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HA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8초

신(新) 확률론적 지진재해분석 및 국내 지진계수 개발 Part I: 신(新) 확률론적 지진재해분석 기법 적용 및 검증 (Development of New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and Seismic Coefficients of Korea Part I: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a Novel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rocedure)

  • 박두희;곽동엽;정창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7호
    • /
    • pp.103-109
    • /
    • 2009
  • 확률론적인 지진재해분석(PSHA)은 지진원, 전파경로, 부지효과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특정 기간내에 특정 크기를 초과하는 지진동이 부지에 발생할 확률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PSHA은 전세계적으로 미래 발생할 지진동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SHA와 동일한 결과를 계산하지만, 유한기간내에 발생하는 지진 시나리오와 이에 상응하는 지진파기록을 생성하는 신(新) PSHA 기법의 국내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신(新) PSHA으로 40,000년에 상응하는 가상의 지진기록을 생성하여 총 16,378개의 지진 시나리오를 생성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지진재해도를 생성한 결과, 신(新) PSHA은 상당히 정확하게 기존의 PSHA 결과를 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新) PSHA은 자체적으로 의미가 있다기 보다는 이의 결과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확률론적인 지진재해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생성된 지진기록은 동반논문에서 확률론적인 지진계수를 생성하는데 활용되었다.

  • PDF

STATUS OF THE PSHA IN KOREA FOR NUCLEAR POWER PLANT SITES

  • Seo, Jeong-Moon;Noh, Myung-Hyun;Chang, Chun-Joong;Yun, Kwan-H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10호
    • /
    • pp.1255-1262
    • /
    • 2009
  • This paper introduces the status of and issues related to the PSHA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of Korean Nuclear Power Plant sites. PSHA was first introduced to the nuclear industry in the mid-1980s. The Korean PSHA is based on Cornell and accommodates the modem approach for eliciting expertise and statistical treatment. Due to the low seismicity in Korea, large uncertainties exist in the PSHA database including seismic source maps, seismicity parameters of seismic sources, and attenuation formulae. Though research in seismology, geology, and earthquake engineering since the mid-1990s has significantly reduced uncertainties, a considerable amount still exists. Considering the low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the lack of strong motion data, further reduction will take several decades.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FOR NUCLEAR POWER PLANTS - CURRENT PRACTICE FROM A EUROPEAN PERSPECTIVE

  • Klugel, Jens-Uw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10호
    • /
    • pp.1243-1254
    • /
    • 2009
  • The paper discusses the methodology and the use of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SHA) for nuclear power plants from a European perspectiv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risk-informed approaches in the nuclear oversight process observed in many countries has contributed to increasing attention to PSHA methods. Nevertheless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methodology of PSHA are observed in Europe. The paper gives an overview on actual projects and discusses the differences in the PSHA-methodology applied in different European countries. These differences are largely related to different approaches used for the treatment of uncertainties and to the use of experts. The development of a probabilistic scenario-based approach is identified as a meaningful alternative to the development of uniform hazard spectra or uniform confidence spectra.

한반도 과거 지진기록에 대한 응답이력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Database of Response History for Historical Earthquake Records on the Korean Peninsula)

  • 최인혁;안재광;곽동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821-831
    • /
    • 2019
  • 9.12지진(2016.9.12., ML=5.8)과 포항지진(2017.11.15., ML=5.4)은 사회·경제적 피해를 야기시켰고, 이로 인해 지진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과거보다 크게 높아졌다. 지진 빈도가 높은 미국, 일본, 칠레 등 불의 고리 인근의 국가에서는 이미 지진재난에 대비·대응을 위하여 지진재해도(PSHA), 지반운동예측모델(GMPE) 등을 기반으로 인프라 시설을 관리하고 있다. 국내도 앞서 설명된 PSHA, GMPE가 개별 연구자들을 통해 독자적으로 개발되고 있지만, 모델 개발시 생성한 기초 데이터 산출 방법, 최종 결과물의 주요 요소 등이 제한적으로 공개되었다. 이는 해마다 발생하는 지진의 추가를 통한 모델 개선이 아닌 과거 지진에 대해 매번 새롭게 자료 구축을 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MPE 개발의 기초자료인 플랫파일 생성 방법과 지진 관측자료의 지진파형의 계기보정 방법, 계기진도 생성 방법 등을 기술하였다.

ISSUES IN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FOR NUCLEAR FACILITIES IN THE US

  • Mcguire, Robin 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10호
    • /
    • pp.1235-1242
    • /
    • 2009
  •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SHA) is routinely conducted in the US for nuclear plants, for the determination of appropriate seismic design levels. These analyses incorporate uncertainties in earthquake characteristics in stable continental regions (where direct observations of large earthquakes are rare), in estimates of rock motions, in site effects on strong shaking, and in the damage potential of seismic shaking for engineered facilities. Performance goals related to the inelastic deformation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related to overall seismic core damage frequency, are used to determine design levels. PSHA has the ability to quantify and document the important uncertainties that affect seismic design levels, and future work can be guided toward reducing those uncertainties.

