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recruitment servic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화상을 활용한 온라인면접 웹사이트 구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Web-based Interview Site With Video Conference)

  • 염인순;이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43-149
    • /
    • 2001
  •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ies and the increase of internet users, Internet plays an important role in job-recruitment business. However, almost of the sites which provide job offering and job hunting service, merely have the function such as simple inquiry f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job offering and job hunting. In this research, the online website whose task is supporting whole procedure of recruitment for real enterprises is constructed to apply the interview procedures of the real enterprises through internet. We utilize the video conference to increase the reality for interview. Also it has functions such as presentation of application form and resume and self introduction using the video conference. Through the online recruitment website we can expect time and cost saving for recruitment for both sides of enterprise to hunt the person and people to seek the job.

  • PDF

개인화된 구직정보서비스 제공에 관한 사례연구 : 월드잡플러스의 스플렁크 활용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Personalized Online Recruitment Services : Focusing on Worldjob+'s Use of Splunk)

  • 이문기;이재덕;박성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41-250
    • /
    • 2018
  • 온라인구직서비스는 가장 인기 있는 인터넷서비스 중의 하나이다. 구직자들에게 신규채용기업에 대한 정보와 함께 필요한 자료를 찾을 수 있는 검색엔진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온라인구직사이트는 전통적인 수요자 풀 유형의 접근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많은 경우 엉뚱한 검색결과를 도출하기도 한다. 한국산업진흥공단이 운영하는 월드잡플러스는 이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머신 데이터 분석플렛폼인 스플렁크를 활용하여 보다 능동적이고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월드잡플러스는 개인화된 매칭 기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구직공고에 최적인 구직자 프로필이나 스펙정보를 제공하며, 구직자 선호도를 반영한 최적 맞춤형 구인공고 제공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런 분석기법은 기존의 구직에 성공한 유사 구직자 정보와 구인기업 자료 간의 유사성 등을 토대로 하는 추천방식이다. 결론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공서비스의 정책적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국가 간 취업정보 사이트 품질요인에 대한 인식도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 중국대상) (The study on Perceptual Difference on Web Service Quality Factors of Job Information Site (between Korea and China))

  • 왕광영;박성식;이석준
    • 정보화연구
    • /
    • 제11권3호
    • /
    • pp.285-310
    • /
    • 2014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전통적인 인재교류시장 환경에 대한 대안으로 인터넷을 통해 구직자의 취직 환경을 촉진 지원하며, 구직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취직하도록 도와주는 취업정보 사이트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에 취업정보 사이트의 품질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직간접적인 요인들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과 마찬가지 중국에서도 취업정보 사이트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중국 구직자가 취업정보 사이트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비율이 한국보다는 낮고 취업정보 사이트의 영향요인에 관한 한국과 중국 간 비교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서로 다른 온라인 취업 환경에서 구직자에게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고 먼저 취업정보 사이트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양국 간의 취업정보 사이트의 품질요인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알아보고 국가별 특성에 적합한 웹 서비스를 제공할 때 효율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블록체인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도입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Library Services Based on Blockchain)

  • 노지윤;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71-401
    • /
    • 2022
  • 블록체인이 위·변조가 불가능한 분산 환경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면, 이는 사서들이 권위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보존하며 공유하는 일과 유사하다고 언급된다. 과잉정보 속 도서관이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제공하고, 나아가 도서관 내외부의 업무효율성 증대, 협력 네트워크 강화 등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타 분야의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도서관계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블록체인 활용분야와 사례를 분석하여 도서관 분야의 블록체인 활용 가능성 및 가치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12가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도서관 업무 분야에서는 디지털 신원 기반의 도서관 통합 인증 서비스, 도서관 유·무형 자산 이동의 모니터링 기능, 도서관 이용자 의견수렴 기능, 블록체인 기반 도서관 채용·인사시스템, 블록체인 거버넌스 기반 도서관 운영 체계 및 네트워크 구축, 도서관 내 IoT 디바이스 및 센서 데이터 관리 기능을 제안하였다. 정보서비스 측면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출판·거래 플랫폼 참여,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 및 관리 기능, 이용자 행동 분석 기반 맞춤형 서비스, 도서관의 통합 온라인 교육 플랫폼, 공유플랫폼 기능, P2P 기반의 정보플랫폼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