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Related Efficacy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1초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in Adults)

  • 허성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68-176
    • /
    • 2020
  • 본 연구는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한 후,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p<.001)과 구강 건강관리 자기효능감(p<.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건강 실천 행위를 이행할수록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p<.001)과 구강 건강관리 자기효능감(p<.0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p<.001), 운동, 건강 책임이행, 흡연 순으로 건강 실천 행위를 이행할수록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상호 융합적 계속 구강 보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성인의 포괄적 건강 및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한다.

초등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to Affect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수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5-64
    • /
    • 2008
  •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the factors to affect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a framework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promote their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to 729 fifth and sixth graders attending four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a five-point Likert scale and include previous oral health related behaviors,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arrier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First, the subjects scored relatively high 3.51 points out of 5 i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y also scored 3.88 points in perceived benefit, 3.51 in selfesteem, 3.43 in self-efficacy, 3.28 in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2.77 in previous oral health related behaviors, and 1.79 in perceived barriers.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ccording to gender in previous oral health related behaviors and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according to grade in previous oral health related behaviors,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arrier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Third, when they had an experience of visiting a dental clinic for preventive purpos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going to a dentist in previous oral health related behaviors, perceived benefit, and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four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all the research variables, which include previous oral health related behaviors,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arrier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49%. Conclusion: Those factors that were identified to affect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rograms to promote their oral health.

  • PDF

고등학생의 구강건강관련 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oral health related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high school students)

  • 김영임;유상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9-135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oral health related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750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by convenience sampl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from April 3 to June 4, 2013. Except incomplete answers, 589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for t-test, ANOVA, post hoc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6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8 questions of oral health related self-efficacy, and 8 questions of oral health related social support. The instrument for self-efficacy was developed by Sherer and Maddux and measured by Likert 4 scale.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ISEL) was developed by Cohen and Hoberman and revised by Suh as oral health related social support in high school students, and measured by Liker 4 scale. Cronbach's alpha in self-efficacy was 0.768 and that in social support was 0.772. Results: The good oral health behavior in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closely related ro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Higher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could make the students practice good oral behavior. Conclusions: Higher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can influence on the good oral health behavior in high school students. So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the continuous oral health education that can enhance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중국인 유학생의 흡연경험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융합적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moking Experienc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 장경애;허성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30-138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거주 중국인 유학생의 흡연경험 유무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부산시내에 위치한 지역대학 내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4.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한 결과 흡연 비경험자가 흡연 경험자보다 칫솔질과 구강건강관리 관련 자기효능감,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점수가 각각 높게 나타나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칫솔질 자기효능감은 구강건강관리 관련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었고, 구강건강관리 관련 자기효능감은 구강건강 삶의 질과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흡연경험의 유무는 외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한 유학생활을 위해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전달하여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20세 이상 성인의 구강건강실천 결정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Determinants of Oral Health Practice in Adults Aged 20 Years or Older)

  • 허성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61-174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의 구강건강실천 결정요인에 관한 인과관계를 융합적으로 분석하여 성인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은 부산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자료 204부를 Smart PLS v2.0 M2 소프트웨어를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구강건강신념 요인 중 구강병의 심각성 및 감수성과 구강관리행위의 유익성이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상적 구강건강관리행위 자기효능감은 구강건강실천 전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신념 요인 중 구강병의 심각성 및 감수성과 구강병 예방행위의 유익성은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을 경유하여 칫솔질 습관과 구강검진 및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의 계속 구강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구강건강신념에 대한 인식 개선과 함께 다양한 교육 매체를 개발하는 등의 전략적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구강건강관련 자기효능감이 높아져 지속가능한 구강건강실천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구강관리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요인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oral care self-efficacy in the type 2 diabetic patients)

