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O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9초

배과실(果實)의 Polyphenol Oxidase의 분리(分離) 정제(精製) 및 그 특성(特性) (Isolation,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Polyphenol Oxidase from Pear)

  • 강윤한;손태화;최종욱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55-64
    • /
    • 1986
  • 배과실(果實)의 PPO를 분리(分離) 정제(精製)한 후(後) 그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조효소액(粗酵素液)을 전기영동한 결과 2개의 활성분리대(活性分離帶)가 관찰(觀察)되었으며, 이 조효소액(粗酵素液)을 acetone 심몰(沈沒)과 DEAE-cellulose chromatography로 부분정제(部分精製)한 결과 PPO A 분획(分劃)과 PPO B 분획(分劃)을 얻었다. 각 구분을 전기영동(電氣泳動)한 결과 PPO A, B 각각 Rm치가 0.58, 0.68인 단일 활성분리대(活性分離帶)가 관찰(觀察)되었다. PPO A와 PPO B의 최종 정제도(精製度)는 각각 7.8와 8.7배(倍)였다. PPO A의 최적(最適) pH와 온도(溫度)는 pH 7, $33^{\circ}C$인 반면 PPO B의 최적(最適) pH와 온도(溫度)는 pH 4.2, $30^{\circ}C$로 나타났다. PPO A, B의 열(熱) 안정성(安定性)은 $60^{\circ}C$ 이상(以上)의 온도(溫度)에서는 급격히 활성(活性)이 감소했으며 PPO B보다 PPO A가 더 안전(安定)하였다. 배의 두 PPO는 o-diphenol에 강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PPO A는 catechol에 PPO B는 chlorogenic acid에 활성이 강했다. 또한 PPO A는 pyrogallol에도 활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두 PPO는 m-diphenol, p-diphenol과 monophenol에는 활성(活性)을 나타내지 않았다. 무기염(無機鹽)의 영향(影響)을 본 결과(結果)는 10mM농도(濃度)에서 $Zn^{{+}{+}}$은 PPO A의 활성(活性)을 증가(增加)시켰으나 $Fe^{{+}{+}}$는 저해(沮害)했고 반면 $Fe^{{+}{+}}$, $Zn^{{+}{+}}$는 PPO B는 활성(活性)을 증가(增加)시켰으나 $K^+$, $Mg^{{+}{+}}$, $Ca^{{+}{+}}$, $Hg^{{+}{+}}$는 저해(沮害)했다. $Cu^{{+}{+}}$는 저농도(低濃度)에서는 효소(酵素)를 활성화(活性化)시켰으나 10mM의 고농도(高濃度)에서는 저해작용(沮害作用)을 했다. 저해제(沮害劑)의 작용(作用)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L-ascorbic acid, L-cysteine, thiourea 등이 저해작용(沮害作用)이 강했다. PPO A와 PPO B의 catechol에 대한 Km치는 각각 20mM과 14.3mM이었다.

  • PDF

토마토 유식물의 Polyphenol Oxidase에 미치는 상해 및 Jasmonic Acid의 영향 (Effects of Wounding and Jasmonic Acid on Polyphenol Oxidase in Tomato Seedlings)

  • 진선영;홍정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669-676
    • /
    • 1999
  • The effects of wounding and jasmonic acid(JA) on polyphenol oxidase(PPO) in tomato(Lycopersicon esculentum Mill.) seedlings were investigated. PPO was strongly induced by wounding or JA, and the response was also shown to be systemically induced by wounding. Mechanical wounding in cotyledon or leaf produced a signal that caused the concentration of PPO to increase in the unwounded cotyledon, in the first leaves but not in the second leaves. Severity of wounding and light intensity also affected wound induced change in PPO activity, JA showed a stimulatory effect on the loss of chlorophyll and the rapid increase in PPO activity. The PPO was clearly more active in the wounded leaves than in controls. The potency and specificity of the JA indicate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JA and wound-induced changes in PPO in tomato species. JA and abscisic acid(ABA) acted similarly on both unwounded and wounded leaves, but the amount of PPO in the wounded leaves was always more than the respective controls. The highest increase in PPO activity occurred in woundand JA-induced leaves of seedlings kept under bright lighting. Benzyladenine(BA) completely abolished JA- and ABA-induced PPO activity. The results suggest that JA-induced PPO activity is due to de novo PPO synthesis. Histochemical tests for PPO in stems of wound- and JA -treated tomato plants indicate that PPO was localized primarily, in the. outer .cortex . and xylem parenchyma. It is concluded that exogenously applied JA acts as stress agents and PPO may be a component of the inducible anti-hervivore defense response.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 oxidase from fresh ginseng

