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GA wafer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7초

친수성 고분자가 BCNU 함유 PLGA 웨이퍼로부터 BCNU의 방출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Hydrophilic Polymers on the Release of BCNU from BCNU-loaded PLGA Wafer)

  • 안태군;강희정;문대식;이진수;성하수
    • 폴리머
    • /
    • 제26권5호
    • /
    • pp.670-679
    • /
    • 2002
  • 1, 3-bis[2-chloroethyl]-1-nitrosourea (BCNU, carmustine)는 악성 뇌종양 치료를 위하여 화학요법적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다. 또한, 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분자량: 20000 g/mole, 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 몰비 75 : 25)는 약물전달시스템을 위한 약물 전달체로써 사용되어지는 잘 알려진 생분해성 초분자이다. 본 연구에서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를 함유하고 있는 BCNU 함유 PLGA 웨이퍼들의 BCNU 방출거동과 웨이퍼에 포접된 친수성 고분자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친수성 고분자의 첨가 또는 첨가 없이 BCNU 함유 PLGA 미분말은 분사건조법에 의해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BCNU 함유 PLGA 미분말은 압축성 형법에 의해 웨이퍼형태고 제조하였다. 친수성 고분자가 첨가된 BCNU 함유 PLGA 미분말의 포접율은 85∼97%였고, PLGA에 포접된 BCNU의 결정성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약물 방출 경향과 분해 거동에서 친수성 고분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BCNU의 초기방출량과 방출속도는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방출시험 기간동안 웨이퍼의 형태변화와 무게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친수성 고분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PLGA의 수차와 분해가 촉진됨을 관찰하였다.

BCNU 함유 PLGA 웨이퍼의 제조와 생체외 방출거동 (Preparation of BCNU-loaded PLGA Wafers and In Vitro Release Behavior)

  • 성하수;문대식;강길선;이정식;이해방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128-138
    • /
    • 2002
  • 종양부위 또는 종양을 수술로 제거한 부위에 직접 이식하여 항암제를 투여함으로써 종양 또는 종양재발을 억제하는 악성뇌종양치료에 이용하기 위한 국소서방성 항암제제로서 항암제 1,3-bis(2-chloroethyl)-1-nitrosourea (BCNU, Carmustine)가 함유된 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 몰비 75 : 25) 미분말을 제조하여 웨이퍼로 성형하였다. BCNU가 함유된 PLGA 미분말은 분사건조법에 의해 제조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제조된 미분말은 미립구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XRD와 DSC를 통하여 PLGA에 포접된 BCNU의 결정성이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생체외 방출시험조건에서 BCNU의 방출경향은 PLGA의 분자량 및 농도, BCNU의 함량 등에 의존하였으며 초기 burst effect 이후 거의 0차 방출의 경향으로 8주 이상 지속적인 방출경향을 나타내었다. 방출시험기간 동안 웨이퍼의 형태변화를 관찰하고 방출시험액의 pH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BCNU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PLGA의 수화와 분해가 촉진됨을 확인하였다.

BCNU를 함유한 생분해성 PLGA 웨이퍼의 특성분석 (Characteristics of BCNU-loaded PLGA Wafers)

