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D

검색결과 619건 처리시간 0.03초

세포사멸에서 Phospholipase D 동위효소의 기능적 역할 (The Functional Role of Phospholipase D Isozymes in Apoptosis)

  • 민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78-1382
    • /
    • 2014
  • Phospholipase D (PLD)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지질인 인지질을 분해하여, 이차신호전달물질인 phosphatidic acid (PA)를 생성함으로써 세포의 성장 및 증식, 생존신호전달등 세포내 다양한 생리현상을 조절하는 중요한 신호전달 핵심단백질로 대두되고 있다. PLD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활성은 다양한 암을 비롯한 여러 질환에서 나타난다. PLD에 의해 생성된 PA는 세포사멸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켜서 세포사멸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고 있다.최근에, 세포사멸과정에서 PLD 단백질의 turnover dynamics에 관한 분자수준에서의 연구가 규명되었다. PLD는, 세포사멸시 활성화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caspases의 새로운 기질로 작용하여 세포사멸을 차별적으로 조절을 한다. Caspase에 의한 PLD동위효소의 차별적인 분해양상이 PLD의 효소활성과 세포사멸억제 기능을 조절한다. 그래서 PLD는 암치료의 표적분자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된다. 본 리뷰논문에서, 세포사멸조절 PLD의 기능적 역할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Pleckstrin homology domain of phospholipase D2 is a negative regulator of focal adhesion kinase

  • Kim, Mi Kyoung;Hwang, Won Chan;Min, Do Sik
    • BMB Reports
    • /
    • 제54권2호
    • /
    • pp.112-117
    • /
    • 2021
  • Phospholipase D2 (PLD2) has been implicated in the tyrosine kinase-mediated signaling pathways, but the regulation events are yet to be identified. Herein, we demonstrate that pleckstrin homology (PH) domain of PLD2 (PLD2-PH) exerts an antitumorigenic effect via the suppression of PLD2 and focal adhesion kinase (FAK). The kinase domain of FAK interacts with PLD2-PH and induces tyrosine phosphorylation and activation of PLD2. Furthermore, PLD2 increased tyrosine phosphorylation of FAK. However, ectopic expression of the PLD2-PH competes for binding to FAK and reduces the interaction between PLD2 and FAK, thereby suppressing FAK-induced PLD activation and tyrosine phosphorylation of FAK. The PLD2-PH suppressed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glioblastoma cells, as well as tumor formation in a xenograft mouse model. This study uncovers a novel role of PLD2-PH as a negative regulator of PLD2 and FAK.

Activation of Phospholipase D2 through Phosphorylation of Tyrosine-470 in Antigen-stimulated Mast Cells

  • 김영미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92-498
    • /
    • 2005
  • PLDI 활성화 기전은 여러 보고가 있으나 PLD2 활성화에 대한 기전은 아직 연구의 대상이다. RBL-2H3 비만세포에서 HA-PLD2의 인산화 가능한 타이로신 잔기를 점돌연변이 시킨 DNA플라즈미드를 이용하여 11번, 14번, 470번의 타이로신이 항원자극에 의해 인산화 됨을 알아냈고 특히 470번 타이로신의 인산화가 PLD2 활성화에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PLD 설계용 툴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ool for PLD Design)

  • 김희석;원충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1권3호
    • /
    • pp.391-397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디지틀 회로를 PLD 소자로 설계하는 PLD 설계용 툴인 PLD Designer 을 개발하였다. PLD Designer는 FSM(finite state machine)의 상태수가 제한적(20개 미만)일 경우, 상태표로부터 부울식을 추출할 수 있는 상태 그래픽 편집기(state graphic editor)와 상태 그래픽 편집기에서 생성된 부울식에 적합한 PLD 소자 (PAL 16R4, PAL22V10, GAL16V8 등)를 선정하여 핀 할당을 실현하는 핀 맵 편집기(pin map editor)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핀 맵 편집기는 fuse map, checksum, JEDEC화일을 생성하며 PLD 디바이스 구현에 사용한다. 생성된 부울식을 검증하기 위해 테스트 벡터 (test vector) 생성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PLD Designer에 의해 생성된 JEDIC화일 과 PALASM의 JEDEC화일과 비교한 결과 동일함을 입증하였다.

