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tology verifica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7초

Safety Ontology Modeling and Verification on MIS of Ship-Building and Repairing Enterprise

  • Wu, Yumei;Li, Zhen;Zhao, LanJie;Yu, Zhengwei;Miao, H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4호
    • /
    • pp.1360-1388
    • /
    • 2021
  • Shipbuilding and repairing enterprise has the characteristics of many hazards and accidents. Therefore, the safety management ability of shipbuilding and repairing 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must be effectively guaranteed. The verification on safety management is the necessary measure to ensure and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ability of MIS. Safety verification can not only increase the safety of MIS, but also make early warning of potential risks in management to avoid the accidents. Based on the authoritative standards in the field of safety in shipbuilding and repairing enterprise, this paper applied modeling and verification method based on ontology to safety verification of MIS, extracted the concepts and associations from related safety standards to construct axiom set to support safety verification on MIS of shipbuilding and repairing enterprise. Then, this paper developed the corresponding safety ontology modeling and verification tool-SOMVT. By the application and comparison of two examples, this paper effectively verified the safety of MIS to prove the modeling method and the SOMVT can improve the safety of MIS in a much more effective and stable way to traditional manual analysis.

디지털 포렌식 온톨로지를 이용한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에 대한 검증 방법 (The Method of Verification for Legal Admissibility of Digital Evidence using the Digital Forensics Ontology)

  • 조혁규;박흠;권혁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2호
    • /
    • pp.265-272
    • /
    • 2009
  • 디지털 장치들의 활발한 사용은 디지털 증거들을 양산하지만, 이들 증거들이 법정에서 범죄사실을 증명하는 증거로 채택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디지털 포렌식 온톨로지를 이용한 디지털 증거들의 증거능력에 대한 검증 방법을 제안한다. 디지털 증거들의 증거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찰청에서 정의한 표준 디지털 포렌식 처리절차에 따라 디지털 포렌식 온톨로지를 확장하고, 디지털 포렌식 온톨로지에서 정의한 각 클래스들 간의 property 관계를 설정하였다. 또한 각 클래스간의 property 제한 규칙을 정의하여 활용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된 검증방법과 온톨로지는 디지털 증거 수집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거나, 디지털 포렌식의 교육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시맨틱 웹 응용을 위한 웹 온톨로지 구축기법 (Web Ontology Building Methodology for Semantic Web Application)

  • 김수경;안기홍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1호
    • /
    • pp.47-60
    • /
    • 2008
  • 시맨틱 웹 응용의 성공은 현재 웹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지식에 대한 규칙과 추론 기능이 제공되는 웹 온톨로지 구축에 달려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에 제안된 온톨로지 구축기법들을 비교 분석하고, 시맨틱웹과 웹 온톨로지의 특징을 조사하여 시맨틱 웹 응용의 기반기술이 되기 위한 웹 온톨로지의 기술적 특징과 지식표현 단계를 정의하고, 현재 웹 기술과 관련되는 웹 온톨로지의 기술적 요소를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맨틱 웹 응용을 위한 웹 온톨로지 구축기법을 제안하고, 제안한 구축기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지식분야의 웹 온톨로지들을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웹 온톨로지들의 추론 검증 결과를 통해 제안된 구축방법이 기존 온톨로지 구축기법들에 비해 시맨틱 웹 응용의 요구 조건을 충족하는 결과가 획득됨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제안한 웹 온톨로지 구축기법이 시맨틱 웹 응용에 적합한 구축기법임을 증명하였다.

조세 온톨로지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ax Ontology Construction)

  • 장인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85-40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과세 대상을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조세 온톨로지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에 조세와 관련 개념을 분석한 후 개념 계층(taxonomies)을 형성하였다. 특히 개념 계층에서는 다중 계승을 '프리미티브 개념'으로 분해한 후 '정의된 개념'으로 재결합하는 Rector의 '온톨로지 구현 정규화 방법론'이 사용되었다. 그 방법론으로 직접세, 지방세, 그리고 보통세로 다중 계승되는 재산세와 같이 복잡하게 얽힌 조세의 체계를 명시적이고 논리적으로 표현하였다. 그 다음 추론 기구를 통하여 자동 분류를 실시하고, 일관성(consistency)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축된 온톨로지의 구체적 활용사례를 소개하였다.