  • 안태군;강희정;이진수;성하수;정제교
    • 폴리머
    • /
    • 제26권5호
    • /
    • pp.691-700
    • /
    • 2002
  • 항암제가 함유된 생분해성 고분자 디바이스를 이용한 국소전달요법은 종양 부위에 고농도로 약물을 전달시킬 수 있는 이유로 약물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1,3-bis(2-chloroethyl)-1-nitro-sourea (BCNU, carmustine)는 뇌종양 치료를 위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학요법적 약물이다. 표적 부위까지 항암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식제의 설계는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 약물의 방출경향을 조절하기 위해서 생분해성 웨이퍼의 첨가제와 다양한 제형 변화로부터 BCNU의 방출패턴을 조사하였다. 각각 3.85, 10, 20 및 30%의 BCNU를 함유한 PLGA 웨이퍼를 다양한 형태(직경 3, 5 및 10 mm, 두께 0.5, 1 및 2 mm)로 직접 압축성형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생체외 방출실험에서 BCNU 함유 PLGA 웨이퍼로부터 약물 방출거동은 웨이퍼의 포기 약물 함유량, 무게, 직경, 두께, 부피, 표면적 및 PLGA 분자량뿐만 아니라 첨가제의 종류와 같은 다양한 변수로 조절했다. 웨이퍼로부터 약물의 방출은 BCNU 함유량 및 염화나트륨 (NaCl)과 폴리엔비닐피롤리돈 (PVP)이 증가할수록 촉진되었다. 또한, BCNU가 함유된 PLGA 웨이퍼의 무게와 형태변화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다양한 기하학적 인자들과 첨가제의 효과를 고찰하였다.

골 재흡수 치료를 위한 파미드로네이트를 함유한 이식형 생분해성 PLGA 웨이퍼의 제조와 특성결정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midronate-loaded PLGA Wafer for the Treatment of Bone Resorption)

  • 유제영;김상욱;강길선;성하수;정제교
    • 폴리머
    • /
    • 제26권5호
    • /
    • pp.680-690
    • /
    • 2002
  • 골 재흡수 치료를 목적으로 파미드로네이트를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제형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 (PLGA, 락타이드 : 글리콜라이드 몰비 = 75 : 25, 분자량 20000 g/mole 및 90000 g/mole)를 이용하여 직접압축 성형방법으로 생분해성 웨이퍼를 제조하였다. 약물과 고분자의 함량비 웨이퍼의 두께, PLGA 분자량 등을 조절하여 PLGA 웨이퍼를 제조하였고 이들의 형태학적 특성과 방출거동 및 분해거동을 살펴보았다. 웨이퍼의 제조는 혼합된 분말을 웨이퍼 제작용 몰드에 넣은 후 프레스를 이용하여 일정 압력으로 일정시간 동안 상온에서 가압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웨이퍼는 약물의 초기함량이 증가할수록 방출속도가 빠르게 나타났으며, 제형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물의 방출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고분자의 분자량이 큰 것이 작은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초기 약물 방출량이 적고 방출되는 속도 또한 느려져. 저분자보다 오랫동안 약물이 방출되었다. 이러한 약물전달 시스템은 압축성형방법에 의해 제조하므로 제조가 간단하고 약물방출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식을 위한 제형으로 제조시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글리콜라이드 단량체를 함유한 BICNU 함유 다중층 PLGA웨이퍼의 제조 및 특성결정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CND-loaded Multi-Layer PLGA Wafer Containing Glycolide Monomer)

  • 채강수;이진수;정제교;조선행;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4호
    • /
    • pp.335-343
    • /
    • 2004
  • 카뮤스틴 (1,3-bis(2-chloroethy1-nitrosourea, BICNU)은 뇌종양 치료를 위하여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로 짧은 생물학적 반감기를 가지고 있어 장기방출에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poly(D,L-lactide-co-glycolide) (PLGA)는 벌크 분해 특성으로 인해 약물의 장기방출에 유용하며, PLGA의 유도체인 글리콜라이드 단량체는 독성이 없고 PLGA와 유사한 생분해성을 가지고 있어 BICNU의 방출조절에 이용된다. 이 실험에서 BICNU를 함유한 PLGA 웨이퍼는 일반적인 직접압축법에 의해 제조한 후 BICNU의 방출거동과 웨이펴의 분해속도를 전자주사현미경, 핵자기공명장치 그리고 젤투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관찰하였다. 또한, 글리콜라이드 단량체의 함량변화에 따른 다중층 웨이퍼를 제조하여 단일층 웨이퍼와의 방출거동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BICNU를 함유한 PLGA 웨이퍼의 약물방출은 BICNU와 글리콜라이드 단량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다중층 웨이퍼에서 외부층의 글리콜라이드 단량체와 BICNU가 약물방출 거동과 분해속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첨가제 함유 BCNU/PLGA웨이퍼의 in vitro 항암 활성 (In Vitro Antitumor Activity of BCNU-Loaded PLGA Wafer Containing Additives)

