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C-beam bridge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1초

박스형 보강효과를 고려한 개선된 PSC Beam교의 구조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of Improved PSC Beam Bridges Considering To-Box Reinforcement Effect)

  • 한성호;신재철;방명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197-211
    • /
    • 2007
  • 노후화된 PSC Beam 교량은 개선된 보강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성능저하가 발생된 노후 PSC Beam 교량을 대상으로 PSC Beam 교량의 보강형을 폐단면 박스형태로 변환하여 이차합성 구조화함으로써, PSC Beam 교량의 강성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박스형 보강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보강방안과 기존의 외부프리스트레스 도입공법을 결합하여 보강할 경우, 보강효과를 정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시공단계해석에 따른 시간 의존적 정밀해석을 수행하였다. 성능개선을 위해 제안된 박스형 보강방안 적용 시 보강방법에 따라 전단면 및 휨 보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보강방안을 제시한 후, 각각의 보강방안에 대해 이차합성 효과에 따른 상향캠버 및 부재응력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내하력 평가를 수행하여 내하율을 검토함으로서, 개선된 PSC Beam 교량의 구조 안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 단면의 최적설계 (Optimization of Prestressed Concrete Beam Section)

  • 조선규;최외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91-101
    • /
    • 2000
  • As the computer related technology evolves a study for a practical use of real structure as well as its hteory for optimum design has been greatly advanced. But the study on optimum design of pre-stressed concrete beam(PSC-beam) bridge for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roads and highways in Korea is not sufficient. Since a standard section for the PSC-beam is proposed, it is practically used in designing the PSC-beam. It is noticed that the section using the current standard PSC-beam design to be an over-designed with its surplus safety fa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conomical PSC-beam section which automatically satisfies all requirement of design specifications. Thus, in this study, the optimum design methods of PSC-beam are carried out using the gradient-based search method and global 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optimum design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gn of PSC-beam has a serious properties to non-linearity and discontinuity. And the section that in economical and efficinet design methods than the current standard design method is proposed.

PSC 궤도빔의 가설공법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s In PSC Rail Beams)

  • 안용모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93-1299
    • /
    • 2010
  • Daegu urban railroad line 3 is introduced with straddle-type monorail system within the country at the first time. This system is long line with 24km in total length which has not the results of construction in Korea. The rail beam of monorail bridge to be constructed/ installed in the city is adopted on the basis of the PSC rail beam. It is required to apply the steel rail beam at rapid/ curved line parts or location to be required the long span bridge as passing river and intersection. The composition of span bridge is various and the height of bridge is change with each section and exist the different curve radius due to all section is passes in the city. The rail beam shall be considered the ground conditions and then consider the construction methods. It is analyzed to construction period of PSC rail beam to be linked with period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of steel rail beam, structure construction of station etc. It is compared to crane construction methods and launching girder as alternative construction methods and propose to upper construction methods which is superior in economic and construction.

  • PDF

PSC-Beam 교량의 연속화에 따른 거동해석 (2) (Behaviors of PSC-Beam Bridges According to Continuity of Spans (2))

  • 곽효경;서영재;정찬묵;박영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21-31
    • /
    • 1999
  • The companion paper presents an analytical model to predict behaviors of PSC-Beam bridges according to continuity of spans. This paper aims at providing several examples of its application to PSC-Beam bridge. In this regard, many uncertainties affecting to the continuity of spans (such as the ultimate shrinkage strain of slab and girders, the prestressing creep of girders, and the time adopting prestressing force) are analysis in detail. Moreover, to increase the serviceability and to remove th inherent structural defects including the cracking at interior supports, a necessity for the parametric studies of PSC-Beam bridges reflecting the construction sequence is emphasized.

연속 PSC-Beam 교량의 지점부 균열제어 (Control of Deck Cracking at Interior Supports of Continuous PSC-Beam Bridge)

  • 곽효경;서영재;정찬묵;박영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201-214
    • /
    • 1999
  • 이 연구는 2경간 연속 PSC-Beam 교량의 경간 내측 지지점의 바닥판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의 제어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PSC-Beam 교량은 주형인 PSC-Beam을 거치시킨후 바닥판을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시공된다. 이로 인하여 주형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거동차이, 주형의 연속화에 따른 거동 등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가장 크게 걸리는 지점부에서 균열이 쉽게 발생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2경간 연속 PSC-Beam 교량의 연속화에 따른 거동을 수치적 방법으로 해석하여 지점부 바닥판의 균열거동이 예측되었다. 이를 위하여 해석모델에는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현상인 크리프와 건조수축이 고려되었으며, 2경간 연속 PSC-Beam 교량의 거동에 영향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인자가 고려되어 해석되었다. 끝으로 콘크리트의 모델식을 이용하여 지점부 균열을 억제하기 위한 현장에서 관리가능한 방안이 수치적으로 제안되었다.

  • PDF

PSC Beam교의 실측실험을 반영한 한계상태설계법 기반 교량 평가법 적용 분석 (Analysis on Application of Limit State Design Method for Bridge Evaluation Considering PSC Beam Bridge Experiment Results)

  • 김경현;유민선;백인열;신수봉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235-24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한계상태설계법에 기반한 교량 평가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공용 중인 교량의 실측실험을 반영하여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예제 PSC Beam 실 교량의 부재 실험 결과로부터 부재의 시험강도를 구하였으며, 재료 시험값으로부터 추정된 통계특성을 적용하여 산정된 저항강도와 시험강도를 비교하였다. 부재의 시험강도와 재료의 변동성을 고려한 저항강도는 동등한 수준으로 계산되어 실측실험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차량재하시험으로부터 응답보정계수와 동적충격계수를 계산하였으며, 실측실험 결과를 반영한 내하율을 적용하여 현행 교량 평가법과 한계상태설계법 기반으로 산정된 내하율을 비교하였다. 재료 시험값의 통계특성으로부터 추정된 부재 저항강도의 통계특성을 적용하여 실 교량의 신뢰도지수를 계산하였다. 설계기준 개발에 적용한 저항강도 통계특성으로 구한 신뢰도지수보다 실측실험의 통계특성을 적용하는 경우 더 큰 값의 신뢰도지수를 얻었다.

