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ontobutis interrupta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얼록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자치어의 골격발달 (Early Oste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in the Korean Spotted Sleeper Odontobutis interrupta from Korea)

  • 박재민;한지형;윤성민;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96-405
    • /
    • 2017
  • We observed the osteological development in larvae and juveniles of Korean spotted sleeper Odontobutis interrupta bred in the laboratory in April 2014. Immediately after hatching, the prelarvae, which were about 4.27 mm long, showed ossification of the premaxillary bones in the upper jaw and the dentary and articular bones in the lower jaw. At 7.11 mm, the larvae showed complete fusion of the post-cleithra and ossification of the scapulae with the appearance of one hole. At 8.65 mm, the larvae showed ossification of seven ribs from the third abdominal vertebra and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neural spine and hemal spine. The number of caudal fin rays increased to 19. At 11.9 mm, the juveniles showed ossification of three procurrent rays on the side of the parhypural bone as well as ossification of two procurrent rays on the side of the epural bone, indicating the complete ossification of all spicules.

얼룩동사리(Odontobutis sp.)에 피낭한 Echinostoma hortense 및 백에의 감염실험 (Echinostomu hortense Metacercariae Naturally Encysted in Odontobutis obscura interrupta (a Freshwater Fibh) and Experimental Infection to Rats)

  • 안영겸;량영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230-235
    • /
    • 1985
  • The metacercariae of an echinostomatid fluke were detected from a freshwater 6sh, Odontobutis obscura interrupta caught from the Seom river system, Wonseong-gun, Kangwon-do, and experimentally infected into rats to obtain the adult worms for the species identification. A total of 32 metacercariae was detected from 10 fishes (27.8%) out of 36 O. obscura interrupta caught from the river. The average size of metacercariae was $153.4{\times}149.0{\;}{\mu}{\textrm{m}}$. Also, it was uniquely specific that thickened membrane was formed around the metacercarial cyst wall. The rats orally infected with those metacercariae were sacrificed 20 days after infection to get the adult worms. The mean length and width of the adult worms were 0.75 cm and 0.13 cm, respectively. The number of collar spines on circumoral disk was 26 to 28, and the end group spines at lateral sides of the oral sucker were 4 on each side. The echinostomatid flukes observed in this study were all identified as Echinostoma hortense according to the morphologies of the cirrus sac, ovary, vitellaria and testes of the adult worms and the shape of eggs. On the other hand, O. obscura interrupta is one of the fresh-water fish that are preferably eaten raw by the rural inhabitants. Although no human case of 5. hortense infection by eating O. obscura interrupta has been experienced yet, the possibility is strongly suggested in this study.

  • PDF

한국산 동사리과 (Odontobutidae)와 둑중개과 (Cottidae) 5종의 핵형 (Karyotypes of Five species in Odontobutidae and Cottidae of Korea)

  • 박갑만;송호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5-162
    • /
    • 2006
  • 한국산 동사리과 (Odontobutidae)의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얼록동사리 (O. interrupta), 남방동사리 (O. obscura) 그리고 둑중개과 (Cottidae)의 둑중개 (Cottus koreanus), 한둑중개 (C. hangiongensis) 등 5종의 핵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사리, 얼록동사리, 남방동사리의 염색체 수 및 핵형은 2n=44 (22T), NF=44였으며, 둑중개와 한둑중개의 염색체 수와 핵형은 2n=48(2ST+22T), NF=52로 밝혀졌다.

