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VAc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1초

PVA/PVAc 입자의 계면 전기적 성질 (Interfacial Electric Property of PVA/PVAc Particles)

  • 이하나;이재웅;김지영;이원철;김삼수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17
    • /
    • 2008
  • Poly (vinyl acetate) (PVAc) was used as a precursor of PVA/PVAc (skin/core) bicompon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PVA particles for electrical applications, PVA/PVAc particles were produced with an emulsifier, SDS (Sodium Dodecyl Sulfate) and an initiator, V-50 (2,2'-azobis(2-amidinopropane)digydrochlorid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lectrical property of PVA/PVAc (skin/core) particles. The hydroxyl group of the PVA/PVAc (skin./core) was confirmed by the analysis of PVAc and PVA/PVAc (skin/core)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The zeta-potential of the PVA/PVAc (skin/core) and PVAc has similarity; however, charge control agent (CCA) treated PVA/PVAc (skin/core) particles has lower zeta-potential than untreated PVA/PVAc particles. The zeta-potential (negative values) of the PVA/PVAc (skin/core) were enhanc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CCA.

비닐 아세테이트/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공중합과 등온건조속도 (Isothermal Drying Rate and Copolymerization of Vinyl Acetate/Alkyl Methacrylates)

  • 김민성;설수덕
    • 폴리머
    • /
    • 제33권3호
    • /
    • pp.230-236
    • /
    • 2009
  • 비닐 아세테이트/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에멀젼 공중합에서 반응온도, 개시제의 종류와 농도, 보호콜로이드인 PVA의 종류와 농도, 공단량체인 MMA, EMA의 조성비를 변화시키며 중합하였다. 제조된 공중합체인 poly(vinyl acetate-co-methyl methacrylate)(PVAc/PMMA), poly(vinyl acetate-co-ethyl methacrylate)(PVAc/PEMA)를 수분 측정기를 사용하여 100, 130, 150, 180, $200^{\circ}C$에서 등온건조 시키고, 그 건조 특성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등온법으로 얻은 중합체 고형화 과정의 활성화 에너지는 PVAc/PMMA> PVAc/PEMA> PVAc의 순으로 공단량체의 곁사슬의 탄소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접착박리강도는 동일한 조성의 공중합체에서 보호콜로이드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내수 접착박리강도는 최적의 보호콜로이드 함량에서 공단량체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PVAc/PMMA>PVAc/PEMA>PVAc 순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과 폴리비닐알코올모노티올이 폴리초산비닐 라텍스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 alcohol) Mono Thiol on the Stability Properties of Poly(vinyl acetate) Latex)

  • 이서용;박이순
    • 폴리머
    • /
    • 제24권5호
    • /
    • pp.579-588
    • /
    • 2000
  • 보호콜로이드에 따른 입체 안정제 (steric stabilizer)작용이 폴리초산비닐 (poly(vinyl acetate), PVAc) 라텍스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보호콜로이드로서 중합도 1080, 검화도 78.4%인 반응성 poly(vinyl alcohol) mono thiol (PVALT)를 사용한 것이 중합도 1100, 검화도 81.6%인 poly(vinyl alcohol) (PVA)를 사용하는 것보다 PVAc 라텍스의 안정성이 양호하였으며, 반응성 PVALT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VAc 라텍스의 안정성은 향상되었다. PVAc 라텍스 입자의 표면 형태 변화는 투과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입자크기는 반응성 PVALT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에멀젼의 중합 시 PVA보다 반응성 PVALT를 사용하는 것이 PVAc 라텍스의 안정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반응성 PVALT로 인해 PVAc 라텍스 입자계면에 PVA와의 화학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다량의 티올 (thiol)기가 도입되어 PVAc와 반응성 PVALT간의 화학반응으로 인한 PVALT-b-PVAc 블록 공중합체가 생성됨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제타전위는 탄산나트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 PDF

