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Practicum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COVID-19 상황으로 인한 대면과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행자신감, 학습몰입도가 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Learning Flow on Satisfaction with Practicum Programs in Face-to-Face and Online Classes amid COVID-19)

  • 정진희;이혜경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2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acticum, confidence in fundamental nursing skills performance and learning flow, and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practicum program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face-to-face and online classes for nursing students amid COVID-19.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9 junior nursing students from two colleges of nursing located in D and C city,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dows 23.0. Results: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practicum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fidence in performance (r=.55, p<.001) and learning flow (r=.70, p<.001) in face-to-face class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practicum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fidence in performance (r=.56, p<.001) and learning flow (r=.73, p<.001) in online classes.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practicum were learning flow (β=.51, p<.001)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β=.30, p<.001) for face-to-face classes, and motivation for application (β=.14, p=.034), learning flow (β=.58 p<.001)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β=.19, p=.015) for online classes. These factors explained 53% and 60% of the satisfaction with practicum in face-to-face classes (F=23.07, p<.001) and online classes (F=20.66, p<.001), respectively. Conclusion: Learning flow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learning strategy programs to improv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acticum in both face-to-face and online classes.

가상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이 목표몰입,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nline Psychiatric Nursing Practicum including Virtual Simulation on Goal Commitment,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 박금옥;정수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60-6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현장실습이 어려운 COVID-19 상황에서 가상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목표몰입,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이다. 연구 대상자는 A광역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3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31명이 최종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목표몰입, 비판적 사고성향은 사후조사에서 사전조사보다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자기효능감(t=4.222, p<.001)과 문제해결능력(t=6.807, p<.001)은 온라인 실습전보다 실습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 결과는 가상시뮬레이션을 포함한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이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COVID-19 의료현장에서의 직접 간호수행이 어려운 만큼 정신간호학실습에 가상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다면 온라인 실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액션러닝 기반 온라인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협업능력에 미치는효과 (Effects of Online Practicum Based on Action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Cooperation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이지혜;한미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463-47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액션러닝 기반 온라인 실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협업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단일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로, 일개 간호학과 3학년 4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적 통계, 온라인 실습 교육의 효과 측정을 위해 paired t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액션러닝 기반 온라인 실습 적용 후 대상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t=3.832,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t=4.258, p<.001)과 협업능력(t=3.853, p<.001)이 유의하게 상승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액션러닝 기반 온라인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 강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대조군을 포함한 확대 연구와 액션러닝을 활용한 블렌디드 수업 형태의 적용 연구를 통해 효과 확인을 제언한다.

온라인 콘텐츠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Lab실-임상실습 혼합실습교육 연계가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비교 (Comparison of Blended Practicum Combined E-learning between Cooperative and Individual Learning on Learning Outcomes)

  • 최순희;소향숙;최자윤;유성희;윤소영;김명희;송미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41-349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blended practicum with clinical and lab combined e-learning between cooperative and individual group on learning outcomes. Method: A total of 63 junior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C University in G city from May, 2012 to June, 2012. Ten hours lab practicum for two weeks was provided for both two groups during the period of adult nursing practicum. Prior to blended practicum, e-learning was conducted. For cooperative group, two hours off line team learning with a tutor for eight weeks was provided, in other hands, for individual group, any off line team learning was not provided and self study on line was not evaluated by the tutor. Results: The result of ANCOVA showed that critical thinking and self directed learnin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individual group compared to the cooperative group (F=-18.15, p<.001; F=28.12, p<.001). In other hands, clinic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operative group than in the individual group (F=16.61, p<.001). Conclusion: Through development of self-leaning facilitating online contents, the blended practicum combined e-learning could be effective in critical think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clinical competence. Further studies about e-learning strategies of off-line learning are still needed.

영상콘텐츠 제작을 위한 대학 교양 커리큘럼 개발 -영상콘텐츠의 이해와 제작- (Development of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Creating Video Content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of Video Content-)

  • 박성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792-801
    • /
    • 2020
  • Today, the media environment has changed dramatically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ransmission technology, computer performance, and various media production technologies. In particular, video content is widely used every day through mobile device or computer connected to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ability to produce video content today is more important than ever, as the use of video content is also increasing in the area of information delivery and communication over the Internet. In this study, it was developed a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in universities for the production of video content. The developed curriculum wa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n online curriculum for theory and an offline curriculum for practicum. In the online curriculum, a 54 DOOR contents were developed to allow students to learn the theoretical knowledge and basic making technique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video content. In an offline 15-week practicum curriculum, it covered the practical training contents of video content production that should be acquired every week. This developed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ims to give non-major students in universities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technology of producing video content and to foste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he media environment by using the video content produced.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신감과 취업준비도 (Nursing students' confidence in clinical competency and job readin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 방경숙;강정희;남은숙;현미열;서은영;채선미;최희승;신다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2-41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attending clinical practicum courses in 2020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focusing on their confidence in clinical competency and job readiness. Method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using online questionnaires that were uploaded to a free online survey website and distributed via a link to the survey to 334 nursing students attending four-year nursing colleges at four national universities. Data analysis was done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and ANOVA.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mostly female (83.2%) college seniors (78.1%). About 60% of the participants practiced between 40% to 100% of their clinical practicum hours in alternative ways. Almost a third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were not ready for a job (30.2%). However, participants' confidence in clinical competency and job readiness was not related to the rate of alternative practice, but rather to both achievement of educational outcomes and satisfaction in the nursing practicum. Conclusion: Due to COVID-19, it is evident that effective and efficient materials and ways of delivering clinical courses are constantly to be sought and developed. In particular, recently graduated nurses who experienced abrupt and considerable alterations in their clinical practicum courses due to COVID-19 are in need of attention while they strive to make clinical adaptations.

