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center Collisio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Level Set 방법을 이용한 액적 충돌 현상에 대한 수치해석 (A Numerical Analysis on the Binary Droplet Collision with the Level Set Method)

  • 이상혁;허남건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59-564
    • /
    • 2008
  • A prediction of binary droplets collision is important in the formation of falling drops and the evolution of sprays. The droplet velocity, impact parameter and drop-size ratio have influence on the interaction of the droplets. By the effect of these parameter, the collision processes are generated with the complicated phenomena. The droplet collision can be classified into four interactions such as the bouncing, coalescence, reflexive separation and stretching separation. In this study, the two-phase flow of the droplet collision was simulated numerically by using the Level Set method. 2D axi-symmetric simulations on the head-on collisions in the coalescence and reflexive separation, and 3D simulation on the off-center collisions in the coalescence and stretching separation were performed. These numerical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he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s. For tracking the identity of droplets after the collision, transport equation for the volume fraction of the each initial droplet were used. From this, the identities of droplets were analyzed on the collision of droplets having different size.

  • PDF

레벨셋 방법을 이용한 액적 충돌에 대한 수치해석 (A Numerical Analysis of the Binary Droplet Collision by Using a Level Set Method)

  • 이상혁;허남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4호
    • /
    • pp.353-360
    • /
    • 2011
  • 액적 충돌은 물방울 형성 및 분무 유동 등의 현상을 예측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액적 충돌은 액적 속도, 충돌 파라미터, 액적 크기비에 영향을 받아, 충돌 후 거동 특성이 결정된다. 충돌 후 액적은 반사, 합일, 스트레칭 분리, 리플렉시브 분리와 같은 거동 특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레벨셋 방법을 사용하여 충돌 후 액적 거동 특성에 대한 이상유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정면충돌 현상에 대한 2차원 축대칭 해석으로부터 합일 및 리플렉시브 분리 현상을, 비중심충돌 현상에 대한 3차원 해석으로부터 합일, 리플렉시브 분리, 스트레칭 분리 현상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해석 결과는 기존 실험 및 이론적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초기 액적의 부피비에 대한 수송 방정식을 사용하여 충돌하는 두 액적의 성분을 추적하였다. 이로부터 크기가 다른 두 액적의 정면충돌에 대한 액적 성분 추적을 통해 액적 거동 및 액적 성분에 대해 분석하였다.

Avoiding a Collision in Gamma Knife Radiosurgery : A Modified Mask Fixation Method

  • Hyeong Cheol Moon;Doheui Lee;Byung Jun Min;Young Gyu Kim;Yun-Sik D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4호
    • /
    • pp.476-481
    • /
    • 2023
  • Objective : The latest version of the Leksell Gamma Knife IconTM allows for mask- and frame-based fixation. Although mask fixation provides fractionated treatment and immobilization using a noninvasive method, it is not free from collision.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collision problem with a modified mask fixation method. Methods :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two meningiomas in the frontal area, where a collision occurs in the occipital area. A modified mask fixation method was introduced to avoid the collision : first, the edges of the head cushion were cut off and polystyrene beads with a diameter of approximately 5 cm were removed. Next, the head cushion was sealed using a stapler. Finally, the head cushion was flattened in the adapter. We compared the shot coordinates, 3-dimensional (3D) error, clearance distance, and vertical depth of the head cushion between the initial and modified mask fixations. Results : When comparing the initial and modified mask fixations, the difference in the shot coordinates was +10.5 mm along the y-axis, the difference in the 3D error was approximately 18 mm, and the difference in clearance was -10.2 mm. The head cushion was approximately 8 mm deeper in the modified mask fixation. Conclusion :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mmend a modified mask fixation method for gamma knife radiosurgery using ICON with a collision.

차체구조물의 부식이 충돌안전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ffect of Collision Safety by Corrosion of Body Structure)

  • 박인송;정태용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41-148
    • /
    • 2002
  • Repair were made for front pillar, center pillar and side-step panel for lightweight vehicles with head-on and 40% off-set collision of 15 km/h in a RCAR standard. The salt dilution was sprayed and the compression tests were performed for vehicles with and without anti-corrosional treatment after repair. After 764 hours of salt-dilt sprayed test without using anti-corrosion, the mean penetration depth fur corrosion was shown to be 58% of the thickness. The resulyed decrease in bending stiffness by 10∼20% can cause reduction of the residual life and crash-absorption capability for damaged vehicles. The corrosoin safety tests showed that the anti-corrosional treatment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safety characteristics for a or damaged car.

