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seas Korean Broadcasting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3초

방송콘텐츠의 서비스속성이 해외 한국어방송사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시청시간 비율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Effects of Attribution in Broadcasting Contents for the Satisfaction of Overseas Korean Broadcasting Stations : Focusing on Population Difference According to Ratio of Viewing Time)

  • 문준서;박기성;송종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08-114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침체위기를 맞고 있는 해외 한국어방송사들의 방송서비스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해외 교민들을 대상으로 방송콘텐츠 서비스의 주요 속성이 방송을 송출하는 해외 한국어방송사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한국어방송사가 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방송콘텐츠의 완성도, 방송콘텐츠 제공의 효율성, 방송콘텐츠의 공익성이라는 세 가지의 틀로 구분하였고, 이러한 세가지 속성이 방송사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방송사의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이 방송사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모형을 시청률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나누어 비교분석함으로써 해외한국어방송사에 대한 만족도 촉진을 향상시키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A Case Study on the Diversity of International Co-produced Drama

  • Kim, Youn-Sung;Kim, Tae-Y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3호
    • /
    • pp.64-73
    • /
    • 2020
  •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co-production that enables content production, diversification of overseas markets, and diversification has been highlighted as demand for content has soared due to intensifying competition between media outlets, while contents provision has become easier due to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such a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nd the spread of mobile Internet. In particular, the boom in Korean dramas, called the Korean Wave in China, opened up a new market after "My Love from the Star" in 2014, and in 2016, Netflix's entry into Korea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local broadcasters and producers to seek international co-production. In addition, "Good Doctor" which was aired on American Broadcasting Co. (ABC) in 2017, has topped the same time slot for the first time in 29 years, and is set to air season 4 this fall. Accordingly, overseas broadcasters and production companies wanted to collaborate with domestic broadcasters and producers, and since 2011, they have conducted a total of 12 co-produced dramas until 2019. Unfortunately,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related to international co-production dramas in the domestic industry and academia. In this paper, we present to help Korea, which used to be a powerhouse in complete export-type content, move toward becoming a powerhouse in international co-produced drama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achievements of international co-production dramas, which have not been studied much, and the diversity of international co-production dramas in the futu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orm and structure of international co-production.

한국군 군수품 무응찰 문제 분석 및 정책에 관한 연구 (Korea Militaries's none-bid Products Analysis and future Policy Research)

  • 백원철;신승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93-201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 군의 무기체계 도입 후 체계 업체가 CSP( Concurrent Spare Parts)지원 이후 우리 군이 운용유지 기간 해외에서 도입된 장비의 정비 지원 장비 품목의 해외 상업 구매 시 부품 무응찰 품목 조달 문제에 대한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의 각 기관별 수행 과정 및 수행된 사업들을 통해 파악된 노후화된 장비의 해외 부품 조달에 있어 입찰 참여자가 없는 부품의 무응찰 발생의 근본 원인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 및 진단함으로써, 향후 해외 도입 장비의 수리 부속 부품 조달시 부품 소요량 판단을 각 군이 보다 정확하게 소요량, 획득 기점을 예측 함으로 부품의 무응찰 발생률을 줄이고 이로 인한 장비 가동률 저하 문제와 미래의 부품가격 상승을 사전에 예방하고 효율적인 업무를 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Improvement of Digital Identify Proofing Service through Trend Analysis of Online Personal Identification

  • JongBae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4호
    • /
    • pp.1-8
    • /
    • 2023
  • This paper analyzes the trends of identification proofing services(PIPSs) to identify and authenticate users online and proposes a method to improve PIPS based on alternative means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in Korea. Digital identity proofing servi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ern society, but there are some problems. Since they handle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there is a risk of information leakage, hacking, or inappropriate access. Additionally, online service providers may incur additional costs by applying different PIPSs, which results in online service users bearing the costs. In particular, in these days of globalization, different PIPSs are being used in various countries, which can cause difficulties in international activities due to lack of global consistency. Overseas online PIPSs include expans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increase in mobile identity proofing, and distributed identity proofing using blockchain. This paper analyzes the trend of PIPSs that prove themselves when identifying users of online services in non-face-to-face overseas situations, and proposes improvements by comparing them with alternative means of Korean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Through the proposed method, it will be possible to strengthen the safety of Korea's PIPS and expand the provision of more reliable identification services.

Domestic Production Process of Early Korean Broadcast CG Equipment

  • Nah, So-Mi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8권4호
    • /
    • pp.285-294
    • /
    • 2021
  • The development process of domestic CG (Computer Graphics) needs to be studied by classifying the technical part and the design part. This paper analyzes how early domestic broadcast equipment evolved and focused on what went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Domestic broadcasting companies have introduced and used overseas equipment and have begun to develop their own technology.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arly domestic production technology of broadcasting stations was classified into Character Generator, On-line Real-Time Graphic and Sport Coder. It was found that the orientation of broadcasting technology was conclusively focused on visualization, with socio-cultural factors acting along with the evolu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reorganizing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domestic CG technology in the early days through previous research (primary verification), newspaper articles and news coverage (secondary verification). This paper looks at what is missing by regaining the past of CG, and argues that with the advent of new technologies today, we must develop through appropriate division of roles and collaboration between engineers and designers.