  • PDF

쥐뇌 미토콘드리아 분획에서 포스포리파제 D에 대한 스퍼민의 영향 (Effect of Sperrnine on Phospholipase D Activity in Rat Brain Mitochondrial Preparation)

  • 고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48-452
    • /
    • 2000
  • 포스포리파제 D(PLD)는 인지질의 말단염기를 가수분해하여 phosphatidic acid(PA)와 염기로 분리시키는 효소이다. 본 연구는 쥐의 뇌에서 분리한 미토콘드리아 분획에서 PLD를 활성에 미치는 spermin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올레산 존재하에서 spermine이 PLD를 활성화시켰으며 $Ca^{2+}$, $Mg^{2+}$ 그리고 $Ba^{2+}$는 spermine의 영향을 더욱 강화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아민들은 별 효과가 없었으나 histamine경우 높은 농도에서 PLD를 활성화시켰다. Polylysine들도 PLD를 활성화시켰으며 그 길이가 길수옥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기질 특이성에 있어서는 phosphatidylcholine(PC)과 phosphatidylethanolamine(PE)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 기질 특이성은 쥐 소장 미토콘드리아 PLD의 PE 특이성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DIF Netlist를 이용한 PLD 설계용 툴 개발 (The Development of PLD Design Tool using the EDIF Netlist)

  • 김희석;변상준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025-1032
    • /
    • 1998
  • 본 논문은 상용 툴인 OrCAD에서 생성한 디지털 회로의 EDIF 네트리스트를 이용하여 디지털 회로를 PLD로 구현하기 위한 PLD 설계 툴을 개발하였다. EDIF 네트리스트를 이용하여 디지털 회로를 PLD로 구현하기 위해 각 셀(cell)간의 연결정보를 추출하는 연결정보 추출기(JIE)오 피드백(feedback)의 존재여부를 검색하는 피드백 노드 검출기(FND), 부울식을 생성하는 등의 알고리즘(BEG)들을 제안하였다. 또한 생성한 부울식을 최소화한 후, 최소화한 부울식의 입출력 변수 개수와 OR 텀의 수와 출력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PLD 소자를 자동 선정하는 Auto select 기능과 상용 툴인 MyPLD에서 현재 제공하고 있는 PLD들 보다 용량이 큰 EPLD 타입의 GAL6001과 GAL6002의 JEDEC 파일 생성알고리즘도 제안하였다.

  • PDF

Activation of Phospholipase D in Rat Thymocytes by Sphingosine

  • Lee, Young-kyun;Choi, Myung-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10호
    • /
    • pp.1451-1489
    • /
    • 2002
  • Sphingosine is known to regulate a wide range of cell physiology including growth,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sphingosine on the phospholipase D (PLD) activity in rat thymocytes. Sphingosine potently stimulated PLD in the absence of extracellular calcium, while deple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by BAPTA/AM treatment completely blocked activation of PLD by sphingosine. Sphingosine-induced increase of the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was confirmed using a fluorescent calcium indicator Fluo-3/AM. A phosphoinositide-specific phospholipase C inhibitor U73122 partially inhibited the stimulation of PLD by sphingosine. When mouse PLD2 gene was transfected into mouse thymoma EL4 cells, which lack intrinsic PLD activity, sphingosine could stimulate PLD2 significantly while overexpression of human PLD1 had no effect. Taken together, the sphingosine-stimulated PLD activity in rat thymocytes is dependent on the mobiliz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and appears to be due to the PLD2 isoform.

설프히드릴 변형 화합물질들에 의한 양배추 포스포리파제 D의 시스테인 잔기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Cysteine Residues in Cabbage Phospholipase D by Sulfhydryl Group Modifying Chemicals)