관계 유형에 기반한 온톨로지 모듈 평가 메트릭 (Evaluation Metrics for Ontology Modules Based on the Relationship Type)

  • 오선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35
    • /
    • 2010
  • 온톨로지 모듈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온톨로지를 모듈화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모듈화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온톨로지 모듈의 품질과 모듈화 일치성을 평가할 수 있는 공통된 기준인 평가 메트릭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메트릭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온톨로지에 적합한 모듈 응집도와 결합도 메트릭을 제안한다. 새로이 제안하는 메트릭은 기존의 온톨로지 메트릭과 상이하게 온톨로지 모듈을 적용 대상으로 하며 모듈의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와 형성하는 관계의 유형을 세분화시킴으로써 관계 유형에 따른 영향도를 각각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안한 메트릭의 검증을 위하여 메트릭 검증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타당성을 검증하고 웹 상의 온톨로지를 모듈화하여 적용하는 실증적 실험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온톨로지 모듈 응집도와 결합도 메트릭은 온톨로지 엔지니어들이 온톨로지 모듈과 모듈화 기법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온톨로지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ntology Design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 박옥남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1-127
    • /
    • 2018
  • 연구데이터의 연구의 정확성이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정보적 가치, 연구의 재현 또는 검증, 재사용 가능성을 연구데이터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강조되고 있다. 표준 메타데이터는 연구데이터 생산, 관리, 구조화, 기탁된 데이터 추출에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연구데이터는 연구, 연구데이터, 데이터셋, 파일 등 다양한 계층적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인용 및 연구성과 등의 엔터티와 연계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온톨로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NTIS 사례를 제시하여 연구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데이터 관련 선행연구, 메타데이터 표준의 분석, 연구데이터 리포지터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상황 정보 온톨로지 기반 추론 검증 도구 (An Inference Verification Tool based on a Context Information Ontology)

  • 김목련;박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6권6호
    • /
    • pp.488-501
    • /
    • 2009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제한적인 자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변 자원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자원의 공유뿐만 아니라 상황 정보에 기반한 추론을 통해 개인 맞춤형 자원을 추천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개인 맞춤형 자원 추천을 위하여 사용자의 기본 정보, 자원에 대한 선호도, 공유 대상이 되는 자원의 정보, 단말기의 위치, 시간과 같은 다양한 상황 정보는 효과적으로 공유 및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신뢰성 있는 자원 추론을 위해 필요한 추론규칙을 검증하는 단계는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상황 정보를 구성하여 실제 단말기 상에서 자원 추론규칙이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검증해야 하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애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석 추론 검증 도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추론 검증도구는 편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원하는 상황 정보를 쉽게 생성할 수 있고, 실제 단말기를 대신하여 동적인 상황 정보의 변경에 따른 추론을 정확하게 검증한다.

한국농촌계획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상호정보 기반 단어연결망 분석 (Word Network Analysis based on Mutual Information for Ontology of Korean Rural Planning)

  • 이제명
    • 농촌계획
    • /
    • 제23권3호
    • /
    • pp.37-51
    • /
    • 2017
  • There has been a growing concern on ontology especially in recent knowledge-based industry and defining a field-customized semantic word network is essential for building it. In this paper, a word network for ontology is established with 785 publications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KSRP), from 1995 to 2017.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words in the publications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with the 'normalized pointwise mutu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theory. Appearance and co-appearance frequencies of nouns and adjectives in phrases are analyz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noun phrase' represents a single 'concept'. The word network of KSRP was compared with that of $WordNet^{TM}$, a world-wide thesaurus network, for the verification. It is proved that the KSRP's word network, established in this paper, provides words' semantic relationships based on the common concepts of Korean rural planning research field. With the results, it is expecting that the established word network can present more opportunity for prepar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e field of the Korean rural planning.

사용자 질의 의미 해석을 위한 온톨로지 지식베이스 스키마 구축 (Ontology Knowledge Base Scheme for User Query Semantic Interpretation)

  • 도하나;이무훈;정훈;최의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285-292
    • /
    • 2013
  • 최근의 검색 형태는 키워드 기반 검색에서 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시맨틱 검색 방법으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들은 여전히 기존의 키워드 기반 검색에 익숙하기 때문에 시맨틱 검색을 위한 형식화된 구조적 질의어를 구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용자들의 키워드 해석을 위한 온톨로지 지식 베이스 스키마를 제안한다. 제안된 스키마는 서술 논리 추론을 위해 OWL-DL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최소한의 관계 정의와 추론 규칙 언어인 SWRL(Semantic Web Rule Language)으로 추론함으로써 보다 풍부한 개체 관계의 표현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논문에서 제안한 사용자 질의 의미 해석 기법의 검증을 위해 키워드 유사도 실험 결과를 설명한다.

An Incremental, Iterative and Interative Ontology Matching Approach

  • Wagner, Fernando;Macedo, Jose A.F.;Loscio, Bernadette
    • 정보화연구
    • /
    • 제9권4호
    • /
    • pp.357-363
    • /
    • 2012
  • Ontologies are being used in order to define common vocabularies to describe the elements of schemas involved in a particular application. The problem of finding correspondences between ontologies concepts, called ontology matching, consists in the discovery of correspondences between terms of vocabularies (represented by ontologies) used by various applications. The majority of solutions proposed in the literature, despite being fully automatic, has heuristic nature and may produce nonsatisfactory results. The problem intensifies when dealing with large data source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method for generation and incremental refinement of correspondences between ontologies. The proposed approach uses filtering techniques, as well as user feedback to support the generation and refinement of such matches. For validation purposes, a tool was developed and some experiments were cond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