간호학생의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Online Clinical Practicum Program on Emergency Nursing Care for Nursing Students)

  • 김원경;박정민;송지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1-142
    • /
    • 2021
  •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팬데믹으로, 전국의 대학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사용한 비대면 강의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 교육에 맞는 온라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학생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해보고자 시도 되였다. 본 연구는 양적자료와 질적자료를 분석한 방법론적 연구로, G광역시 N대학교 성인간호학교수 3인이 G광역시 종합병원 간호부장과 응급실 수간호사들에게 자문을 구하여 학생들의 교과목과 관련된 요구도 조사 후에, 4학년을 대상으로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 온라인 프로그램을 ADDIE모형에 따라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4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1주에 영상 4시간, 과제 2가지로 구성하였고, 실시간 쌍방향 화상집담회도 포함되었다. 총 96명 학생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SPSS/WIN 22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교과목 만족도 부분에서 '학습목표 연계성'이 총 6.0만점에 평균 5.58±0.98로 가장 점수가 높았다. 응급간호 학습성취도에서는 'BLS 수행 '이 평균 5.47±0.74로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 '낙상예방 간호수행'(5.39±0.77), '응급환자 기록수행'(5.30±0.70), '감염예방 간호수행'(5.27±0.736) 순이었다. '3학년때 시행한 대면임상실습경험과 이번학기 비대면임상실습수업 경험을 비교하여 내가 생각하는 이번학기 수업의 장점은 무엇인가?'에 관한 질적자료를 Keyword로 추출하여 Wordcloud로 제시한 결과 답변을 한 77명의 학생들 중 '간호과정경험'이라고 답한 경우가 13명(16.9%)로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자세한 교수설명'이 10명(13.0%), '사례기반실습'이 9명(11.7%)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다(Anytime anywhere)'고 답한 경우가 8명(10.4%)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개발된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한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이 학생들의 교과목 요구도를 반영한 학생들의 학습성취도를 파악하였으며, 대면실습과 비교하여 교과목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개발된 온라인 프로그램을 향후 응급환자간호 임상실습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Influence of Online Basic Clinical Trai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 Determin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

  • Seo, Ji-Un;Hong, Sun-Y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91-9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 -19 상황에서 온라인 기초임상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결정성 동기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이다. 연구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3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41명이 최종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비판적 사고성향(t=-2.60, p=.013)과 자기결정성동기(t=-2.84, p=.007)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했다. 이 결과는 온라인 기초임상실습이 비판적사고성향, 자기결정성 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COVID-19 의료현장에서의 직접간호수행이 어려운 만큼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다면 온라인 임상실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기반의 성찰일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내실습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On-Campus Practicum for Core Basic Nursing Skills Using a Mobile Based Reflective Log)

  • 최한나;송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92-400
    • /
    • 2021
  • 핵심기본간호술은 간호사가 환자를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 반드시 가져야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기반의 성찰일지를 활용하여 교내실습 과정을 소개하고, 핵심기본간호술을 수행할 때 학생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Kolb의 경험적 학습 과정을 기반으로 교내 실습을 진행한 후 분석되었다. 분석 자료로 학생들이 각 수업에 대하여 작성한 모바일 기반의 온라인 성찰일지를 활용하였다. 성찰일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핵심술기 수행에 있어 어려움을 지식, 기술(수행), 태도로 구분하여 파악하였고,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난이도, 중요도, 자신감도 평가하였다. 핵심기본간호술 평가 결과 학생들은 특히 기술적인 부분에서 다양한 측면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정맥수액주입 및 유치도뇨와 같이 핵심술기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항목에서 자신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 이상의 학생들이 정맥수액주입 및 활력징후 측정을 가장 중요한 핵심기본간호술로 간주하였다. 향후 학생들의 핵심술기 수행 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교수법의 적용과 관련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received Online Psychiatric Nursing Practicum)

  • 김미자;오현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6호
    • /
    • pp.93-104
    • /
    • 2022
  • 본 연구는 온라인 정신간호학실습을 받은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2020년 3월16일부터 6월19일까지 간호학과 4학년 280명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𝑥2-test,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변수의 평균은 학습만족도 4.03±.70, 학습자기효능감 5.69±.82, 전이동기 5.52±.86이었고, 문제해결능력은 3.65±.41이었다. 학습만족도와 문제해결능력(r=.387, p<.001), 학습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r=.576, p<.001), 전이동기와 문제해결능력(r=.536, p<.001)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𝛽=.11), 평균성적(𝛽=.12), 전공선택의 개인적 동기(𝛽=-.12), 간호학전공만족도(𝛽=.13), 학습자기효능감(𝛽=.36)과 전이동기(𝛽=.16)로 변수의 설명력은 41.4%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제해결능력과 관련된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