고강도 PSC BEAM 교량의 휨거동 (Flexural Behavior of PSC Beam Using High Strength Concrete)

  • 정원기;이형준;이규정;윤석구;한승환;김기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III)
    • /
    • pp.706-711
    • /
    • 1998
  • Structural tests of the PSC Beam bridge using high strength concret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700kg/$\textrm{cm}^2$, are conducted for the application including durability and serviceability of the bridge. Current design safety factors with respect to the jacking force and the service design load DB-24 are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bridg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700kg/$\textrm{cm}^2$, girder depth 2.3m, girder space 3.2m, span length 20m, and slab thickness 27cm are selected for the bridge test. The Bulb-Tee section of the girders is applied instead of I section because it is well known more stable to the longer span(40m). Static load test(4 beams) with composite and non-composite section, and fatigue load test(1 beams) with composite section are conducted. Crack moment, ultimate load, deflections with load steps, and strains of the beam section for those bridges are investigated. The structural test results of the bridges showed a good performance for a safety and a serviceability.

  • PDF

외부강선 파단실험을 통한 노후 PSC 교량의 보강효과 평가 (Evaluation of Reinforcement Effect of Deteriorated PSC Beam through Cutting Its External Tendons)

  • 박창호;이병주;이원태;구본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78-18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장기공용 중 외부강선보강공법에 의하여 보강된 PSC Beam교량에 대한 강선 파단 시험을 통하여 보강효과를 분석하였다. 외부강선 보강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 보강된 강선을 인위적으로 절단하면서, 교량의 처짐과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강선절단 전과 후에 재하시험을 실시하여 교량의 거동변화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외부강선 절단 전과 후의 재하시험을 통하여 보강효과가 교량의 거동특성을 크게 변화시키지는 않지만, 보강시의 긴장력에 의하여 고유진동수는 증가하였다. 외부강선 절단시의 처짐과 응력 계측결과로부터 보강효과가 충분히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조해석 결과와도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외부강선을 이용하여 노후교량을 보강할 경우 정밀구조해석을 통하여 그 효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SC Beam 교량의 설계단계 환경부하량 산정을 위한 공종 및 설계정보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tandard Work and Design Information on Estimating Environmental Loads of PSC Beam Bridge in the Design Phase)

  • 윤원건;하지광;김경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705-716
    • /
    • 2017
  • 산업화 시대를 지나며 많은 환경오염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친환경적이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건설 산업계에도 환경성 평가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설계단계 활용을 목적으로 토목시설물의 부위별 설계 대안에 대한 신속한 환경부하 산정 방법론은 부재하다. 이에 본 연구는 Pre-Stressed Concrete (PSC) beam교량을 대상으로 구조물 주요 부위별 표준단면을 이용한 환경부하 산정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설계초기 단계에서의 대표물량정보 기반 환경부하량을 효율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설계부위 및 공종정보 기준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25개 PSC Beam교량 사례에 대한 상세설계자료를 기반으로 ISO 14040의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 수행절차를 통한 상세환경부하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목적 및 범위는 교량의 자원제조 및 수송단계와 시공단계만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환경부하발생에 영향이 높은 부위별 대표공종을 선정하여, 이러한 부위 및 공종분류에 따른 소요자원 및 8대 영향범주 별 환경부하량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교량의 특성상 상부공이 전체 42.91%의 환경부하량으로, 상부공중에서는 주요 자재인 레미콘이 53.13%, PSC beam공이 31.25%로 나타났다. 또한, 하부 교대 교각공에서는 주요 자재인 레미콘, 철근, 시멘트가 93%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향후 이러한 교량 부위별 대표공종 및 자재 정보들은 설계단계에서 구조물의 특성이 반영된 개략 환경부하량 모델 구축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조립식 교량의 가로보 연결에 관한 실험적연구 (An Experomental Study on the Connection of Diaphragm in Modular Bridge)

  • 이현호;이상승;조두용;김태완;박선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1-39
    • /
    • 2012
  • 최근 교량의 신설 및 교체 공사 중 요구되고 있는 교통 혼잡의 최소화, 환경 영향의 최소화, 공사기간의 단축, 품질과 시공성 향상 등을 위해 조립식 교량 시스템의 적용이 시대적 요구로 대두되고 있다. 조립식 교량 시공 중 거더 간의 연결 시 발생할 수 있는 전도 및 추락 사고는 교량 시스템에 적합한 가로보의 사용으로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진다. 본 연구에서는 가로보의 구조적 특성을 조사하고 국내 외 적용현황을 분석하여 조립식 PSC T형 거더 교량에 접합한 가로보 대안을 설정하여 가로보 연결부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험체를 제작하여 정적 하중 재하실험을 실시하였다. 정적 하중 실험을 통하여 실험체의 접합부의 거동과 하중분배에 대해 살피고 실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실험을 통한 구조 성능의 결과 치, 시공성을 고려하여 조립식 PSC T형 거더 교량에 접합한 가로보 대안을 제안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