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Social Capital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1초

온라인 교육 서비스의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사회자본과 서비스품질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Successful Online Education Services : Focusing on Social Capital and Service Quality)

  • 김건아;윤혜정;이중정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7권2호
    • /
    • pp.155-173
    • /
    • 2010
  • Although online education service markets are growing fast, previous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the studies on media types or system qualities of online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timely implications for online education service providers to maintain and increase the number of users, other factors such as interactivity and community perspectives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study, social capital and service quality were adopted as antecedents of learning motivation. Also, service quality dimensions, as well as learning motivation, were chosen to examine its impact on intention to repurchase of online education services. Research findings show that structural and cognitive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are proved as antecedents of relational capital; structural and relational social capital positively influence on learning motivation; tangibility positively makes impact on learning motivation; and intention to repurchase is positively influenced by responsiveness and learning motivation.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re presented.

  • PDF

사회적 자본, 지식 품질 그리고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성공 (Social Capital, Knowledge Quality, and Online Brand Community Success)

  • 윤철호;김창규;김상훈;박일규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3-200
    • /
    • 2014
  • Online brand communities have become a major component of marketing strategy given that these communities encourage participation and share the culture of Web 2.0 core concepts to Internet us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quality on the success of online brand communities. A research model suggests that trust among members and the identification derived from social capital theory and knowledge quality influence individual community participation; knowledge quality also influences brand trust. In turn, community participation and brand trust develop brand loyalty. The model was empirically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data from online brand community members in Ko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identification and knowledge quality significantly affects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developing a success model for online brand communities. Also, this study identifies a new role of knowledge quality in an online brand community context.

Does SNS as an Information Channel Improve SNS Users' Happiness?

  • Choi, Ji-Eun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11호
    • /
    • pp.31-39
    • /
    • 2017
  • Purpose -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formed on SNS on SNS users' life satisfaction. This research divides social capital into bridging and bonding social capital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and suggests that each type of social capital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SNS users'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self-construal of SNS users as a moderating variable based on Self-Construal Theo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test the hypotheses presente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dult participants. An online research company was hired to conduct an online survey; survey participants were volunteer adult participants residing in Korea. An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Results -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mpact of bonding social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SNS users of differing self-construals(independent v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owever, this study also determined that the impact of bridging social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was greater for SNS users with a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s opposed to those with an independent self-construal.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and the scope of available research on social capital formed on SNS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NS providers.

Social Networking Site Usage, Social Capital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 Empirical Study from Saudi Arabia

  • HODA, Najmul;FALLATAH, Mahmou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5호
    • /
    • pp.421-429
    • /
    • 2022
  • Entrepreneurship research has focused on several factors that might affect the intention of an individual to start an enterprise. Using principles from social network theory an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model (EI), the current research intends to investigate how social capital is formed on Social Networking Sites (SNS) and how the resulting social capital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Using an online survey, 151 valid responses were received from university students. Applying partial least squa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SNS usage and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Further, it was also found that online-bonding social capital does not impact any of the thre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On the other hand, online-bridging social capital significantly influences personal attitudes and subjective norms. It was also found that both personal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ignificantly relate to EI, while the subjective norms do not relate significantly to EI. The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technology-based human behavior and entrepreneurship in emerging countries, opening some areas for future research, while also providing some managerial insights. It also should be beneficial to educational institutions in understanding how the use of SNS use by students may be optimized.

온라인 사회관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소통 차이 연구 -연결형과 결속형 관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Social Communication on Online Social Media -Comparison of Bridging and Bonding Social Capital-)