  • 강희은;최준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203-1211
    • /
    • 2012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related oral care self-efficacy among the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s :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174 Type 2 diabetic patients from 9th January to 9th March in 2012.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as a result of carrying out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1. Analysis of the level of each item concerning oral care self-efficacy showed tooth brushing self-efficacy was $13.3{\pm}2.9$, the highest of all. 2. The factor that was most highly related with oral care self-efficacy was oral health behaviors(${\beta}=0.474$). The other factors were found to be expected duration of diabetes(${\beta}=-0.205$), self-assessed physical health(${\beta}=0.177$) and oral health(${\beta}=0.111$) in such order (p<0.05). Conclusions : Diabetes causes a variety of complications in the mouth, an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ractice oral care activity in order to oral health promotion. This study showed oral care self-efficacy appeared to be the greatest factor of relevance in practicing oral care activity. So, dental hygienist is obliged to keep on motivating so that the patient may maintain the oral care activity for him/herself. Also, a study on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to improve oral care self-efficacy should be continued.

복지관 이용 노인을 위한 연하기능증진 구강간호 프로그램이 우울, 자기효능감,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및 연하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Oral Care Program for Improving Swallowing Function of the Elderly Using Welfare Centers on Depression, Self Efficacy,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Swallowing related Quality of Life)

  • 이기란;김두리;임효남;강경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6-17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oral care program for improving swallowing function of the elderly using welfare centers on depression, self efficacy,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swallowing 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The intervention in this study was systematically developed through the six stages of Intervention Mapping Protocol (IMP) and was based on Mead's symbolic interaction theory and Bandura's self efficacy theory. A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7 elderly people (experimental group: 19, control group: 18) from D city. The oral care program was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nce a week for five weeks, totaling five times, and the exact program ran for 50 minut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Results: Following the intervention, subjective oral health score, and swallowing related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e oral care program present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swallowing 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using welfare centers.

중년층의 구강건강교육경험에 따른 구강건강신념, 구강효능감, 구강위생용품사용, 삶의 질과의 관련성 (Oral Health Beliefs According to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s of Middle-aged People, Oral Efficacy, Use of Oral Hygiene Products, relationship with Quality of Life)

  • 엄숙;최유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56-163
    • /
    • 2020
  • 본 연구는 구강건강교육경험과 구강건강신념, 구강효능감, 구강위생용품사용 실천,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경상남도 내에 거주하는 40·50대 184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강건강교육에 따른 구강효능감과 구강위생용품사용 실천에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구강효능감과 구강위생용품사용 실천, 삶의 질이 높았다. 구강건강신념과 구강효능감, 구강위생용품사용 실천,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에서 구강건강신념 중 불안의 성향을 가진 민감성과 심각성이 높을 때 구강효능감과 삶의 질이 낮은 것을 볼 수 있었고, 중요성과 장애, 유익성이 높을 때는 구강효능감과 삶의 질이 높음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중년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해서는 대상자별 맞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반복 교육이 필요하며 추후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적용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성인의 우울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본인인지 구강건강의 융합관계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Social Self-efficacy and Self-perceived Oral Health in Adults)

  • 지민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80-18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본인인지 구강건강과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여 성인구강관리를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4월 25일부터 2016년 5월 21일까지 전북지역의 40대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료는 SPSSWIN 20.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법, Scheffe'사후 검정 분석,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울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강건강과도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구강건강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꾸준한 예방관리를 위한 사회적 효능감이 반영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심리적 구강건강인지에 대한 교육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수준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of the Elderly)

  • 정수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71-180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들의 구강관리행태, 구강건강관리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자료조사는 2019년 9월 17일부터 2019년 11월 22일까지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일부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𝑥2-test, Pearson 상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은 틀니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3.242배, 일일 칫솔질 횟수가 3회 이상인 경우 2.339배 증가하였으며, 구강건강관리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각각 1.755배, 1.192배 증가함에 따라 주관적 구강건강수준도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의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의 증진을 위해서는 틀니관리방법과 칫솔질교습 등의 구강보건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구강건강관리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킬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