비닐아세테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계 에멀젼 공중합과 등온 열분해 특성 (Characteristics of Isothermal Analysis and Emulsion Copolymerization of Vinyl Acetate/Alkyl Acrylate)

  • 조대훈;최성일;설수덕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2호
    • /
    • pp.64-72
    • /
    • 2012
  • 비닐아세테이트와 알킬아크릴레이트계 에멀젼공중합에서 개시제인 ammonium persulfate (APS)의 농도, 보호 콜로이드인 poly(vinyl alcohol) (PVA)의 종류와 농도, 공단량체인 methyl acrylate (MA), ethyl acrylate (EA), n-butyl acrylate (BA)의 혼합비를 변화시켜 중합하였다. 제조된 poly(vinyl acetate-co-methyl acrylate) (PVAc/PMA), poly(vinyl acetate-co-ethyl acrylate) (PVAc/PEA), poly(vinyl acetate-co-n-butyl acrylate) (PVAc/PBA)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등온 열분해법으로 $100{\sim}200^{\circ}C$ 영역에서 구한 비닐아세테이트와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대한 등온 열분해 활성화에너지는 PVAc/PMA > PVAc/PEA > PVAc/PBA이었으며, 플라스마 처리 전과 후의 접착박리강도는 PVAc/PMA > PVAc/PEA > PVAc/PBA의 순이었다.

친환경 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고분자 화합물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High Molecular Compound for Development of Eco-friendly Concrete)

  • 류재석;이용수;송일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A호
    • /
    • pp.299-305
    • /
    • 2012
  • 본 연구는 수용성 폴리머의 일종인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이하 PVAc)를 사용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평가를 통하여 친환경 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VAc를 혼입하지 않은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와 결합재 대비 3%, 6%, 9%, 12%의 PVAc를 각각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폴리머 혼입에 따라 늘어나는 공기량을 제어하기 위해 소포제를 첨가하여 PVAc 콘크리트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PVAc가 혼입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우 압축강도는 낮아지나 휨강도와 건조수축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크리트의 경우 혼입율이 6%일 때가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 및 탄성계수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탁중합에 의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은 중공 미세입자의 제조 (Preparation of Poly(vinyl acetate)/Silver Hollow Microspheres via Suspension Polymerization)

  • 염정현
    • 폴리머
    • /
    • 제35권5호
    • /
    • pp.390-394
    • /
    • 2011
  • 현탁중합에 의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PVAc))/은 미세입자 제조시 사용된 은 나노입자가 중합속도 및 PVAc 미세입자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투과전자현미경, X선 회절, 원자흡수분광분석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미세입자의 형태와 특성을 분석한 결과, 사용된 은 나노입자 표면의 친수성 정도와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라 미세입자의 표면이 골프공 표면처럼 오목해지거나 다양한 형태의 중공 구조를 가지는 PVAc/은 미세입자가 제조됨이 관찰되었다. 계면활성제로 개질된 은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중합한 경우에 중합속도가 약간 증가하였으며, 80% 이상의 전환율을 가지는 PVAc/은 미세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다.

Viscoelastic Properties of MF/PVAc Hybrid Resins as Adhesive for Engineered Flooring by Dynamic Mechanical Thermal Analysis

  • Kim, Sumin;Kim, Hyun-Joong;Yang, Han-Se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37-45
    • /
    • 2006
  • The viscoelastic properties of blends of melamine-formaldehyde (MF) resin and poly(vinyl acetate) (PVAc) for engineered flooring u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ONDOL house floor heating system were investigated by dynamic mechanical thermal analysis (DMTA). Because MF resin is a thermosetting adhesive, the effect of MF rein was shown across all thermal behaviors. The addition of PVAc reduced the curing temperature. The DMTA thermogram of MF resin showed that the storage modulus (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was further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cross-linking induced by the curing reaction of the resin. The storage modulus (E') of MF resin increased both as a function of increasing temperature and with increasing heating rate. From isothermal DMTA results, peak $T_{tan{\delta}}$ values, maximum value of loss modulus (E") and the rigidities (${\Delta}E$) of MF/PVAc blends at room temperature as a function of open time, peak $T_{tan{\delta}}$ and maximum loss modulus (E") values were found to increase with blend MF content. Moreover, the rigidities of the 70:30 and 50:50 MF/PVAc blend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blends, especially of 100% PVAc or MF. We concluded that blends the MF/PVAc blend ratios correlate during the adhesion process.