  • Kim, Jae-Joon;Kim, Woo-Ye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1호
    • /
    • pp.117-123
    • /
    • 2013
  • Polyphenol oxidase (PPO) was purified from fresh ginseng roots using acetone precipitation, carboxymethyl (CM)-Sepharose chromatography, and phenyl-Sepharose chromatography. Two isoenzymes (PPO 1 and PPO 2) were separated using an ion-exchange column with CM-Sepharose. PPO 1 was purified up to 13.2-fold with a 22.6% yield. PPO 2 bound to CM-Sepharose, eluted with NaCl, and was purified up to 22.5-fold with a 17.4% yield. PPO 2 was further chromatographed on phenyl-Sepharos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PPO 2 from fresh ginseng was determined by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was about 40 kDa.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were $20^{\circ}C$ and 7.0, respectively, using catechol as a substrate. Pyrogallol showed the highest substrate specificity. The effect of a PPO inhibitor showed that its activity increased slightly in the presence of a low concentration of citric acid. High concentrations of acidic compounds and sulfite agents significantly inhibited purified ginseng PPO 2.

저장중(貯藏中) 사과의 Polyphenol Oxidase의 변화(變化)에 대(對)하여 (Changes in Polyphenol Oxidase of Apple during the Storage)

  • 김옥연;손태화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권
    • /
    • pp.141-150
    • /
    • 1983
  • 사과 Fuji와 국광을 저온(低溫) 상태하(狀態下)에서 저장방법(貯藏方法)을 달리하였을 때, 내부갈변(內部褐變) 및 PPO.의 변화(變化)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E film저장(貯藏)에 있어서 내부갈변(內部褐變) 정도(程度)는 11월(月)에 수확(收穫)한 Fuji가 10월(月)에 수확(收穫)한 Fuji보다 많았고, 0.09mm 2%구(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0.06mm 2%구(區), 0.06mm 2%구(區)의 순(順)이었으며 $CO_2$를 완전히 제거(除去)한 감압저장(減壓貯藏)에서는 내부갈변(內部褐變)을 볼 수 없었다. 2. P.E film저장중(貯藏中) Fuji의 PPO. activity 및 PPO. specific activity는 11월(月) 수확(收穫)이 10월(月) 수확(收穫)에 비해 높았으며, 0.09mm의 2%구(區)가 0.06mm구(區)보다 높았고, 저장중(貯藏中) 증가(增加)하는 경향이었고, $CO_2$를 완전히 제거(除去)한 감압저장(減壓貯藏) 동안 Fuji의 PPO. activity는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으나 PPO. specific activity는 계속 감소(減少)하였다. 3. 국광의 PPO. activity는 Fuji에 비해 상당히 높았고 저장중(貯藏中) PPO. activity 및 specific activity는 저장(貯藏) 초기(初期)와 거의 차이(差異)가 없었다. 4. 이상(以上)으로 미루어 Fuji의 내부갈변(內附褐變)은 저온장해(低溫障害)보다는 $CO_2$장해(障害)로 보이며 품종간(品種間)의 PPO. activity의 정도(程度)와 내부갈변(內附褐變)의 관련(關聯)은 찾을 수 없는 것 같다. 그러나 Fuji의 경우 PPO. activity증대(增大)는 $CO_2$의 영향(影響)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내부갈변(內部褐變)과 어느정도 관련(關聯)이 있는 것 같다.