  • 김미선;김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48-459
    • /
    • 2015
  • 본 연구는 온라인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사회적 이슈의 소통 현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셜 미디어는 개인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적 의견이 소통되는 공간이라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이용자의 사회적 관계 유형을 '연결형'과 '결속형' 두 가지로 구분하고 사회관계 유형에 따른 소셜 미디어 이용량, 사회적 소통 인식, 사회적 소통 만족, 그리고 사회참여 의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온라인 이용이 가능한 전국 16개 도시 거주 20대 이상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소통의 양적인 측면에서 연결형과 결속형의 소셜 미디어 이용량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질적인 측면에서 대화 내용에 대한 '이해도'나 대화자에 대한 '신뢰도'는 결속형이 더 높게 나타났고, 소통의 핵심요소인 '합의도'는 모든 사회관계 유형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는 소셜 미디어에서의 대화 양은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해석의 공유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결속형은 소통에 대한 '이해'가 주요 요인이었지만, 연결형은 '신뢰'와 '합의'가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적 소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소셜 미디어의 이용자 유형과 소통의 특성을 보다 심도깊게 이해하여 보다 긴밀한 정책적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Service on Social Capital)

  • 김종기;김진성;뢰정첩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1권3호
    • /
    • pp.163-186
    • /
    • 2012
  •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transition to information society, social capital is expanding to online from the traditional offline context. Especially with the widespread of social network service(SNS) the number of SNS users is increasing sharply and the importance of online social capital has been more and more significant. Most studies on social capital focused on organizational aspects but few studies have payed attention to personal aspect. Empirical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SNS and social capital were seldom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capital this study targets on the relationship formed through SNS and analyzes on how the relationship affects the perceived social capital. In this study 'self-presentation', 'playfulness' and 'critical mass' are posited as the antecedent factors of 'SNS usage'. This study proposes a research model to examine the effect of 'SNS usage' on 'relationship reinforcement', 'relationship building' and 'perceived social capita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elf-presentation', 'playfulness' and 'critical mass' can generat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NS usage'. It also confirms not only the effect of 'relationship reinforcement' and 'relationship building' formed through SNS on 'perceived social capital' but also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SNS usage. The outcome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developing SNS services.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nline Community Activities on Social Capital)

  • 이환수;이나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53-163
    • /
    • 2014
  • 본 논문은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오프라인의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개인적 특성에 따라 효과가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를 이론적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9479개 대량의 연구 샘플을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과 이원 공분산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 간에 정의 관계가 성립함을 확인하였고, 나이가 많은 사람들에게서 더욱 강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이 사회적 자본을 강화한다는 기존 연구의 주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면서, 온라인의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최근의 연구들을 확장시켜 오프라인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중 장 노년층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서 온라인 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의 양적 질적 개선을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 활성화가 필요하며, 이러한 공동의 공간이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스마트기기와 SNS 활용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mart Device and SNS on Social Capital)

  • 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61-18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 및 SNS의 활용이 사회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기기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교량적 사회자본을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고 있다. SNS는 오프라인에서 형성된 사회적 관계를 온라인으로 확장시킴으로써 결속적 사회자본을 강화하고 있으며,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을 통한 사회적 관계의 확장을 이끌어내어 교량적 사회자본을 증대시키고 있다. 반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SNS의 활용은 사회자본의 증대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람들의 사회활동의 참여를 활발하게 함으로써 복합적인 사회자본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 : 한국과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Network Service and Online Social Capital : Focusing on a Korean and Chinese Case)

  • 고상민;황보환;지용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3-118
    • /
    • 2010
  • 웹 2.0의 개념과 기술의 확산과 함께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유튜브, 트위터 등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으로 인해 형성되는 온라인 사회적 자본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사용자들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 동기 및 사용행태, 온라인 사회적 자본을 평가할 수 있는 설문문항을 구성하고 한국과 중국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추가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을 통한 온라인 사회적 자본의 강도를 설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그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되는 사용자들의 온라인 사회적 자본을 확인하고 서비스 기능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서비스 개발에 있어 고려해야 할 속성들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line Social Relationship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

  • 윤현숙;이은경;범경아;김영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23-637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 소재 복지관 2곳의 정보화교육프로그램(컴퓨터 기초반, 스마트폰반, 인터넷반)에 참여한 60세 이상 노인 총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결과를 분석하였다. Williams(2006)의 사회자본척도(On and Off the 'Net' Scales for Social Capital in an Online Era)를 사용해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를 측정하였으며, 온라인 사회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 건강관련 변수, 스트레스 변수를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도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는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역 내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 강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IT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이 노인의 우울감소에 도움이 됨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