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treotid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1초

흰쥐 정관의 수축성에 미치는 Octreotide의 영향 (Effects of Octreotide on the Contractility of Isolated Rat Vas Deferens)

  • 장선애;권오철;하정희;이광윤;김원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44-156
    • /
    • 1993
  • Octreotide는 somatostatin 동족체로서 8개의 aminoacid로 구성된 합성 polypeptide이다. 이는 외분비선과 내분비선, 특히 위의 분비기능과 췌장분비 기능을 억제하는 작용이 강하며 somatostatin에 비하여 체내 반감기가 길고 장기에 대한 선택성이 높기 때문에 소화성 궤양에 의해 유발되는 출혈, 급성췌장염, 그리고 소화기관의 분비선에 나타나는 종양의 치료에 대한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등은 somatostatin이 말초 교감신경에 존재하며, 신경전달인자 또는 신경조정인자로서 작용할것이라는 보고와 임상적용시 혈압과 심박동수를 감소시킨다는 보고에 흥미를 가지고 그 유도체인 octreotide가 말초 교감신경에 미치는 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흰쥐 (Sprague-Dawley)의 전립선 부위 정관 절편을 적출 근편 실험조에 현수하여 등척성 장력을 측정하였다. 흰쥐 적출정관은 전기장 자극(duration : 1 mSec, voltage: 50 V, frequency: 5 Hz or 30 Hz, train: 10 Sec)에 대하여 first phasic component (FPC)와 second tonic component (STC)로 구성된 수축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수축반응은 tetrodotoxin($10^{-6}M$) 전처치로 소실되었다. Octreotide는 전기장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수축 반응을 FPC, STC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리고 24 시간 전에 reserpine(1 mg/kg, IP)을 전처치하여 norepinephrine을 고갈시킨 흰쥐에서 적출한 정관 절편과 beta-gamma-methylene ATP를 전처치하여 퓨린성 수용체를 탈감작시킴으로써 ATP의 작용을 배재한 정관절편의 전기장 유발 수축을 공히 억제하였다. 이러한 octreotide의 모든 수축 억제 작용들은 5 Hz의 전기장 자극을 가하였을 때, 30 Hz의 전기장 자극을 가하였을 때 보다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octreotide는 정관 절편의 기본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외부에서 첨가한 norepinephrine과 ATP에 의해 유발되는 수축반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octreotide는 흰쥐적출 정관의 교감신경성 신경원으로부터 ATP와 norepinephrine의 유리를 억제함으로써 그 수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of Peptide Charge on the Formation of Acylated Peptide Impurities in PLGA Formulations

  • Na, Dong-Hee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1권2호
    • /
    • pp.91-9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ptide charge on the interaction between peptide and 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for evaluating mechanism of acylated peptide formation in PLGA matrix. As a model peptide, octreotide, a synthetic somatostatin analogue and active ingredient of commercial PLGA product, was used. The disulfide group of octreotide was reduced with dithiothreitol and the sulfhydryl groups were modified with N-${\beta}$-maleimidopropionic acid (BMPA) to neutralize octreotide with positive charge in physiological conditions. The BMPA-conjugated octreotide was identified by measuring the molecular mass with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In the interaction study with PLGA, native octreotide showed initial adsorption to PLGA and substantial production of acylated peptides (56% of overall peptide), whereas BMPA-conjugated octreotide showed minimal adsorption to PLGA and no acylation products for 42 days. Consequently, the neutralization of octreotide completely inhibited the peptide acylation by preventing interaction of peptide with PLGA.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initial polymer interaction of peptide is important step for peptide acylation in PLGA matrix and suggests the modulation of peptide charge as strategy for inhibiting the formation of acylated peptide impurities.

Effect of pH on the Formation of Acylated Octreotides by Poly(lactide-co-glycolide)

  • Na, Dong-Hee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0권4호
    • /
    • pp.251-254
    • /
    • 2010
  • The formation of acylated peptide impurities in poly(lactide-co-glycolide) (PLGA) formulations is one of the major challenges to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sustained-release product. Octreotide, synthetic analogue of somatostatin, has been identified to be acylated in PLGA microsphere formu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 effect on the formation of acylated octreotides by PLGA. In the incubation with PLGA in 0.1 M phosphate buffer at pH 7.4, approximately 98% of octreotide adsorbed to PLGA through 14 days and 66.3% of acylated octreotides were produced after 42 days, whereas the interaction of octreotide with PLGA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incubation at pH 4, in which the acylated octreotides were observed to be 9.2% after 42 days. In the interaction study at pH 4.1-7.4, the production of acylated octreotides was demonstrated to be dependent on environmental pH. Below pH 5.0, the acylation of octreotide was significantly inhibited.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H is the major factor for the formation of acylated octreotide in PLGA formulations.