PIT telemetry를 이용한 얼록동사리의 서식지 선택 연구 (Study on Habitat Selection of Odontobutis interrupta using PIT Telemetry)

  • 김준완;김규진;최범명;윤주덕;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55권4호
    • /
    • pp.294-304
    • /
    • 2022
  • 본 연구는 고유종인 얼록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의 이동 패턴과 서식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PIT telemetry를 이용하여 금강 수계의 지류 하천인 용수천의 상류 지점(충남 공주시 반포면 공암리 공암교, St. 1)과 용수천 중류 지점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두만리 백룡교. St. 2)에서 2021년 3월부터 10월까지 수행되었다. 어류 채집은 족대(망목: 5×5 mm)와 통발(5×5 mm)을 이용하였고, PIT tag 삽입은 현장에서 즉시 수행하였다. 총 21회 모니터링에서 70개체가 115회 감지되었으며, 분석결과 얼록 동사리의 평균 총이동거리는 36.5 (±6.6) m로 확인되었으며, 전장에 따른 얼록동사리의 이동거리는 크기가 큰 개체일수록 더 멀리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얼록동사리가 감지된 지점의 평균 수심은 36.2 (±1.9) cm, 평균유속은 0.03 (±0.07) m s-1 , 평균 수변부로부터의 거리는 4.4 (±0.3) m로 나타났다. 또한, 감지된 돌 면적에 대해 방류 후 최초선택하는 돌의 면적과 이후에 선택하는 돌의 면적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방류 후 24시간 이전 감지를 제외한 나머지 감지에 대한 전장과 돌의 면적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서식지 복원을 위해서는 개체크기별 다양한 서식조건(수심, 유속, 돌 등)을 제공하여 개체별 다양한 하상 구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Korean Endemic Species Korean Spotted Sleeper, Odontobutis interrupta (Pisces: Odontobutidae)

  • Park, Jae-Min;Han, Kyeong-Ho;Kim, Na-Ri;Yoo, Dong-Jae;Yun, Seong-Min;Han, Ji-Hyeo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4호
    • /
    • pp.259-266
    • /
    • 2014
  • The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Korean spotted sleeper, Odontobutis interrupta which is Korean endemic species from Sora-choen was investigated. The Korean spotted sleeper were caught at Sora-myeon, Yeosu-si, Jeollanamdo, from Korea at May in 2014. The fertilized eggs were $4.23{\pm}0.05mm$ in long diameter and had oil globules. Hatching time of the embryo began about 442 hr 14 min after fertilization under water temperature of $19.5^{\circ}C$.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4.27{\pm}0.35mm$ in total length and their anus were not yet opened. 3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was measured $6.20{\pm}0.11mm$ in total length. 10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was measured $6.69{\pm}0.14mm$ in total length.

구굴무치과에 속하는 동사리와 얼룩동사리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on Korean Dark Sleeper,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Dark Sleeper, Odontobutis odontobutis interrupta in the Family Eleotridae)

  • 하봉석;김명선;백승한;김현영;김수영;정계임;권문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13-820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as a part of comparative biochemical studies of carotenoid pigment for the fresh water fish. Carotenoids in integument of Korean dark sleeper,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dark sleeper, Odontobutis odontobutis interrupta, which are all the Korean native fresh water fish, were separat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The separated carotenoid were then reduced and isomerized by NaBH4 and I2 respectively to investigate UV-Vis spectrophotometeric patterns and chracterized by IR, 1H-NMR and Mass spectrum. The content of total carotenoids in the integument of Korean dark sleeper was 3.01mg% in April, but it was increased to 3.74mg% in September at the near of spawning period. The carotenoid isolated in April consisted of $\beta$-carotene(25.6%), lutein(18.5%) and zeaxanthin(12.0%) as major carotenoids and also contained isocryptoxanthin, diatoxanthin, tunaxanthin, cynthiaxanthin, canthaxanthin and $\alpha$-cryptoxanthin as minor carotenoids. Similarly, in September the carotenoid consisted of $\beta$-carotene(16.5%), zeaxanthin(13.7%) and cynthiaxanthin(13.6%) as major carotenoids and also contained lutein, isocryptoxanthin, tunaxanthin, $\alpha$-cryptoxanthin, diatoxanthin and canthaxanthin as minor carotenoids. At the near of spawning period, the content of cynthiaxanthin and $\alpha$-cryptoxanthin were increased. The content of total carotenoids in the integument of spawning period. T도 carotenoid isolated in April and September consisted of $\beta$-carotene(24.9%, 27.5%), zeaxanthin(14.4%, 20.9%) and lutein(12.6%, 11.4%) as major carotenoids and also contained cynthiaxanthin, tunaxanthin, diatoxanthin, isocryptoxanthin, $\alpha$-cryp-toxanthin and canthaxanthin as minor carotenoids. At the near of spawning period, the content of zeaxanthin was increased, indicating that the carotenoid composition were dependent upon their living conditions and their integument colors. Both Korean dark sleeper and dark sleeper contained high amount of cynthiaxanthin and diatoxanthin which are found as rare carotenoids in the other of fresh water fish. It is interes that they also contained tunaxanthin which is a specific carotenoid in marine fishes.

