differ depending on self-efficacy, which means that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re significant. Based on this analytical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and the direc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영향 (Self-efficacy is an Effect Modifier on the Association Between Job-Stress and Depression Scores)

  • 장덕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7-187
    • /
    • 2007
  • Purpose: We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scores" in the divided groups by self-efficacy. And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scores were analyzed.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2006 to September 2006. Collected 295 surveys were used in this study among 311 surveys since 16 surveys offered insufficient data. SPSS for Windows 10.0 was used to analyse the data. Result: We identified the factors of "Occupational climate", "Job control", "Job demand" as affecting the depression scores in the lower self-efficacy group by the multi-variables statistical analysis. And this statistical model had 12.5% explainable power. Also, the factors of "Occupational climate" were identified as affecting the depression scores in the higher self-efficacy group. And the statistical model had 9.0% explainable power. Conclusion: In the lower self-efficacy group, the scores of the job stres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refore, in the lower self-efficacy group, the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s should be needed for prevention of the related occupational diseases. The factors related job stress were identified as affecting the depression scores in both lower and higher self-efficacy groups. Therefore, job stress management program should be prepared for stress loading workers.

  • PDF

기능성 게임을 이용한 바리스타 직무훈련이 지적장애인의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rista Job Training Game on Occupational Self Efficacy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권정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3-70
    • /
    • 2017
  • 지적장애인의 직무관련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은 지적장애인의 성공적 직업재활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이 낮은 지적장애인이 기능성 게임을 이용한 훈련을 받았을 때, 자기효능감의 하나인 직무효능감이 향상되는지, 어떤 하위 직무효능감에서 향상되는지를 알아보았다. 5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한 결과, 기능성 게임을 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직무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효능감의 하위범주 4개 중, 직무관련 문제해결에 대한 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 상황 대처능력에 관한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및 직무효능감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Resilience, and Occupational Self- Efficacy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김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69-276
    • /
    • 2018
  • 본 논문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 및 직무효능감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단면연구이다. 2016년 12월 15일부터 12월 22일 까지 240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한 후 최종 20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일반적인 특성, Rosenberg Self Esteem Scale(CD-RISC), 직무효능감 등을 포함하였고, 기술적인 통계, t-test, Anova 분석,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 및 직무효능감은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회복탄력성은 직무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치위생과 학생의 직무효능감 향상을 위해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 및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치위생과 교과과정 및 비교과과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모션 인식 활용 작업치료가 신경발달장애 아동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시각-운동통합 능력, 놀이기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ion Recognition Occupational Therapy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Visual-motor Integration, Interactive Peer Play of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 김고운;오혜원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9-128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pplying occupational therapy that uses motion recognition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visual-motor integration ability, and play skills of children who have neurodevelopmental disorder before and after treatment. Methods : This The study chose 16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 as research subjects who were randomly and evenly allocat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followed a pretest-posttest design. As an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motion recognition-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a separat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The control group only participated in the separat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The eight-week experiment duration included 24 intervention sessions where the a 50-minute session was implemented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To compare the physical self-efficacy, visual-motor integration ability, and play skill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measurement tools including the Physical self efficacy, Beery VMI-6, and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were used. All measured variables were analyzed and expressed a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rcentage. Results : The motion recognition-based occupational therapy demonstrate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physical self-efficacy, visual-motor integration ability, and play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intervention also caus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physical self-efficacy, visual-motor integration ability, and play skills. Conclusion :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motion recognition-based occupational therapy c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physical self-efficacy, visual-motor integration ability, and play skills for patients who have neurodevelopmental disorder. Based on the study result, further future studies are expected based on this study result that prove the application effect of the motion recognition-based occupational therapy using disabled and non- disabled children as subjects are expected in the future.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Occupational Therapist)

  • 박은영;김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208-216
    • /
    • 2008
  • 이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작업치료사 164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특성,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척도와 자기효능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결과, 직무스트레스 척도 중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직장문화 요인과 자기효능감 척도의 자신감, 자기조절, 과제 난이도 하위 척도 모두는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 결과, 작업치료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들 중 지위 변인을 제외한 연령, 학력, 지위, 급여, 경력은 모두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작업치료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이 연구의 모형은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보육전공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직업가치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Value on the Major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Childcare)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99-206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보육전공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직업가치가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시에 소재한 예비보육교사 28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실시하였으며 변인별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하여 첫째, 보육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자기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이, 직업가치에서는 내적가치가, 전공만족도에서는 일반만족과 인식만족애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전공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직업가치, 전공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전공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직업가치가 전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보육전공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질 높은 보육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자기효능감과 올바른 직업가치가 형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작업치료사의 소진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 황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728-173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소진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작업치료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38명이었고, 2011년 10월 13일부터 11월 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사의 소진은 평균 2.12(범위: 0-6), 전문직 자아개념은 평균 2.64(범위: 1-4)이었고, 자기효능감은 평균 3.56(범위: 1-5)이었다. 둘째,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1일 치료시간, 토요근무, 적성, 종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전문직 자아개념은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문직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은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작업치료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종교였다. 따라서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작업치료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작업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진정성 리더십이 종업원의 자기 효능감과 역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Occupational Self-efficacy and Role-based Performance)

  • 김영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101-108
    • /
    • 2013
  • 조직 내 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다양한 리더십 관련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었다.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그리고 윤리 리더십 등에 대한 연구에 비해 진정성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진정성 리더십이 종업원의 업무관련 자기 효능감, 역할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업무관련 자기 효능감이 진정성 리더십이 역할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실증연구 방법을 병행하였고, 연구결과 진정성 리더십은 종업원의 업무관련 자기 효능감과 역할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종업원의 업무관련 자기 효능감 역시 역할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 내 바람직한 리더의 모습이 어떤 것이며, 종업원 성과 향상을 위해 리더가 해야 할 역할에 대해서도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일개 제조업 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 증상과 대처기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efficacy on Job Stress Symptom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Workers in a Manufacturing Company)

  • 권수영;정혜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4-44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job stress symptoms and coping strategies depending on perceived job stress. Method: The subjects were 447 workers employed in a manufacturing compan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job stress, job stress symptoms and coping strategies were assess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Each envelope to keep the secret sealed completed questionnaires. Result: Job stress and job stress symptoms in workers with a high level of self-efficacy were lower than those of a low level of self-efficacy. Active coping strategies in workers with a high level of self-efficacy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a low level of self-efficacy.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job stress sympto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creasing job stress, increasing self-efficacy, office workers, manager group and increasing age. Active coping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creasing self-efficacy, increasing career, males and decreasing job stress. Whereas passive coping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increasing job stress and increasing self-efficac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elf-efficacy is a significant factor on job stress, job stress symptoms and coping strategies. Therefore, developing a job stress management program to increase self-efficacy and verifying its effects are nee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