보존요법과 함께 octreotide 주입을 이용한 수술후 유미흉 치험 2례 (Two cases of postoperative chylothorax treated with parenteral octreotide and conservative therapy)

  • 최은진;이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3호
    • /
    • pp.298-301
    • /
    • 2007
  • 선천성 심장병의 수술후 발생되는 유미흉은 드문 합병증이다. 이는 수분, 전해질 및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감염에 취약함을 보이기도 한다. 지금까지의 보존요법에 대해 비교적 치료성적이 좋으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적 중재가 불가피하다. 저자들은 보존요법과 octreotide 주입을 병행하여 수술적 중재를 피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한 수술후 발생된 유미흉 2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악성장폐색 환자에서 Octreotide의 치료 효과 (Effect of Octreotide on Patients with Malignant Bowel Obstruction)

  • 박지찬;장이선;전은경;김동규;이욱현;이국진;류시영;최현호;박석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4호
    • /
    • pp.194-198
    • /
    • 2009
  • 목적: 진행성 암 환자에서 악성장폐색은 구역, 구토, 통증을 비롯한 소화기계 증상을 유발하여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악성장폐색의 증상 조절을 위해 octreotide를 투여한 후의 효능에 대한 보고들이 발표되었고, 저자들은 악성장폐색이 있는 환자에게 보존적 치료에 octreotide를 추가하여 투여시의 효과와 안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의무기록을 통하여 일반적인 치료로 호전이 없어 octreotide를 추가한 악성장폐색의 환자 29명에서 octretide를 0.1 mg을 시작으로 증상 조절될 때까지 증량하여, 약 투여 전후의 통증의 변화, 구토 횟수의 변화, 비위관 삽입환자의 경우 배액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Octreotide 투여량의 중간 값은 0.2 mg이고 0.1~0.6 mg의 범위이며, 약제 투여시점으로부터 사망까지 2일에서 103일의 범위로 중간 값은 20일이었다. 약제 투여 전의 VAS는 평균 5.6$\pm$1.2이고, 약 투여 후 VAS의 평균은 2.7$\pm$1.0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약제 투여 전의 구토 횟수는 평균 3.6회/일$\pm$2.5이었고 약 투여 후에는 0.4회/일$\pm$0.8로 감소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약제 투여전에 비위관 삽입 환자는 평균 975$\pm$1,083 cc/일의 배액이 확인되었고, 약 투여 후에는 평균 115$\pm$196 cc/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일반적인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는 악성장폐색환자에서 octretide의 추가 투여는 효과적이며 안전하였다. 악성장폐색 환자의 증상조절을 위해서 octreotide의 추가 투여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하겠다.

  • PDF

Clinical Impact of Palliative Treatment Using Octreotide for Inoperable Malignant Bowel Obstruction Caused by Advanced Urological Cancer

  • Kubota, Hiroki;Taguchi, Kazumi;Kobayashi, Daichi;Naruyama, Hiromichi;Hirose, Masahito;Fukuta, Katsuhiro;Kubota, Yasue;Yasui, Takahiro;Yamada, Yasuyuki;Kohri, Kenjir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107-7110
    • /
    • 2013
  • Malignant bowel obstruction (MBO), an occasional complication in patients with advanced urological cancer, causes gastrointestinal symptom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leading to suffering which severely impairs quality of life (QOL). Drug therapy, especially octreotide, a synthetic analog of somatostatin, is reportedly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symptoms of MBO. In the present study, we administered octreotide to urological cancer patients with MBO and evaluated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symptoms, oral intake, and nasogastric intubation. Fourteen terminally ill urological cancer patients suffering with MBO were included (age range 55-92, 10 male, 4 female). Octreotide was administered at $300{\mu}g/day$ to those patients subcutaneously as a continuous injection.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ubjective symptoms were observed in thirteen patients (92.8%), and ten patients (71.4%) were able to resume oral intake. Four patients required nasogastric drainage before the administration of octreotide, but nasogastric intubation was discontinued in all these cases after the use of octreotide. Early initiation of octreotide resulted in better improvement of MBO symptoms, and no adverse event was observed in any of the patients. These results revealed that $300{\mu}g/day$ dose of octreotide is safe and effective for managing gastrointestinal symptoms of terminally ill urological cancer patients with MBO. We also recommend starting the treatment with ocreotide as soon as MBO is diagnosed.

선천성 유미흉의 임상적 고찰과 옥트레오타이드 치료 (A clinical study of congenital chylothorax and octreotide therapy)