중합형 미세토너 합성을 위한 PVA입자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VA Particle Manufacturing for Polymerization Type Fine Toner)

  • 전재우;우화령;이난형;류원석;김삼수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17
    • /
    • 2003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PVA particle as toner, PVA/PVAc particle was manufactured. Fine spherical PVAc particle with emulsifier SDS(sodium Dodecyl Sulfate) and initiator V-50(2,2'- azo bis(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was manufactu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And then, the PVAc was carried with surface saponification. PVA/PVAc skin core structured particle was obtained under optimum saponification condition. PVA skin side in manufactured PVA/PVAc particles was dyed with 1:2 metal complex type C. I. Acid Yellow 235 and then the dyed PVA particles were observed with a optical microscope. Under given polymerization condition such as SDS concentration, $1.62\times{10}^{-2} \;mol/lH_2O$, V-50 concetration, $3.7\times{10}^{-3}\;mol/lH_2O$ and temperature $50^\circ{C}$ , the high molecular weight of PVAc with Pn 13,900 and PVA with Pn 3,400 was produced. The particle distribution of obtained PVAc microspheres was appeared highly at 60 and $100\mu{m}$, respectively.

Poly(vinyl acetate)와 Poly(vinyl acetate-co-ethylene) 에멀젼을 이용한 상온 블렌드 에멀젼의 Film 특성 (Film Properties of Cold Blending Emulsion Between Poly(vinyl Acetate) and Poly(vinyl acetate-co-ethylene) Emulsion)

  • 김호영;유성희;최용해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4호
    • /
    • pp.117-124
    • /
    • 2011
  • 본 연구는 보호콜로이드로 PVA를 사용한 PVAc 에멀젼 폴리머와 VAE 에멀젼 폴리머 블렌드에 관한 것으로 보호콜로이드로 사용된 PVA는 블렌드 전의 각각의 에멀젼 폴리머 필름과 블렌드 후의 필름에서도 연속상으로 존재하였다. 이는 블렌드를 구성하는 입자사이에서 뛰어난 접착력을 예상하게 한다. Tg가 서로 다른 에멀젼 폴리머 블렌드는 중요한 관심 대상이며 PVAc/VAE 에멀젼 폴리머 블렌드는 이 중 간단하면서도 또 다른 뛰어난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혼합 결과, PVAc 증가에 따라 신율이 저하되었고, PVAc 제조에 사용된 가소제가 혼합물의 Tg에 영향을 미쳐 PVAc 가소제의 VAE 에멀젼 폴리머으로의 이행으로 인하여 VAE 에멀젼 폴리머의 Tg를 저하시켰고, 인장강도 및 내열성, 접착력에서 두 혼합물의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PVAc에서 Quartz Crystal Microbalance를 이용한 톨루엔의 용해도 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Toluene Solubility in PVAc Using a Quartz Crystal Microbalance)

  • 김상범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3권3호
    • /
    • pp.166-172
    • /
    • 2008
  • 268 nm두께의 PVAc가 코팅된 수정결정 미소저울(QCM)을 사용하여 저항과 진동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온도($25^{\circ}C\sim42^{\circ}C$)와 톨루엔의 증기압(12.4$\sim$28.4 torr)변화에 따른 톨루엔의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진동수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톨루엔의 증기압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톨루엔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항은 감소하였으며, 증기압이 증가하면 저항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auerbrey 식을 이용하여 온도와 압력변화에 따른 용해도 변화를 측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