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104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6초

토양에서 분리한 Aspergillus sp. PS-104 균주에 의한 난용성 인산염 분해 (Solubilization of Insoluble Phosphates by Aspergillus sp. PS-104 Isolated from Soil)

  • 강선철;신승용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6-41
    • /
    • 2007
  • PDA-calcium phosphate 평판배지를 이용하여 경상남북도 일대의 토양으로부터 인산가용화능이 우수한 사상균을 분리하고 배양특성을 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분리한 인산가용화능이 우수한 사상균 PS-104 균주를 선발하여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이 균주의 분생자는 비가지형으로 끝이 돌출되어 있으며, 균사가 격막으로 형성되는 등의 특징을 갖는 Aspergillus sp. PS-104 균주로 동정되었다. 이 균주의 인광석 분해능이 최대가 되는 최적 배양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pH 7.0이었다. 이와 같은 배양조건에서 tricalcium phosphate, aluminium phosphate, hydroxyapatite, 인광석 등의 난용성 인산염에 대한 이 균주의 인산가용화능을 살펴보면 최대 인산가용화능은 tricalcium-phosphate 처리구(1,900 ppm)에서, 최소 인산가용화능은 hydroxyapatite 처리구(320 ppm)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이 균주의 인산가용화능은 질소원으로 첨가한 ammonium 염보다 nitrate 염에서 높게 나타났다.

인산가용화 사상균 Aspergillus sp. PS-104의 생활력 유지에 미치는 유기물 첨가 효과

  • 태언희;최웅규;이태근;강선철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439-440
    • /
    • 2000
  • 인산가용화균 Aspergillus sp. PS-104의 포자를 6개월 이상 장기보존함과 동시에 균의 생활력 유지를 위하여 다양한 농도의 유기물을 첨가하여 $25^{\circ}C$에서 보관한 후 2주, 4주, 2개월, 4개월, 6개월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PDA 평판배지에서의 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PEG 200의 경우 6개월 저장시 0.1%의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10배 이상 균의 생활력이 증가하였다. Glycerol의 경우 $0.01{\sim}5.0%$의 첨가구에서 $1.5{\sim}2$배 균의 생활력이 증가하였다.

  • PDF

Aspergillus sp. PS-104의 분생포자 생활력에 미치는 첨가제 효과 (Effect of Additives on the Conidial Viability of Aspergillus sp. PS-104)

  • 강선철;김은량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7-84
    • /
    • 2007
  • 포자의 장기보존 풍 생활력 유지를 위하여 계면활성제(Tween 80, SDS, Triton X-100) 및 2가 금속이온 $Ca^{2+}$, $Fe^{2+}$, $Cu^{2+}$, $Zn^{2+}$ 및 3가 금속이온 $Mo^{3+}$을 각각 0, 0.001, 0.01, 0.1, 1.0%(v/v) 농도로 첨가하여 생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각종 유기물(PEG 200, glycerol, 식용유, 종합 vitamin, 설탕, 당밀)도 각각 0, 0.01, 0.1, 1.0, 5.0%(v/v) 농도로 첨가하여 2주, 4주, 2개월, 4개월, 6개월간 보관하면서 생활력을 검정하였다. 계면활성제 중 Tween 80을 $0.01%\sim1.0%$ 농도로 첨가하여 6개월 저장시 상대생존율이 80%에 이르렀으며, 이에 비해 대조구는 약 50% 수준이었다. 이때 분생포자수는 대조구에 비해서 약 100배 높은 수준이었다. 계면활성제 처리 후 저장기간에 따른 균의 생활력은 Tween $80{\geq}SDS>Triton$ X-100 순으로 감소하였다. 유기물 중에서 1.0% 맥반석, 5.0% glucose 및 설탕을 첨가하였을 때가 장기보존시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6개월 경과시 대조구는 초기에 비해 50%의 상대생존율을 보였으나 1.0% 맥반석 첨가시 상대생존율은 약 80%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각종 금속이온을 0.1% 농도로 처리 후 저장기간에 따른 균의 생활력은 $Cu^{2+}>Ca^{2+}>Mo^{3+}>Zn^{2+}>Fe^{2+}$ 순으로 감소하였다.

