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hthalmic lens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24초

물리적, 화학적 자극이 안경 렌즈의 코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ysical and Chemical Stimuli on Ophthalmic Lens Coatings)

  • 김소라;김지윤;김가영;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7-245
    • /
    • 2011
  • 목적: 안경 렌즈에 물리적, 화학적 자극이 반복적으로 가해졌을 때 렌즈 코팅막의 기능에는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CR-39 재질의 안경 렌즈 표면에 물리적, 화학적 자극으로 테이프 떼기, 아세톤 문지르기, 아세톤에 침윤 및 증류수에 침윤하기를 시행한 후 렌즈 표면의 변화, 광투과율 변화, 김서림 시간 변화 및 손상된 렌즈 표면의 안정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결과: 하드 코팅의 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표면관찰시 아세톤에 침윤한 안경 렌즈만이 침윤 30분 후부터 표면의 변화가 나타났다. 반사방지 코팅의 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광투과율 측정시 증류수에 180분간 침윤한 안경 렌즈는 1% 정도의 미세한 감소를 보인 반면 아세톤에 침윤시킨 렌즈에서는 침윤 60분 후 반사방지 코팅의 기능이 거의 소실됨을 알 수 있었다. 안티포그 코팅의 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김서림 지속시간 측정시 아세톤에 침윤시킨 안경 렌즈에서 김서림 지속시간이 증가하였다. 자극에 의해 손상받은 코팅막의 안정성을 알아보았을 때 테이프로 떼어내기, 아세톤으로 문지르기, 증류수에 침윤 및 아세톤에 침윤시킨 렌즈 표면의 코팅 손상이 관찰되었다. 결론: 반복적인 물리적, 화학적 자극으로 인하여 안경 렌즈의 코팅 변화가 관찰되었으므로 안경 조제 과정 중이나 안경 착용 시 이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 구면 렌즈 면의 반사상에 의한 굴절력 측정 (Measurement of Refractive Power by Reflective image on the Negative Spherical Lens)

  • 최운상;김대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17-421
    • /
    • 2004
  • 안경렌즈 면 위에 반사되는 상을 관찰하연 한 물체에 대해 두 개의 상이 나타나 있다. 이것은 렌즈 전면에서 반사되는 상과 렌즈 후면에서 반사되는 상이다. 이 상들은 렌즈 전, 후면의 굴절력에 의해 렌즈 면에서 반사되는 상이며, 렌즈 전체의 굴절력은 렌즈 전, 후면의 굴절력을 이용하면 얻을 수가 있다. 그러므로 렌즈 면 위에서 나타나는 상 크기 측정은 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기기의 도움 없이 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렌즈 면 위에서 측정된 두 개 반사상의 비와 굴절력을 측정하여 계산한 값과 비교하였다.

  • PDF

Prepar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Ophthalmic Polymer Using SWCNT and SWCCNT

  • Shin, Su-Mi;Sung, A-Young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735-74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bricate an ophthalmic lens by copolymerizing two types of carbon nanotubes and hydrophilic hydrogel lens materials, and to investigate its application as an ophthalmic lens material by analyzing its physic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effect. For polymerization,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 crosslinking agent, and AIBN (azobisisobutyronitrile), an initiator, are used as a basic combination, and a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and a single-walled, carboxylic-acid-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 are used as additives. To analyze the physical properties, the water content, refractive index, breaking strength, and antimicrobial effect of the fabricated lenses are measured. The fabricated lenses satisfies all the basic properties of the basic hydrogel ophthalmic lens. The water content increases with increasing amount of additive and decreases with addition of 0.2 % ratio of nanoparticles. The refractive index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water content result. As a result of the antimicrobial test of the fabricated lens, the addition of carbon nanotubes shows an excellent antimicrobial effec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fabricated lens can be applied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basic ophthalmic hydrogel lenses.

원시에서 교정굴절력변화에 따른 착란원 크기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Blur Circle along to the Variation of a Refractive Power for Hyperopia)

  • 최운상;정수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5-157
    • /
    • 2000
  • A variable process of blur circle is calculated for a artificial hyperopia. The calculation is used to the value of Gullstrand's theoretical eye and a method of geometrical optics. The theoretical eye simplified a entrance pupil and the retina. Ophthalmic lens and eye changed a equivalent lens. Refractive power of a equivalent lens is converted to focal length within theoretical eye, and this is calculated about relation of a blur circle on the retina and ophthalmic lens.