  • PDF

탐진강 수계의 어류상에 관하여 (On the Ichthyofauna of the Tamjin River System)

  • 황영진;최충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5-139
    • /
    • 1995
  • 탐진강 수계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10과 29속 39종이었으며 고유종은 12종이었고 잉어과에 해당하는 어류는 14속 21종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 조사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Puntungia herzi 뿐이었고 Rhodeus uyekii, Acheilognathus korean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Microphysogobio yaluensis, Zacco platypus, Zacco temmincki, Cobitis taenia lutheri, Cobitis longicorpus, Odontobutis platycephala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우세하게 출현하는 종은 Zacco temmincki, Acanthorhodeus gracilis, Zacco platypus, Rhodeus uyekii, Puntungia herzi, Squalidus gracilis majimae이었다. 반면 희소하게 출현된 종들은 Anguilla japonica, Rhodeus ocellatus, Pseudorasbora parva, Abbottina rivularis, Silurus asotus 등이었다. Odontobutis obscura interrupta가 본 수계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어 주목되었다.

  • PDF

얼룩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의 산란행동 및 난발생에 관한 연구 (The Spawning Behavior and Egg Development of Odontobutis interrupta IWATA and JEON, 1985)

  • 최신석;나영언
    • 환경생물
    • /
    • 제18권3호
    • /
    • pp.323-330
    • /
    • 2000
  • 얼룩동사리의 자연서식지 및 산란조건을 관찰한 바 수심은 0.3-0.6m범위, 유속은 0.1-0.3m/sec, 난괴의 정착면적은 2.75-19.56cm였다. 난소의 성숙도는 체장 80mm 이상에서 점점 증가하며 100mm 정도 되어서는 최고의 성숙도를 보였다. 또한 산란행동은 인공수조에서 수컷이 산란장소를 마련한 후 강한 세력권을 형성하고, 암컷을 유인한 후 방란 촉진 구애행동을 보였다. 그리고 난 후 배를 거꾸로 뒤집은 자세로 방란 방정을 마친 후 암컷을 쫓아냈으며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하여 수류를 일으킴으로써 알에 신선한 물을 공급하였다. 난발생과정은 수정 후 1시간 17분에 배반이 형성되고 이후 약 36분의 간격으로 난할이 규칙적으로 일어났으며 7시간 12분에 포배기, 11시간 11분에 낭배기가 시작, 32시간 48분에 난황전을 형성하였다. 수정 후 33시간 45분에 배체가 형성되었고, 47시간 27분에 안포가 형성되며 체절은 30-31개가 되었다. 65시간 15분에 심장의 원기가 형성되고 박동수는 44-48time/min이 되었다. 수정 후 138시간 40분에 가슴지느러미가 형성되었고, 170시간 45분에 부레의 형성과 자어의 몸통 하단에 흑색소포가 관찰되었다. 수정후 248시간 05분에 난각을 뚫고 부화하였으며 이때 자어의 전장은 5.8$\pm$0.2mm, 무게는 3.0$\pm$0.5mg이었다. 몸은 투명하며 흑색소포가 산재하여 있었고 난황이 남아 있었다.