  • PDF

헤테로폴리산을 포함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나피온/폴리페닐렌옥사이드 복합막의 제조 (Preparation of Composite Nafion/polyphenylene Oxide(PPO) with Hetropoly Acid(HPA)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 김동현;석준호;김화용;이갑수;성준용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187-192
    • /
    • 2006
  • 폴리페닐렌 옥사이드(PPO)를 이용하여 헤테로폴리산(HPA)을 고정시킨 박막 제조를 통해 새로운 고분자 복합막을 제조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헤테로폴리산인 텅스토인산(PWA)이나 몰리브도인산(PMA)을 혼합한 PPO 박막은 서로 같은 용매에 녹지 않으므로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WA를 녹이기 위한 용매로 메탄올을 PPO를 녹이기 위한 용매로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였으며, 혼합된 PPO-PWA 용액을 유리판 위에서 제막하였다. 다공성의 PPO-PWA 박막에 나피온 혼합물을 사용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복합막은 이온 전도도와 메탄올 투과도를 측정하여 특성화하였다. PPO-PWA 복합막의 형태와 구조는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과 EDS(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로 관찰하였고, 복합막은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MFC)용 전해질로서의 성능을 시험하였다. PPO-PWA 구조를 가지고 있는 복합막을 이용함으로써 DMFC 내에서의 메탄올 투과 현상을 66% 줄일 수 있었다.

배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 분리를 위한 SB 이종 블록공중합체/즐리페닐렌 옥사이드 블렌드 기체분리막 (Gas Separation Membranes Prepared from Polystyrene-block-Polybutadiene/Poly(phenylene oxide) Blends for Carbon Dioxide Separation from a Flue Gas)

  • 정유선;김창근
    • 폴리머
    • /
    • 제32권6호
    • /
    • pp.593-597
    • /
    • 2008
  •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기 위해 polystyrene-block-polybutadiene(SB) 이종 블록 공중합체와 폴리페닐렌 옥사이드(PPO) 블렌드로부터 기체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SB/PPO 블렌드에서 폴리스티렌 블록과 PPO는 실험 범위내에서 단상의 블렌드를 형성하였다. SB/PPO 블렌드에서 PPO 함량이 증가하여 40$\sim$50wt% 범위에서 플리부타디엔 블록은 연속상에서 불연속상으로 플리스티렌 블록과 PPO로 구성된 상은 불연속상에서 연속상으로 전이가 나타났다. 전이가 관찰되는 블렌드 조성에서 급격한 기체 투과도 감소와 선택도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 블렌드가 50 wt% 이상의 PPO를 포함할 경우 기계적 강도가 확보되어 실험한 최대 압력인 약 10기압까지 변형없이 우수한 투과도와 선택도를 갖는 기체 분리막 제조가 가능하였다.

Glycine과 Glucose의 Maillard Reaction Products에 의한 토란의 효소적 갈변 저해 (Inhibition of Enzymatic Browning of Taro (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by Maillard Reaction Products from Glycine and Glucose)

  • 이민영;이민경;김춘영;박인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13-1016
    • /
    • 2004
  • 토란으로부터 polyphenol oxidase를 추출하여 Maillard reation products(MRPs)가 토란 PPO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란 PPO에 대한 MRPs의 저해 효과는 사용한 기질이 (+)-catechin, catechol인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MRPs의 토란 PPO 저해 효과는 당의 종류를 달리하여 생성한 MRPs 중에서 fructose와 glucose로 제조한 MRPs의 첨가시 가장 높았으며, glycine과 glucose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저해 효과가 증가하였다. 반응 시간에 따른 MRPs의 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반응 시간이 길어질수록 MRPs의 변색 정도가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서 토란 PPO에 대한 저해 효과도 증가하였다.