  • 이진수;안태군;신필경;채강수;정제교;이봉;조선행;강길선;이해방
    • 폴리머
    • /
    • 제27권3호
    • /
    • pp.217-225
    • /
    • 2003
  • 약물의 방출 경향을 제어할 목적으로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또는 염화나트륨을 함유한 항암제 1,3-bis(2-chloroethyl)-1-nitrosourea (BCNU, carmustine)/poly(L-lactide-co-glycolide) (PLGA) 웨이퍼를 직접 압축성형 방법에 의해 직경 3 mm와 두께 1 mm의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생체외 방출실험에서 BCNLT/PLGA 웨이퍼로부터 약물 방출거동은 웨이퍼에 함유된 첨가제에 의해 조절할 수 있었다. BCNU의 초기 방출량과 방출속도 및 기간은 염화나트륨 또는 PVP의 첨가에 외해 변화하였다. 9L gliosarcoma세포를 이용한 생체 외 항암 활성 실험에서 첨가제가 함유된 웨이퍼로부터 방출된 BCNU를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을 분석하여 평가했고, 그 결과 지속적으로 9L gliosarcoma세포의 성장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9L gliosarcoma세포에 대한 첨가제 함유 BCNU/PLGA 웨이퍼로부터 방출된 BCNU 약효 검색을 통하여 웨이퍼로부터 BCNU가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9L gliosarcoma세포의 생존과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첨가제 함유 BCNU/PLGA 웨이퍼의 지속적인 성장 억제는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은 웨이퍼의 것보다 더욱 효과적이었다. 또한 염화나트륨 함유 BCNU/PLGA 웨이퍼가 PVP 함유 BCNU/PLCA 웨이퍼보다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보였다.

단백질 전달체로서 천연 및 합성재료의 첨가에 따른 PLGA와 PCL웨이퍼로부터 알부민의 방출거동 (The Release of Albumin from PLGA and PCL Wafers Containing Natural and Synthetic Additives for Protein Delivery)

  • 현훈;이재호;서광수;김문석;이종문;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9권5호
    • /
    • pp.468-474
    • /
    • 2005
  • 약물 전달체로서 캬비톨에 의해 개시된 PLGA와 PCL은 락타이드, 글라이콜라이드, 그리고 카프로락톤의 개환 중합에 의해서 합성되었다. 이들 합성고분자를 이용한 이식형 웨이퍼는 합성고분자와 모델 단백질 약물로서 소혈청알부민의 물리적 혼합 후에 성형 압축법에 의해서 간단히 제조되었다. 웨이퍼로부터 알부민의 방출량은 형광측정기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에 의해서 측정되었다. 또한 웨이퍼에서 알부민의 방출거동은 콜라겐, 소장점막하조직, 폴리비닐피롤리돈, 그리고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첨가제를 통해 조절되었다. PLGA와 PCL로만 준비된 웨이퍼에서의 알부민의 방출은 30일 동안 $10\%$ 미만의 느린 방출거동을 보였다. 그러나 첨가제를 함유한 웨이퍼는 첨가제 함량에 따라서 다양한 서방형의 방출거동을 보였다. 더욱이 콜라겐과 소장점막하조직과 같은 천연재료를 함유한 웨이퍼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합성재료를 함유한 웨이퍼보다 0차 방출의 거동을 보였다. 이러한 이식형 웨이퍼로부터 알부민의 방출은 천연재료의 첨가를 통해 쉽게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니페디핀을 함유한 생분해성 PLGA 웨이퍼의 제조와 특성분석 (Characteristics of Nifedipine Loaded PLGA Wafer)