지진동 모사를 통한 역사지진 규모와 진앙 평가 (Assessment of Historical Earthquake Magnitudes and Epicenters Using Ground Motion Simulations)

  • 김성룡;이상준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59-69
    • /
    • 2021
  • Historical records of earthquakes are generally used as a basis to extrapolate the instrumental earthquake catalog in time and space during the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SHA). However, the historical catalogs' input parameters determined through historical descriptions rather than any quantitative measurements are accompanied by considerable uncertainty in PSHA. Therefore, quantitative assessment to verify the historical earthquake parameters is essential for refining the reliability of PSHA. This study presents an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to constrain reliable ranges of the magnitude and corresponding epicenter of historical earthquakes. First, ranges rather than specific values of ground motion intensities are estimated at multiple locations with distances between each other for selected historical earthquakes by reviewing observed co-seismic natural phenomena, structural damage levels, or felt areas described in their historical records. Based on specific objective criteria, this study selects only one earthquake (July 24, 1643), which is potentially one of the largest historical earthquakes. Then, ground motion simulations are performed for sufficiently broadly distributed epicenters, with a regular grid to prevent one from relying on strong assumptions. Calculated peak ground accelerations and velocities in areas with the historical descriptions on corresponding earthquakes are converted to intensities with an empirical ground motion-intensity conversion equation to compare them with historical descriptions. For the ground motion simulation, ground motion prediction equations and a frequency-wavenumber method are used to consider the effects of possible source mechanisms and stress drop. From these quantitative calculations, reliable ranges of epicenters and magnitudes and the trade-off between them are inferred for the earthquake that can conservatively match the upper and lower boundaries of intensity values from historical descriptions.

지진재해도의 백분위수 분석 방법 비교 (Comparison of Methods for the Analysis Percentile of Seismic Hazards)

  • 이현미;서정문;김민규;최인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43-51
    • /
    • 2011
  • 확률론적 지진재해도 분석은 지진자료에 내재된 필연적인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수의 지진 지체 모델과 감쇄식이 가중치와 함께 고려된다. 확률론적 지진재해도 분석을 통하여 산출된 재해도는 일반적으로 최대지반가속도에 대한 값으로, 연초과확률로 표시된다. 또 다수의 지진자료에 의해 발생되는 재해도의 불확실성 범위를 표시하기 위하여 평균 재해도 곡선뿐 아니라 15, 50, 85 백분위수의 곡선도 함께 도시한다. 따라서 백분위수는 산출된 재해도의 불확실성 범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지진자료에 의한 가중치와 산출된 재해도의 관계를 이용한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계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백분위수 분석 방법으로 중요도 누적법, 재해도 가중법, 최우법, 적률법을 선정하여 신울진 1,2호기의 확률론적 지진재해도분석으로 산출된 재해도의 백분위수를 계산 하였다. 전반적으로 중요도 누적법, 재해도 가중법, 최우법으로 계산된 백분위수 곡선의 경향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실제 산출된 전체 재해도의 특성을 잘 반영하였다. 적률법으로 계산된 백분위수는 평균 재해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지를 포함한 지진원에 대한 재해도를 효과적으로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지진원과 부지를 포함한 지진원에 대한 평균 재해도가 거의 같게 나타나는 점을 고려하여 부지를 포함한 지진원의 재해도를 백분위수에 잘 반영하는 적률법을 효과적인 백분위수 산출방법으로 제시하였다.

국내 확률론적 지진계수 생성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Seismic Coefficients of Korea)

  • 곽동엽;정창균;박두희;이홍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0호
    • /
    • pp.87-97
    • /
    • 2009
  • 지진계수는 지진재해도 함께 지표면에서의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지진계수는 일반적으로 결정론적인 방법으로 도출되는 반면 지진재해도는 확률론적으로 계산되어 이들은 혼용될 수 없으나, 국내외 내진설계기준에서는 이들을 명확한 근거없이 혼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진재해분석과 암반노두에서는 동일한 결과를 재현하되 지반응답해석 기능을 추가하여 토층에서의 부지증폭현상을 고려한 확률론적인 지진계수를 도출할 수 있는 신(新) 지진재해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신(新) 지진재해분석 기법의 또다른 장점은 지반의 불확실성과 임의성을 합리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계산된 확률론적 지진계수는 내진설계기준(II)과 국내에서 제안된 지진계수 세트들과 비교하여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비교 결과, 내진설계기준(II)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는 반면, 또다른 지진계수와는 일부 지반분류에서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서부 단층 지진원을 고려한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분석의 파고 변수 도출 (Estimation of Wave Parameters for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nalysis Considering the Fault Sources in the Western Part of Japan)

  • 이현미;김민규;신동훈;최인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51-160
    • /
    • 2014
  •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nalysis (PTHA) is based on the approach of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SHA) which is performed using various seismotectonic models and ground-motion prediction equations.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PTHA and PSHA is that PTHA requires the wave parameters of tsunami. The wave parameters can be estimated from tsunami propagation analysis. Therefore, a tsunami sim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wave parameters required for the PTHA of Uljin nuclear power plant (NPP) site. The tsunamigenic fault sources in the western part of Japan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The wave heights for 80 rupture scenarios were numerically simulated. The synthetic tsunami waveforms were obtained around the Uljin NPP site. The results show that the wave height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location of the fault sources and the associated potential earthquake magnitudes. These wave parameters can be used as input data for the future PTHA study of the Uljin NPP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