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VP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IP 기반의 PPVPN(Provider Provisioned Virtual Private Network) 기술

  • 이승형;윤재우
    • 정보와 통신
    • /
    • 제19권8호
    • /
    • pp.89-100
    • /
    • 2002
  • 본 고에서는 Peer모델 PPVPN 기술인 BGP/MPLS를 비롯하여, 현재 IETF의 PPVPN WG에서 논의되고 있는 IP기반의 여러 가지 PPVPN 프로토콜들의 기술적 특징 및 장단점을 비교하고, 이들의 연구동향 및 발전방향에 대하여 분석한다. 3계층의 IPSec VPN은 확장성이 부족한 단점을 가지며, 2계층 MPLS VPN의 확장성을 개선한 BGP/MPLS는 보안성 및 범용성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PPVPN 프로토콜의 기술적 특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각 기술들을 융합하거나 기존 기술을 개량하는 등의 다양한 제안 및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VPN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켜 줄 필요성과 네트워크 운용의 효율화를 통한 사업자의 수익증대 측면에서 기존의 IP PPVPN 기술들은 향후에 지속적인 개선과 발전이 예상되며, 이는 본 고에서 논의하는 바와 같이 확장성, 보안성 등의 특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다.

Provider Provisioned VPN에서 이동성 지원 방안 (Mobility Support on Provider Provisioned VPN)

  • 변해선;이미정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D)
    • /
    • pp.405-41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PPVPN(Provider Provisioned VPN)에서 PE(Provider Edge) 기반 모바일 VP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 및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RFC2547에 제시된 'BGP/MPLS VPN'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BGP/MPLS VPN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모바일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했을 때, 모바일 사용자의 VPN 접속 및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 측에 PNS(PPVPN Network Server)를 새로이 도입하였다. PNS는 모바일 사용자와 VPN을 매핑하는 바인딩 정보를 유지하며, 모바일 사용자를 서비스하는 외부 네트워크의 GW와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의 PE간 접속회선으로 IPSec 터널을 설립하도록 지시하고, 그 PE에게 모바일 사용자의 VPN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그 PE가 BGP/MPLS 동작에 참여하도록 한다.

  • PDF

동적 VPN 사이트 구성을 이용한 Provider Provisioned 기반 모바일 VPN (Provider Provisioned based Mobile VPN using Dynamic VPN Site Configuration)

  • 변해선;이미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4권1호
    • /
    • pp.1-15
    • /
    • 2007
  • 모바일 기기의 다양화와 무선 기술의 발전으로 모바일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위한 효율적이고 안전한 VPN(Virtual Private Network) 접속 및 관리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VPN 사용자가 서로 다른 사이트에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와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PE(Provider Edge) 기반 PP(Provider Provisioned) 모바일 VPN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모바일 VPN 사용자의 IPSec 터널 오버헤드를 최소화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VPN 사용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추가적인 IPSec 터널 오버헤드를 발생하지 않고 모바일 VPN 사용자 및 정적 VPN 사용자 간 최적화된 경로로 트래픽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한 구조 및 프로토콜은 RFC2547에 제시된 'BGP/MPLS VPN'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제안하는 방안에서는 모바일 VPN 사용자가 외부네트워크로 이동했을 때, BGP/MPLS VPN 서비스를 모바일 VPN 사용자까지 확대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 측에 PNS(PPVPN Network Server)를 새로이 정의하였다. 제안하는 방안은 사용자 기반 모바일 VPN 및 CE 기반 모바일 VPN과 비교하여 IPSec 터널 관련한 오버헤드가 더 적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CE 기반 모바일 VPN 방안에 비하여 종단간 패킷 지연에 있어서 더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MACSec의 단말 이동성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MACSec for Host Mobility)

  • 안상준;신동천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5-70
    • /
    • 2019
  • 통신 인프라 구축과 최적화를 위해서는 각 구성 요소들의 연관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화된 통신 인프라 구축을 위해 필요한 주요 고려사항을 바탕으로 성능이 향상된 MACSec 기반의 통신 인프라 구성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된 MACSec 기반 기술은 통신 인프라를 처음부터 다시 설계하지 않고 IPSec 기술을 별도의 장비를 추가하지 않고 대체할 수 있다. 아울러, 구성 시 주요 고려사항인 메시지 오버헤드와 암호화 처리 성능, 그리고 이동성 측면에서 실험을 통해 IPSec과 성능을 평가한다. 시험 결과에 따르면 MACSec으로 구현된 암호화 네트워크에서 IPSec보다 Hop 지연과 메시지 오버헤드와 같은 일반적 성능뿐만 아니라 연결 지점 변경 시험을 통해 이동성 성능이 우위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