Aspergillus sp. PS-104의 액침배양증 mycellial pellet 형성에 미치는 황토의 영향 (Effects of Loess on the Mycellial Pellet Formation of Phosphate-solubilizing Fungus, Aspergillus sp. PS-104 in the Submerged Culture)

  • 강선철;구본성;태언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23
    • /
    • 2002
  • 유리인산 생산균을 생물비료화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인산가용화능이 우수한 Aspergillus sp. PS-104 균주를 액침배양하면서 pellet 형성에 미치는 황토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Aspergillus sp. PS-104의 분생포자를 황토를 포함하는 PDB 배지에 접종하여 50 rpm의 낮은 속도로 교반하여 배양하면 무정형의 불규칙적인 pellet을 형성하는 반면에 150 rpm의 높은 속도로 배양하면 구형의 규칙적인 pellet을 형성하였다. 또한 0$\sim$1.0% (W/V) 범위의 황토 첨가시에는 황토의 농도가 높을수록 pellet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었으며, 1.0% 황토 농도에서 $1.0\pm0.1$ mm의 가장 작은 pellet이 형성되었다. 이 결과는 황토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약 4배 작아진 것이다. 그러나 황토 농도가 1.5% 이상 되면 무정형의 큰 pellet이 형성되었다. 또한 황토의 주성분인 $SiO_2$, $Fe_2O_3$, $Al_2O_3$, $CaCO_3$, $CaSO_4$ and $MgCO_3$ 분말을 각각 0$\sim$1.0%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여 pellet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Al_2O_3$를 제외하고는 첨가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작은 크기의 pellet이 형성되었으며, $MgCO_3$ 를 첨가했을 때 가장 작은 크기의 pellet을 형성하였다.

인산가용화균 Aspergillus sp. PS-104의 액침배양중 Pellet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ellet Formation of Phosphate-solubilizing Fungus, Aspergillus sp. PS-104 in Submerged Culture)

  • 신승용;강선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77-81
    • /
    • 2007
  • 인산가용화균 Aspergillus sp. PS-104를 생물비료화하기 위하여 이 균주의 액침배양 시 mycelial pellet 형성을 억제하는 배양조건(배지 종류, 초기접종량)과 배지 첨가물(점토광물, 계면활성제, PEG 200)의 종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 균주는 배지 종류를 달리하여 배양했을 때 SDB=YPD>PDB 순으로 pellet 크기가 감소하였다. 또한 이 균주는 $1{\times}10^{3}{\sim}1{\times}10^{7}$ conidia/ml 범위의 초기접종농도에서는 농도가 높을수록 pellet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또한 bentonite를 제외한 점토광물인 zeolite, diatomite, 황토, kaoline과 talc를 0.1%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였을 경우 pellet 크기가 대조군에 비해서 1/6${\sim}$1/4로 감소하였다 계면활성제인 Tween 80과 Triton X-100 및 PEG 200을 0.1% 농도로 첨가하였을 경우 pellet의 크기가 감소하였고, SDS를 첨가한 경우에는 균의 성장이 완전히 저해되었다.

미생물비료 인산가용화균이 오이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 이태근;박동하;주영직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업학회 2002년도 하반기 학술발표대회
    • /
    • pp.74-82
    • /
    • 2002
  • 난용성 인산염을 가용화 시키는 Penicillium sp. PS-113와 Lactobacillus sp. 를 이용하여온실에서 오이에 대한 생육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6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 $동시 처리구에서 평균 오이 길이는 대조구에 비하여 3cm 더 긴것으로 조사되었고, 오이 낱개의 무게는 310.6g으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89.2g 이 증가하였으며, 오이 전체 생산량은 10681.7g로 무처리구와 비교해 볼 때 4517.3g이 많아 생산량이 73% 증가하였다.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단독처리와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의 동시 처리구도 오이의 평균 무게와 길이에 있어 무처리구보다 약간씩 더 높았다.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의 동시처리구는 무처리에 비하여 오이의 수가 2개 적었으나 오이 전체 생산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단독 처리구에서 53.7%,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4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 동시 처리구에서 48.5% 증가되었다. 따라서 인산가용화균의 처리가 오이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6-Fluoroquinolone Carboxamidopenicillin 유도체의 항균작용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6-Fluoroquinolone Carboxamidopenicillin Derivatives)

  • 임철부;김정주
    • 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8-104
    • /
    • 1987
  • The compounds synthesized by author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Proteus vulgaris and Pseudomonas aeraginosa New compounds[1, 10] possess striking potency against a wide range of microorganisms, especially the Gram negative aerobes and has spectacular activity against Enterobacteriaces, S. aureus and Ps. aeruginosa. Most of new compounds are very active in vitro against most strains of Enter- bacteriaceae and Gram positive aerobes, but moderately active against Ps. aeruginosa.