  • 고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62-368
    • /
    • 2006
  • 포스포리파아제 D(PLD)의 8개의 시스테인 잔기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설프히드릴(SH)기와 반응하는 각종 화학물질들을 동원하였다. 5,5-다이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 (DTNB)는 시스테인 잔기의 SH기를 적정하기 위해 이용하였으며, 412nm에서의 환원된 DTNB의 값으로부터 자연 상태의 PLD는 1몰 당 4개의 SH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8 M의 요소 등으로 3차원 구조를 교란 시킨 변성된 PLD는 8개의 SH기가 적정되었다. 이 결과로 시스테인 잔기의 반(4개)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그 나머지 반은 내부에 가려져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SH기 변형 시약인 p-클로로머큐리벤조산(PCMB), 요오드아세트산, 요오드아세트아미드, 그리고 N-에칠마레이미드 등은 모두 PLD를 비활성화 시켰다. 이들 중 다이티오스라이톨(DTT)로 처리했을 때 유일하게 PCMB에 의해 비활성화 된 PLD는 가역적으로 그 활성이 회복되었다. 다양한 작용기를 갖는 다이설파이드들을 이용한 노출된 SH기의 주위 환경을 검토한 결과 음전하나 전하를 띄지 않은 다이설파이드들이 양전하를 띈 시스타민 보다 더 효과적으로 PLD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 시스테인 잔기의 산화-환원 전환이 PLD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과산화수소 산화에 의해 70% 이상 잃은 PLD 활성은 대부분 DTT에 의해 복원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양배추 PLD의 시스테인 잔기들이 모두 SH기로 존재한다는 것을 반응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또한 외부에 노출된 4개의SH기는 PLD 활성 조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ver-Expression of Phospholipase D Isozymes Down-Regulates Protein Kinase CKII Activity via Proteasome-Dependent CKIIβ Degradation in NIH3T3 Cells

  • Yoon, Soo-Hyun;Min, Do Sik;Bae, Young-Seuk
    • Molecules and Cells
    • /
    • 제27권3호
    • /
    • pp.299-305
    • /
    • 2009
  • Over-expression of phospholipase D (PLD) 1 or PLD2 down-regulated CKII activity in NIH3T3 cells. The same results were found with catalytically inactive mutants of PLD isozymes, indicating that the catalytic activity of PLD is not required for PLD-mediated CKII inhibition. Consistent with this, 1-butanol did not alter CKII activity. The reduction in CKII activity in PLD-over-expressing NIH3T3 cells was due to reduced protein level, but not mRNA level, of the $CKII{\beta}$ subunit. This PLD-induced $CKII{\beta}$ degradation was mediated by ubiquitin-proteasome machinery, but MAP kinase and mTOR were not involved in $CKII{\beta}$ degradation. PLD isozymes interacted with the $CKII{\beta}$ subunit. Immunocytochemical staining revealed that PLD and $CKII{\beta}$ colocalize in the cytoplasm of NIH3T3 cells, especially in the perinuclear region. PLD binding to $CKII{\beta}$ inhibited $CKII{\beta}$ autophosphorylation, which is known to be important for $CKII{\beta}$ stability. In summary, the current data indicate that PLD isozymes can down-regulate CKII activity through the acceleration of $CKII{\beta}$ degradation by ubiquitin-proteasome machinery.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ochrome-Regulated Phospholipase D in Oat Cells (Avena sativa L.)

  • Park, Cheon;Park, Moon-Hwan;Chae, Quae
    • BMB Reports
    • /
    • 제29권6호
    • /
    • pp.535-539
    • /
    • 1996
  • The activation of phospholipase D (PLD) catalyzes hydrolysis of phosphatidylcholine (PC) to phosphatidic acid (PA) and choline in plants as well as animals.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PLD in oat cells, we prepared inside-out plasma membrane and cytosolic fractions from oat tissues. PLD activities in both cytosol and plasma membrane were detected by ion chromatography method. The activity of PLD in plasma membrane was dependent upon $Ca^{2+}$ concentration and was heat stable. To investigate whether G-protein couples to PLD, the effects of $GTP{\gamma}S$ and $GDP{\beta}S$ on the PLD activity were measured. PLD activity was dramatically increased 300~400% in the presence of 50 ${\mu}M$ $GTP{\gamma}S$ but not in the presence of 50 ${\mu}M$ $GDP{\beta}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protein may be involved in regulation of PLD activity. To identify whether PLD is regulated by red light receptor, phytochrome, we irradiated red, far-red, or red/far-red/red light on oat protoplasts. PLD activity has increased 5-fold and 3-fold by treatment with red light and red/far-red/red light, respectively. In contrast, irradiation with far-red light had little or no effect on PLD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ytochrome regulates PLD activity through activation of G-protein in oat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