  • 오웅건;최경은;김경아;고선영;이연경;신손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1호
    • /
    • pp.1172-1178
    • /
    • 2008
  • 목 적: 선천성 유미흉은 림프관의 발달이상이나 분만시 외상으로 림프관에 손상이 가해져 유미가 흉관에 새어 나와 흉강 내에 고이는 것으로 설명되지 않는 태아수종의 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전 진단된 태아수종 중 원인질환이 유미흉으로 밝혀진 6예에 대해서 주산기내력, 임상양상, 진단, 치료 및 결과에 관하여 살펴보고, 장간막 혈류를 줄이는 효과를 갖고 있는 somatostatin 유사체인 octreotide의 사용이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3년 6개월간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에서 출생한 27,907명의 신생아 중 태아수종을 동반한 선천성 유미흉으로 진단된 6명의 환아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모유 또는 조제분유 수유전과 후의 흉강천자액을 분석하여 유미흉으로 확진하였고 금식, MCT milk, 인공환기기, 흉관삽입 등의 보존적 치료로 완치되었던 3예와 유미흉이 지속되어 octreotide를 사용했던 3예의 분만 형태, 진단시 검사 소견, 치료 방법, 합병증 및 임상경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선천성 유미흉은 0.021%의 발생률을 보였으며, 6예 모두 산전검사에서 양수 과다, 흉막 삼출 및 복수가 관찰되어 태아수종으로 진단되었다. 재태 연령은 33주에서 36주 4일이었고 평균체중은 $3,057{\pm}557g$ (2,200-3,805 g), 아프가 점수 1분 $3.0{\pm}1.1$점(1-4점), 5분 $5.7{\pm}2.0$점(5-7점)으로 모두 제왕절개로 분만하였으며, 흉막삼출은 양측성이 6예, 여아에서 4예가 관찰되었다. 흉강천자액의 분석에서 6예 모두 림프구는 92% 이상이었고, TG는 출생직후 삼출액에서 경관수유 후 유미액으로 바뀌면서 200 mg/dL 이상으로 상승되었다. 인공호흡기, 보존적 치료와 흉관삽입으로 치료하여 이중 3예(50%)가 $26.3{\pm}6.4$일(19-30일) 동안 치료받고 퇴원하였고, 나머지 3예(50%)는 유미흉이 지속되어 octreotide로 치료하였으며 평균 입원기간은 $57.7{\pm}16.2$일(39-68일)이었다. Octreotide는 평균 $18{\pm}9$일 동안 1-10 mcg/kg/hr 주입속도로 정맥내 주사하였으며, 3명 모두 완치 후 퇴원하였다. 외과적 치료가 필요하였던 환아는 없었으며, 치료 중 기흉 1명, 저알부민혈증 2명이 관찰되었고, octreotide 사용시에 1예에서 경한 구토증상만 보였지만 다른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결과와 같이 octreotide는 보존적 치료에 잘 치료되지 않는 선천성 유미흉에 대해서 좋은 치료약제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octreotide 치료의 주입방법, 용량, 치료시작 및 사용기간 등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라인이 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며, 또한 octreotide의 좀 더 빠른 치료시작시기가 치료결과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tability of Octreotide Acetate in Aqueous Solutions and PLGA Films

  • Ryu, Ki-Won;Na, Dong-Hee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9권5호
    • /
    • pp.353-357
    • /
    • 2009
  • As a synthetic analog of the naturally occurring hormone somatostatin, octreotide has been commercially formulated in poly(lactide-co-glycolide) (PLGA) microspheres for the treatment of acromega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tability of octreotide acetate in aqueous solutions at various pH values and PLGA films. Stability-indicating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was developed with good precision and accuracy, and it was applied to the stability studies. In aqueous solutions at pH 2.5-9.0, the degradation of octreotide followed approximately first order kinetics and the most favorable stability was found at pH 4. In PLGA films, the formation of acylated octreotides reached approximately 55% of the released octreotides. Various acylated octreotides was structurally identified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ic analysis.

Association Between Insulin-like Growth Factor-2 Expression and Prognosis after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and Octreotide in Patients with Hepatocellar Carcinoma

  • Xiong, Zheng-Ping;Huang, Fang;Lu, Meng-Ho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7호
    • /
    • pp.3191-3194
    • /
    • 2012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ange of IGF-2 level in serum after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progression, especially in relation to metastasis. Methods: IGF-2 in serum was measured by quantitative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before, 3 days and 4 weeks after TACE in 60 patients with HCC. The occurrence of HCC metastasis was also evaluated, 3 months after TACE. Results: (1) The average serum level of IGF-2 in the 60 patients with HCC was $136.5{\pm}87.3$ pg/ml; (2) A tendency for increase was observed with heterogenous uptake of octreotide and portal vein thrombosis. Metastatic foci were found in 37/38 patients in the group with IGF-2 increasing (97.0%), in contrast to 3/22 (13.6%) patients with IGF-2 decrease. Conclusion: The increase of IGF-2 level in serum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metastatic HCC after TACE and chemotherapy.

옥트레오타이드를 이용한 수술 후 유미흉의 보존적 치료 -1예 보고- (Conservative Management of Postoperative Chylothorax Using Octreotide - A case report-)

  • 김건일;박종운;박상현;이재웅;홍기우;최영진;이원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72-174
    • /
    • 2005
  • 유미흉은 드물지만 심각한, 잘 알려져 있는 흘부 및 심장 수술의 합병증이다. 동맥관 개존증 결찰 및 대동맥 축착증 교정술을 시행 받은 3개월 된 남자 환아에서 수술 후 유미흉이 발생하였다. 환자는 흉강 배액과 함께 옥트레오타이드 주사요법과 중쇄지방산 분유를 이용한 보존적 방법으로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 후 발생한 유미흉 환자에서 옥트레오타이드를 사용한 보존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