  • PDF

Protein Absorp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gel Polymer Containing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 as Additive

  • Kim, Duck-Hyun;Sung, A-Young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249-254
    • /
    • 2016
  • This study evaluated the phys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hydrophilic ophthalmic polymer with addition of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 in the basic hydrogel ophthalmic lens material, and in particular, the utility of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 as an ophthalmic contact lens material for ophthalmologic device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 were used as additives. For the preparation of hydrogel lens 2-hydroxy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acrylic acid and a cross-linker EGDMA were co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AIBN as an initiato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polymers were measured as followings. The refractive index of 1.433~1.393, water content of 35.95~53.16%, contact angle of $70.6{\sim}51.24^{\circ}$, UVB transmittance of 81.2~82.4%, UV-B transmittance of 81.2~82.4% and visible transmittance of 91.4~92.2% were obtained. Also, in case of protein absorption, the measurement showed that absorbance of Reference and MPC-10 sample was 0.2598 and 0.2250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phthalmic lens material containing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 is expected to be used usefully as a material for high wettability and inhibitor of protein adsorption for ophthalmic hydrogel lens.

형상 분석에 의한 안경렌즈의 비구면 계수 추출 방법 (A method to extract the aspherical surface equation from the unknown ophthalmic lens)

  • 이호철;이남영;김건희;송창규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0-433
    • /
    • 2004
  • The ophthalmic lens manufacturing processes need to extract the aspherical surface equation from the unknown surface since its real profile can be adjusted by the process variables to make the ideal curve without the optical aberration. This paper presents a procedure to get the aspherical surface equation of an aspherical ophthalmic lens. Aspherical form generally consists of the Schulz formula to describe its profile. Therefore, the base curvature, conic constant, and high-order polynomial coefficient should be set to the original design equation. To find an estimated aspherical profile, firstly lens profile is measured by a contact profiler, which has a sub-micrometer measurement resolution. A mathematical tool is based on the minimization of the error function to get the estimated aspherical surface equation from the scanned aspherical profile. Error minimization step uses the Nelder-Mead simplex (direct search) method. The result of the refractive power measurement is compared with the curvature distribution on the estimated aspherical surface equation

  • PDF

CONTACT LENS ANALYZER CA-20의 광학계 성능 조사 (A Study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Contact Lens Analyzer CA-20)

  • 지택상;임현선;김봉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9-203
    • /
    • 2000
  • 콘택트렌즈 표면의 미세한 흠집이나 뜯김 등의 흠과 콘택트렌즈 edge부분의 연마상태나 파손여부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배율이 커야하며, 또한 왜곡수차와 색수차가 제거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콘택트렌즈 분석기 "CONTACT LENS ANALYZER CA-20"은 표면검사에 적합한 16배의 큰 배율과 왜곡수차가 우선 제거된 우수한 분석기라고 말할 수 있다.

  • PDF

연성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실태와 부작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sing practice of contact lens and side effects)

  • 강향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9-73
    • /
    • 2002
  • 연성콘택트렌즈 착용자 남, 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연령별은 남자 21~23세 43%, 여자 21~23세 58%로 나타났으며 콘택트렌즈 착용기간은 남자 3년이 51%, 여자 3년이 45%로 분포되었고 일일착용시간은 남자 8시간 50%, 여자는 10시간 이상이 52%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착용 후 각막에 나타나는 안증상으로는 남자는 충혈이 39%, 여자는 건조감이 72%로 서로 다른 증상이 나타났다.

  • PDF

네츠팩 렌즈의 광학적 특성 연구 (An Optical Characteristic Research of a Netspec Lens)

  • 이동희;김대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5-90
    • /
    • 2003
  • 네츠팩 렌즈는 일반 안경 렌즈에 2차원 그물망 코팅을 한 형태인데, 상을 선명하게 볼 수 있게 하고 눈의 피로를 덜어주며, 자외선과 적외선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낮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네츠팩 렌즈의 특징을 과학적으로 입증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그물망 코팅에 대한 파장대별 투과율 계산식을 키르히호프의 스칼라 회절이론을 적용해 유도해보고, 이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그물망 코팅이 파장에 따른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Silicone을 이용한 콘택트렌즈 재료의 중합 (Polymerization of Contact Lens Materials Using Silicone)

  • 김태훈;예기훈;권영석;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3-149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콘택트렌즈의 재료로 사용되는 실리콘 고분자를 합성하여 실리콘 재질의 가스 투과성 콘택트렌즈의 함수율과 광 투과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있다. 실험에 사용된 monomer들로는 NVP(N-vinly-pyrrolidone), MMA(methyl methacrylate), HEMA(Hydroxyethylmethacrylate)등과 교차결합제로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콘택트렌즈 제조의 가장 좋은 조건을 위한 많은 조합 공식을 토대로 중합한 후, 중합된 개체를 가지고 함수율 측정과 광투과율 측정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의 연구 결과 재질의 투명성과 함수율을 동시에 추구하는 고분자를 합성하였고 그들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