  • PDF

옥수수 엽육세포 및 유관속초세포의 엽록체막 지질성분의 비교

  • 조성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1호
    • /
    • pp.97-104
    • /
    • 1993
  • The lipid composition of thylakoid membranes was compared between mesophyll and bundle sheath chloroplasts of maize. According to mild-denaturing gel electrophoresis, mesophyll thylakoids contained both PS I complex and PS II light-harvesting chlorophyll-protein complex(LHCP), while those of bundle sheath cells contained mainly PS I complex. The amount of lipids per mg chlorophyll was higher in bundle sheath thylakoids than in mesophyll. The major polar lipid classes were monogalactosyldiacylglycerol(MGDG), digalactosyldiacylglycreol, sulfolipid and phosphatidylglycerol (PG) in both tissues. Linolenic acid(18 : 3), linoleic acid(18 : 2) and palmitic acid(16 : 0) were the main fatty acyl components, with higher ratio of unsaturated to saturated fatty acids in bundle sheath thylakoids, suggesting these membranes are more fluid. The most striking difference in lipid composition between the two kinds of tissues was the practical absence of trans- 3-hexadecenoic acid(16 : 1t) in PG of bundle sheath thylakoids. This fatty acid is known to be involved in the association of LHCP as oligomeric form. More than 80% of MGDG molecular species was 18 : 3, 18 : 3, demonstrating that maize is a typical 18 : 3 plant.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the fun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lamella structure, and thus the distribution of photosystems, and MGDG molecular species was excluded.

  • PDF

잘된 콘텐츠에는 고전이 보인다 ①

  • 한혜원
    • 디지털콘텐츠
    • /
    • 10호통권137호
    • /
    • pp.104-109
    • /
    • 2004
  • 우리 시대 최대의 베스트셀러는? 다름 아닌‘성서’이다. 그렇다면 인류 최대의 스테디셀러는? 역시‘성서’이다. 야외극장에서 가면을 쓴 코러 스들이 무대를 누비던 고전 시대에서부터 안방에서 PS2의 버튼 몇 개로 자신만의 스토리를 만들어가는 21세기에 이르기까지,‘ 성서’는 변함없이 스테디셀러로 자리를 굳히고 있다. 이는 비단 교황청이 다스리는 바티칸이라는 소국(􃃳國)에 국한된 출판 통계가 아니다. 신에 관한 종교적 믿음은 차치하고, 기네스북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시간을 초월해서 가장 많이 팔린 이야기(story)가 바로‘성서’라고 답변하고 있다.

  • PDF

Quitline Activity in Rajasthan, India

  • Gupta, Rakesh;Verma, Vinit;Mathur, Pankaj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sup2호
    • /
    • pp.19-24
    • /
    • 2016
  • Quitline activity in Rajasthan, India is a voluntary activity of Rajasthan Cancer Foundation (RCF) since April 2013. To kick-off, it took the benefit of the State Government- PIRAMAL SWASTHYA (PS)1 collaborative 104 Health Information Helpline that existed already in public-private partnership. It is a reactive quitline that helps callers through the counselors and nursing staff trained specifically through the weekly sessions held by the first author, the RCF resource on quitline. Besides structuring of the scripts for primary intervention and follow-ups after 1 week, 1 month, 6 months and a year, he also monitors calls, advices and coordinates with the supervisors to manage and analyze the data base, and reports to the PS lead at the Jaipur Center on overall performance and to plan strategic communication with the State Government on its outcomes. The quitline has limitations of its informal existence through a voluntary effort of RCF, no specific resource allocation, suboptimal data management, minimal awareness in the masses due to poor IEC (Information, Education and Communication; except its efforts made by RCF in last 1 year through the government-run State TV and City Radio) and staff shortage and its attrition due to lack of plan for career advancement. Despite these challenges in the year 2013, the quit line has registered a quit rate (for complete abstinence) of 19.93% amongst 1525 callers. The quit rate were 58.01% (304/ 524) among the responders at the 3rd follow-up at 18 months (in September 2014)2. In view of an increase in quit rate by 5- 9 times over the prevailing quit rate in the former ever daily users [both smokers and the users of smokeless tobacco (SLT)], efforts are being made by RCF in concurrence with PS to have this cost-effective model established formally with optimal resource allocation in collaboration with willing agencies (the State and Central Governments and the International Quitline Agencies) and its replication in 4 more states where PS is collaborating with the respective state governments similarly (Assam, Chhattisgarh, Jharkhand and Karnata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