  • 서선아;최학수;이동헌;강길선;이해방
    • 폴리머
    • /
    • 제25권6호
    • /
    • pp.884-892
    • /
    • 2001
  •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되는 니페디핀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제형을 제조하기 위하여 poly(L-lactide-co-glycolide) 글리코리드와 랙티드의 몰비 50: 50, 분자량:5000 g/mole)를 이용하여 직접 압축성형 방법으로 생분해성 웨이퍼를 제조하였다. 약물과 고분자의 함량비, 웨이퍼의 두께, 하이드록실 메틸셀룰로오스 (HPMC) 함유량 등을 조절하여 PLGA 웨이퍼를 제조하였고, 이들의 형태학적 특성과 방출거동 및 분해거동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웨이퍼는 11일동안 영차의 안정한 방출거동을 보였고, HPMC를 첨가함으로써 초기 방출거동을 제어하는 등 조건을 달리함으로써 방출거동을 조절할 수 있었다. 수분흡수율과 무게변화를 조사한 결과, 방출 실험 4일부터 웨이퍼의 무게 감소가 현저하게 발생하였고, 방출이 완료된 후에는 무게가 약 40% 감소하였다. 이러한 약물전달 시스템은 압축성형방법에 의해 제조하므로 제조가 간단하고, 약물방출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식을 위한 제형으로 제조시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재결정화된 PLGA의 특성에 따른 5-FU 웨이퍼의 방출거동 (Effect of Recrystallized PLGA on Release Behavior of 5-Fluorouracil)

  • 박정수;이준희;최명규;이종문;김문석;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31권5호
    • /
    • pp.447-45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재결정 PLGA 분말을 진공 건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5-FU가 함유된 PLGA 웨이퍼를 이용한 조절된 방출을 위하여 재결정 PLGA 분말의 응용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세 종류의 웨이퍼를 제조하였다; 1) 순수한 PLGA, 2) 재결정 PLGA, 및 3) 순수한PLGA와 재결정 PLGA의 혼합(4 : 1, 1 : 1 및 1 : 4). 순수한 PLGA와 재결정 PLGA 분말은 NMR, IR과 GPC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제조한 웨이퍼 의 표면과 단면의 형태학적 차이를 관찰하였다. 웨이퍼로부터 방출된 5-FU의 방출거동은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FU/재결정 PLGA 웨이퍼는 5-FU/순수한 PLGA 웨이퍼에 비교하여 낮은 초기 방출과 지속적 방출거동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순수한 PLGA/재결정 PLGA의 비율은 조절된 방출거동을 갖게 할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Preparation of 5-Fluorouracil-Loaded Poly(L-lactide-co-glycolide) Wafer and Evaluation of In Vitro Release Behavior

  • Lee, Jin-Soo;Chae, Gang-Soo;An, Tae-Kun;Gilson Khang;Cho, Sun-Hang;Lee, Hai-Ba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83-188
    • /
    • 2003
  • The controlled delivery of anticancer agents using biodegradable polymeric implant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 of penetration of blood brain barrier and severe systemic toxic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epare 5-FU-loaded poly (L-lactide-co-glycolide) (PLGA) wafer fabricated microparticles prepared by two different method and to evaluate their release profile for the application of the treatment of brain tumor. 5-FU-loaded PLGA microparticle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powder X-ray diffraction (XRD),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SEM observation of the 5-FU-loaded PLGA microparticles prepared by rotary solvent evaporation method showed that 5-FU was almost surrounded by PLGA and significant reduction of crystallinity of 5-FU was confirmed by XRD. In case of release profile of 5-FU from 5-FU-loaded PLGA wafer fabricated microparticles prepared by mechanical mixing, the release profile of 5-FU followed near first order release kinetics. In contrast to the above result, release profile of 5-FU from 5-FU-loaded PLGA wafer fabricated microparticles prepared by rotary solvent evaporation method followed near zero order release kinetic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eparation method of the 5-FU-loaded PLGA microparticles to fabricate into wafers was contributed to drug release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