Time-dependent Degradation of Polyphenol Oxidase in Perilla Fructescens Leaves

  • Kim, An-Keun;Kim, Yoo-Kyu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42.3-143
    • /
    • 2003
  • Time-dependent PPO activity was determined at $4^\times$C and $30^\times$C. The result of activity determination, PPO extracted by phosphate buffer containing triton x-1l4(tPPO) was more stable than PPO by phosphate buffer(bPPO). The result of electrophoresis, at first a band was appeared at 48kd. After 1-3days a partial degrade band was appeared in bPPO and three partial degrade bands in tPPO. No activity band was appeared in PPOs at $30^\times$C and bPPO at $4^\times$C after 4 days. (omitted)

  • PDF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의 Polyphenol Oxidase 분리 정제 및 특성 조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 Oxidase from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최주희;김현진;박선영;함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447-1452
    • /
    • 2011
  • 우리나라 버섯 생산량의 약 80%를 차지하는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의 유통 중에 발생하는 갈변을 방지하기 위한 기초 조사로 갈변원인 효소인 polyphenol oxidase(PPO)를 분리 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느타리버섯으로부터 3개의 PPO isoforms(PO-I, PO-II-1, PO-II-2)을 분리하였으며, gel-filteration을 이용한 분자량 확인 결과 PO-II-1은 void volume(70 kDa), PO-I과 PO-II-2는 include volume(6 kDa)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보아 PO-II-1은 70 kDa 이상, PO-I과 PO-II-2는 6 kDa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리된 3개의 PPO isoform들을 partially denatured-PAGE 후, activity stain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비록 이들 PPO isoforms PO-II-1과 PO-II-2에 다수의 단백질들이 들어있기는 하지만 PPO 활성을 보이는 band가 하나로 나타남으로써 분리된 PPO isoform들이 실제 PPO 활성을 갖고 있는 단백질로 확인되었으며 다른 PPO isoform이 혼합되지 않은 단일 PPO isoform으로 분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에서 분리된 isoform PO를 이용하여 특성을 조사한 결과 최적 반응온도와 pH는 일반적인 다른 과채류와는 달리 $50{\sim}55^{\circ}C$, pH 5.5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열 안정성 실험에 있어서는 $60^{\circ}C$에서 45분간 가열 처리 시 약 40%의 PPO activity가 남아있는 반면, $80^{\circ}C$에서 30분간 가열 처리 시 PPO가 완전히 불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chlorogenic acid와 pyrogallol에 대하여 높은 기질 특이성을 보였다.

들깨잎 폴리페놀 산화효소의 pH 및 온도에 의한 영향 (Influence of Ph and Temperature on Polyphenol Oxidase in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 김유경;김안근
    • 약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384-390
    • /
    • 2004
  • Polyphenol oxidase-catalyzed oxidation of substrates (t-butylcatechol, 4-methylcatechol,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and pyrocatechol) were performed in the Ph range 4~8. Co ncentrations of substrate's major oxidation products were monito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The nature and amounts of products formed were highly pH dependent. They also were ifluenced by kinds of substrates. Major oxidation product of 4-methylcatechol appeared the maxium value at pH 5, them of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and pyrocatechol at pH 6.0 and that of t-butylcatechol at pH 5~7. Time-dependent PPO activity was determined at $4^{\circ}C\;and\;30^{\circ}C$. PPO extracted by phosphate buffer containing triton X-114 (t-PPO) was more stable than PPO by phosphate buffer (b-PPO). The result of electrophoresis, at first PPO was showed only a band at 48 kd. After 1~3 days a partial degrade band was appeared in b-PPO and three partial degrade bands in t-PPO. No activity band was appeared in PPOs at $30^{\circ}C$ and b-PPO at $4^{\circ}C$ after 4 days. And a band (37 kDa) in t-PPO was remained finally and disappered. PPO from Perillae leaves has two activity bands at 48 and 37 kDa in previous paper. It was supposed that PPO in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was a protein having one molecular weight as 48 kDa. And 37 kDa protein, relatively proteolysis-resistant, was a proteolyzed form of a major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