  • PDF

금당천에 서식하는 얼록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Korean Dark Sleeper, Odontobutis interrupta in the Keumdang Cheon (Stream),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98-208
    • /
    • 2023
  • 얼록동사리의 식성 분석을 위해 금당천에서 2021년 3월부터 11월까지 채집을 하였고 크기는 연령별로(1년생, 2년생, 3년생 이상)로 구분하였다. 먹이생물은 절지동물(Arthropoda, 개체수 86.6%) 갑각강(Malacostraca, 연갑강)의 등각목(Isopoda), 단각목(Amphipoda), 십각목(Decapoda), 수서곤충(Aquatic insect)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잠자리목(Odonata), 노린재목(Hemiptera), 강도래목(Plecoptera), 딱정벌레목(Coleoptera), 파리목(Diptera), 날도래목(Trichoptera), 환형동물(Annelida, 개체수 7.3%) 환대강(Clitellata)의 실지렁이목(Tubificida), 가시지렁이목(Haplotaxida), 부리거머리목(Rhynchobdellida), 연체동물(Mollusca, 개체수 2.8%)에 속하는 복족강(Gastropoda)의 수병안목(Systellommatophora)과 중복족목(Mesogastropoda), 척추동물에 속하는 어류(3.3%) 그리고 어란 등 다양하였다. 수서곤충, 어류, 갑각류, 환형동물 등을 주로 서식하였으며 수서곤충이 개체수에 있어 70.0%, 생체량은 31.7%, 상대중요성지수는 72.7%로 가장 중요한 먹이원이었다. 식성은 육식성 이었으며 먹이 섭취 특성과 형태는 육식포식자(stalker)에 속하였다. 전장이 증가함에 따라 섭식한 먹이의 개체량과 생체량에 있어 파리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어류, 새우류, 날도래류, 잠자리류 등이 증가하는 먹이 전환이 발생하였다. 봄에는 먹이생물 중 파리류(65.3%), 지렁이류(14.5%), 하루살이류(7.0%) 등을 주로 섭식하였고 여름에는 파리류(58.6%), 하루살이류(24.5%), 어류(4.8%) 등이 풍부하였고 가을에는 파리류(30.1%), 하루살이류(20.4%), 등각류(13.3%) 등을 많이 섭식하였다.

습지생태계의 공익적 서비스 연구 -1. 자생어류을 이용한 모기유충의 효과적인 생태학적 제어방법 (A Study on the Ecosystem Service of Wetland -1. Effective Biological Control of the Mosquito Larvae using Native Fishes)

  • 정헌모;김해란;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4
    • /
    • 2013
  • 토종어류를 이용한 효율적인 생태학적 모기 방제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서산지역에 서식하는 토종어류를 이용하여 모기를 제어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알아보았다. 어류 종류별에 따른 모기유충 포식률과 온도차에 따른 포식활동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32^{\circ}C$의 환경에서는 왜몰개가 가장 높은 포식률을 보였고 미꾸라지가 가장 낮은 포식률을 보였다. 반면 낮은 온도의 환경에서는 왜몰개와 얼룩동사리가 가장 빠른 시간에 높은 포식률을 보인 반면, 미꾸라지는 온도와 상관없이 어류 6종 중에 모기유충 포식률이 가장 낮았다. 수심에 따른 어류 종류별 모기유충 포식률은 왜몰개와 참붕어가 수조의 아랫부분에서, 붕어와 얼룩동사리는 수조 바닥부분에서 높은 포식률을 보였고, 미꾸라지는 수조 바닥부분에서 모기유충을 섭식하였다. 그리고 대륙송사리는 수표면에서 95%의 높은 포식률을 보였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어류 3종을 선정하여 모기유충 50마리를 포식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 왜몰개 2마리는 10분, 대륙송사리 2마리는 21분 그리고 미꾸라지 2마리는 45분이 걸렸다. 반면 미꾸라지와 왜몰개를 각각 1마리씩 넣었을 때는 8분, 미꾸라지와 대륙송사리를 넣었을 때는 17분이 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