원생대 이후 트라이아스기까지의 남한과 동북아시아의 지구조 진화 (The tectonic evolution of South Korea and Northeast Asia from Paleoproterozoic to Triassic)

  • 오창환
    • 암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9-87
    • /
    • 2012
  • 최근 송림 조산운동시기인 트라이아스기에 홍성 지역의 에클로자이트와 경기육괴 내에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충돌 후 화성암이 형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발견에 의해 1980년대 말에 확인된 남중국판과 북중국판의 충돌대인 트라이아스기 친링-다비-수루 충돌대가 한반도의 홍성 지역으로 연결된 후 양평 지역을 거쳐 오대산 지역으로 연결되는 모델이 제시되었다. 그 이후 충돌대는 일본 서남부의 고생대 섭입 복합체와 북한의 고생대 섭입 복합체인 연변대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 경기육괴는 홍성-양평-오대산 충돌대를 경계로 나뉘어져야하며 충돌대 북부는 북중국판에 남부는 남중국판에 대비될 것이다. 남중국판과 북중국판의 충돌은 페름기에 한반도로부터 시작하여 중국 쪽으로 진행되었으며 트라이아스기 말에 충돌이 완료되었다. 다비-수루-홍성-양평-오대산 충돌대를 따라 동측에서 서측으로 변성조건이 체계적으로 변화한다. 가장 동측에 해당하는 오대산 지역에서는 245-230 Ma 초고온 변성작용이 한반도의 서측에 해당하는 홍성지역에서는 230Ma 고압변성작용이 그리고 중국의 수루, 다비 지역에서는 220Ma의 초고압 변성작용이 일어났다. 충돌대를 따라 나타나는 체계적인 변성조건의 변화는 충돌 전 섭입된 해양지각의 양이 동측에서 서측으로 증가하여 섭입하던 대륙판과 해양판의 분리되는 깊이가 동측에서 서측으로 점차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반도 남부 영남육괴와 남중국판 남부에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섭입관련 화성암은 북중국판과 남중국판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충돌이 남중국판 남쪽 경계부에서의 섭입작용을 시작시켰을 가능성이 있음을 지시한다. 즉 한반도의 송림 조산운동 시기에는 경기육괴지역에서 대륙충돌이 일어나 한반도가 형성되었으며 동시에 대륙충돌에 의해 영남육괴 남측에 섭입대를 형성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홍성-양평-오대산 충돌대를 경계로 하여 경기육괴 북부와 남부는 모두 콜롬비아 초대륙 형성 후기인 1870-1840 Ma에 대륙충돌이나 섭입 작용에 의해 화성 및 변성작용을 강하게 받았다. 옥천 변성대는 중국 남중국판 내에 나타나는 760Ma 경에 형성된 난후아 열곡대에 대비될 수 있으며 그럴 경우 경기육괴 남부와 영남육괴는 각각 남중국판의 북부 양쯔판과 남부 커테시아판에 대비된다. 최근 경기육괴 변성퇴적암, 옥천변성대 등에서 광역적으로 발견되는 실루리아기-데본기의 쇄설성 저어콘은 경기육괴 내에 데본기 혹은 그 이후 고생대 시기의 퇴적암이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홍성과 광천 지역에서 확인된 데본기의 변성작용과 함께 페름기-트라이아스기의 대륙충돌 이전인 고생대 중기에도 경기육괴에 활발한 지구조 운동이 일어났음을 지시한다.

자동차 가상생산 기술 적용(III) - 가상 도장공장구축 및 운영 (Virtual Manufacturing for an Automotive Company(III) -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Virtual Paint Shop)

  • 노상도;김덕영;박영진
    • 산업공학
    • /
    • 제15권4호
    • /
    • pp.356-363
    • /
    • 2002
  • Virtual Manufacturing is a technology to facilitate effective product development and agile production by computer models representing the physical and logical schema and the behavior of real manufacturing systems including manufacturing resources, environments and products. For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a virtual factory as a well-designed and integrated environment is essential. In this research, we constructed a sophisticated virtual factory model of an automotive company's paint shop, and performed precise simulations of unit cells, lines and whole plant operations for collision check and off-line programming. It is expected that this virtual paint shop is useful for achieving time and cost savings in many manufacturing preparation and planning activities of new car development processes.

저속40%옵셋 충돌시험을 통한 프레임형 승용차량의 손상성수리성에 관한 연구 (Damageability, Repairability of Frame Type Passenger Vehicles at Low Speed 40% Offset Crash Test)

  • 박인송;정태용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127-133
    • /
    • 2003
  • For the purpose of evaluation the damage repairability of a Frame Type Passenger vehicle which experienced a Low Speed 40% Offset front and rear Crash Test. tests were made according to the RCAR testing procedures. Test results concluded ; (1) The deceleration at C.G(center of gravity) off 6.9∼11.39 was similar to that for the vehicle. The airbag system was found to affect neither the passenger's safety nor the savings of the repairing costs. (2) In order to improve the repairability of the Frame Type Passenger vehicle after collision should be a higher crash performance of the bumper on the RCAR standards.