국내방송장비 수요처와 공급자의 구매인식 비교 연구 (A Comperative Study on Purchase Recognition between Domestic Broadcasting Equipment Demanders and Suppliers)

  • 윤명진;조용석;이선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9-4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콘텐츠 생산 및 유통방식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방송장비 구매 수요처의 절대적인 장비구매 인식을 비교하였으며 이에 수요자가 지각하는 국산 방송장비의 기술 신뢰도, 시스템 안정성 등의 정보의 정도가 장비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방송 장비 수요에 관한, 기존 연구 데이터의 미진함으로 인하여 방송장비 전문가들과의 심층인터뷰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분석 결과로 외산장비에 비해 국내 장비의 단품구매와 시스템, Block구매의 경우가 많아 호환 경쟁력이 미흡하고 기술발전이 늦다. 국내 방송장비수요처가 인식하고 있는 국산방송 장비에 대한 선호, 만족도의 향상을 기하기 위한 기술 신뢰도 증진과 핵심 주요장비의 개발이 시급하며 소출력 송신기 안테나, 모니터장비에 국한되어있는 국산 장비의 공급을 확장하기 위한 개발이 시급하고 해외진출과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국내육성 지원도 요구된다.

방송 영상자료의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공영방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nline Information Services of Broadcasting Video Data: Focusing on Public Broadcasting)

  • 임진영;이해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07-128
    • /
    • 2020
  • 영상기록물은 최근 많은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매체이며, 방송영상이 중요해짐에 따라 이용 요구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대다수의 방송사 아카이브 기관들은 내부 직원을 위한 아카이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 뿐, 일반 대중들을 위한 적극적인 기록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해외 공영방송사 아카이브 사이트에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를 살펴보고 국내 방송사 서비스의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접근성, 검색 및 온라인 열람 그리고 아웃리치(확장) 서비스라는 3가지 서비스영역의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의거하여, 각 영역별로 해외 공영 방송사의 서비스를 살펴보고 분석하였으며, 국내 공영 방송사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공영방송사에 대한 일반 대중들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검색 및 자료의 제공, 다양한 아웃리치 서비스의 개발, 이용층의 확장 등, 기록정보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아세안 방송 프로그램 공동 제작 융합 방안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Plan for Co-Production of Korea-ASEAN Broadcasting Program)

  • 김연성;김태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3-33
    • /
    • 2020
  •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콘텐츠 업계가 처한 국내외 환경하에서 우리가 전략적으로 융합해야 할 시장인 아세안 시장에서의 한-아세안 공동 제작 융합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아세안 5개국 방송 프로그램 시청자를 대상으로, 조사 방법은 사례 조사 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2018년도 상반기 중 아세안 5개국의 한국 콘텐츠 방영 현황, 둘째, 아세안 5개국의 한국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 및 인식 현황, 셋째, 아세안 5개국의 방송 프로그램 공동 제작에 대한 이용 및 인식 현황, 넷째, 한국과의 공동 제작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 및 인식 현황, 마지막으로 아세안 5개국 내 한국과의 국제 공동 제작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상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아세안 공동 제작은 현재 한국 콘텐츠 업계가 처한 국내외 환경하에서 전략적으로 융합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는 데 가치가 있다.

해외한국어방송지원사업의 현재와 향후 정책지원 방안 (The issues of overseas Korean broadcasting stations and post-policy support plan)

  • 김지은;문준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19-320
    • /
    • 2010
  • 교포사회에서 한국어 방송국은 현지 교포들과 모국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써 재외 교포들 간의 문화공동체 발전과한민족 정체성확립에중요한 인프라역할을 한다.[1] 하지만 이러한 역할과는 별개로 현재 대부분의 해외 한국어 방송사들은 운영에서부터 제작환경에 이르기까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어 그 미래를 긍정적으로만 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재의 해외 한국어 방송 지원 사업에 대해 조망하고 효율적인 정부지원방안에 대해 모색하려 한다.

  • PDF

방송콘텐츠의 서비스속성이 해외교포방송사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시청시간 비율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Effects of Attribution in Broadcasting Contents for the Satisfaction of Overseas Korean Broadcasting Stations: Focusing on population difference according to ratio of time)

  • 문준서;권오상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12-215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침체위기를 맞고 있는 해외의 한국어방송사들의 방송서비스를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해외 교민들을 대상으로 방송콘텐츠 서비스의 주요 속성이 방송을 송출하는 해외 한국어방송사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한국어방송사가 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크게 방송콘텐츠 자체의 완성도, 방송콘텐츠제공의 효율성, 방송콘텐츠의 공익성이라는 세 가지의 틀로 구분하였고 이러한 세가지 속성이 방송사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방송사의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이 방송사의 만족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모형을 시청률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나누어서 비교분석함으로써 보다 해외한국어방송사에 대한 만족도 촉진을 향상시키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