오대산 지역에 나타나는 맨거라이트와 반려암의 특징과 트라이아스기 한반도 지체구조 해석에 대한 의미 (The Characteristic of Mangerite and Gabbro in the Odaesan Area and its Meaning to the Triassic Tectonics of Korean Peninsula)

  • 김태성;오창환;김정민
    • 암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7-98
    • /
    • 2011
  • 경기육괴 동부에 위치하는 오대산 지역에서는 맨거라이트와 반려암으로 구성된 화성암체가 원생대 초기에 형성된 혼성편마암을 관입하고 있다. 맨거라이트는 사방휘석, 단사휘석, 각섬석, 흑운모, 사장석, 퍼어사이틱 K-장석, 석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반려암의 광물군은 맨거라이트와 유사하나 반려암내에서는 각섬석이 사방휘석 주변에 적은 양으로 나타나며 퍼어사이틱 K-장석이 나타나지 않는다. 맨거라이트내에 반려암이 포획암 형태나 불규칙한 형태로 나타나며 두 암석의 경계가 불분명하다. 반려암질 포획암내에는 맨거라이트에서 볼 수 있는 퍼어사이틱 K-장석을 포함한 우백질부가 렌즈상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은 두 개의 화성암이 액체상태에서 서로 혼합되었음을 지시한다. SHRIMP 저어콘 연대 측정결과 맨거라이트와 반려암으후부터 각각 $234{\pm}1.2$ Ma와 $231{\pm}1.3$ Ma의 트라이아스기 중기에 해당하는 연령을 얻었다. 이 연령은 홍성(226~233 Ma)과 양평 (227~231 Ma)지역의 트라이아스기 대륙충돌 후 화성암들의 연령과 유사하다. 맨거라이트와 반려암은 고함량 Ba-Sr 화성암(high Ba-Sr granite)이고 쇼쇼나이틱(shoshonitic) 하며, 대륙충돌 후 판 내부 환경에서 만들어졌다. 한편, 이 암석들은 대부분 경희토류와 친석원소가 부화되어 있으며 Nb-Ta-P-Ti 부(-) 이상을 보이는 섭입대 화성암의 특정도 보여준다. 위의 지화학적 특징들은 오대산 맨거라이트와 반려암은 대륙충돌 이전에 있었던 섭입시기에 지각물질에 의해 부화된 맨틀이 대륙충돌 후 분리된 대륙판과 해양판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 연약권의 열에 의해 부분용융이 되면서 만들어졌음을 지시한다 오대산 지역의 맨거라이트와 반려암을 포함한 경기육괴와 임진강대 북부에 나타나는 약 230Ma의 대륙충돌 후 화성암의 분포는 이 시기에 일어난 한반도내 북중국판과 남중국판 충돌의 경계가 홍성 지역을 지나 양평-오대산지역과 옥천변성대 사이 지역으로 연결될 것임을 강하게 시사한다.

Fabrication of Core-Shell Structure of Ni/Au Layer on PMMA Micro-Ball for Flexible Electronics

  • Hong, Sung-Jei;Jeong, Gyu-Wan;Han, Jeong-In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4권4호
    • /
    • pp.140-144
    • /
    • 2016
  • In this paper, core-shell structure of nickel/gold (Ni/Au) conductive layer on poly-methyl-methacrylate (PMMA) micro-ball was fabricated and its conduction property was investigated. Firstly, PMMA micro-ball was synthesized by using dispersion polymerization method. Size of the ball was $2.8{\mu}m$ within ${\pm}7%$ deviation, and appropriate elastic deformation of the PMMA micro-ball ranging from 31 to 39% was achieved under 3 kg pressure. Also, 200 nm thick Ni/Au conductive layer was fabricated on the PMMA micro-ball by uniformly depositing with electroless-plating. Adhesion of the conductive layer was optimized with help of surface pre-treatment, and the layer adhered without peeling-off despite of thermal expansion by collision with accelerated electrons. Composite paste containing core-shell structured particles well cured at low temperature of $130^{\circ}C$ while pressing the test chip onto the substrate to make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layer showed stable behavior of about $6.0{\Omega}$. Thus, it was known that core-shell structured particle of the Ni/Au conductive layer on PMMA micro-ball was feasible to flexible electronics.

교통사고 조사 및 재현에서 신형 전자식운행기록계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Reliability of New Digital Tachograph for Traffic Accident Investigation and Reconstruction)

  • 박종진;조건우;박종찬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615-622
    • /
    • 2015
  • Recently Digital-TachoGraph(DTG) was mounted mandatorily in commercial vehicles(Taxi, Bus, etc.). DTG records accurate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running state of vehicles related to traffic accident, such as Time, Distance, Velocity, RPM, Brake ON/OFF, GPS, Azimuth, Acceleration. Thus those standardized data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raffic accident investigation and reconstruction. To develope the accurate and objective method using the DTG data for the reconstruction of traffic accident, we had conducted several tests such as driving test, high speed circuit test, braking test, slalom test at Korea Automobile Testing & Research Institute(KATRI), and collision test at Korea Automobile insurance repair Research and Training center(KART) with the vehicle equipped with several DTG. Development of the program which enables the reading and analysis of the DTG data was followed. In the experiments, we have found velocity error, RPM error, brake signal error and azimuth error in several products, and also non-continuous event data. The cause of these errors was deduced to be related to the correction factor, the durability of electronic parts and the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