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sivation layer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24초

Nitric Acid를 이용한 SiNx/SiO2 Double Layer Passivation

  • 최재우;김현엽;이준신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1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405-405
    • /
    • 2011
  • 실리콘 질화막(SiNx : H)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제작 공정에서 ARC (Anti Reflection Coating)과 표면 패시베이션의 역할로써 많이 사용되었지만, layer 자체의 quality가 좋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는 SiNx/SiO2 이중 layer로 passivation layer를 형성하고 있다. SiO2 layer는 Si substrate를 소스로 하여 성장시키기 때문에 막의 질이 우수하기는 하지만, 막 성장을 위해서 Furnace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 시간과 공정 비용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O2 layer를 Furnace가 아닌, 질산(HNO3)을 이용하여SiNx/Thin SiO2 passivation layer 제작하였다. 실험에서는 SiO2 성장을 위해서 질산 용액에 p-type wafer를 dipping하여 시간대 별, SiO2 막의 두께를 관찰하였고, passivation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lifetime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SiNx/SiO2 이중 passivation layer는 SiNx 단일 막으로 passivation을 하였을 때보다, lifetime이 10 us 상승했고, 셀 제작시 효율은 약 1.1%, Fill Factor는 약 4% 정도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assivation Layer (Thermosetting Film)가 형성된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의전기적 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

  • 성시현;김교혁;정일섭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80-38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외기 환경 요인 중에서 H2O와 O2의 영향으로 성능이 저하되는 유기박막트랜지스터(OTFT)의 수명시간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passivation layer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OTFT에 기존의 액상 공정이나 증착 공정으로 단일 passivation layer또는 다층 passivation layer를 형성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향후에 산업 전반에 적용이 기대되는 것을 고려하여 제작 공정의 간편성을 위하여 film 형태로 되어 있는 열경화성 epoxy resin film으로 passivation layer를 구현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OTFT의 storage stability를 평가하였다. passivation layer가 없는 OTFT와 열경화성 epoxy resin film으로 passivation된 OTFT의 전기적 특성이 서로 비교 평가되었으며 또한 30일 동안 온도 $25^{\circ}C$ 상대습도 40%의 환경을 갖는 Desicator 안에서 소자를 보관하여 시간에 따른 전기적 특성 변화를 검증하여 epoxy resin film의 passivation layer으로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30일 후의 passivation layer가 없는 OTFT의 전기적 특성은 매우 낮게 떨어진 반면에 epoxy resin film으로 passivation layer가 구현된 OTFT의 mobility는 $0.060cm^2$/Vs, VT는 -0.18 V, on/off ratio는 $3.7{\times}10^3$으로 초기의 소자 특성이 잘 유지되는 결과를 얻었다. OTFT는 Flexible한 polyethersulfone (PES)기판에 게이트 전극이 하부에 있는 Bottom gate 구조로 제작되었고 채널 형성을 위한 유기반도체 재료로 6,13-bis (triisopropylsilylethynyl) (TIPS) pentacene이 사용되었고 spin coating된 Poly-4-vinylphenol (PVP)가 게이트 절연체로 사용되었다. 이때 Au전극은 Shadow mask를 이용하여 증착하였다. 또한 OTFT의 채널 길이 $100{\mu}m$, 채널 폭 $300{\mu}m$의 영역에 Drop casting법을 사용하여 채널을 형성하였다. 물리적 특성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scanning probe microscopy (SPM), x-ray diffraction (XR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전기적 특성은 Keithley-4200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 PDF

CsCl 보호막을 이용한 전면발광 OLED의 전기 및 광학적 특성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op Emission OLEDs with CsCl Passivation Layer)

  • 김소연;문대규;한정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73-177
    • /
    • 2008
  • We have developed the transparent passivation layer for top 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ing CsCl thin film by the thermal evaporation method. The CsCl film was deposited on the Ca/Ag semitransparent cathode.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Ca/ Ag/CsCl triple layer is higher than that of Ca/Ag double layer in the visible range. The device with a structure of glass/Ni/2-TNATA/a-NPD/Alq3:C545T/BCP/Alq3/Ca/Ag/CsCl results in higher efficiency than the device without CsCl passivation layer. The device without CsCl thin film shows a current efficiency of 7 cd/A, whereas the device passivated with CsCl layer shows an efficiency of 10 cd/A. This increase of efficiency isresulted from the increased optical extraction by the CsCl passivation layer.

Passivation for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ing parylene

  • Choi, Sung-Hoon;Oh, Myung-Hwan;Lee, Chan-Jae;Moon, Dae-Gyu;Han, Jeong-I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4년도 Asia Display / IMID 04
    • /
    • pp.996-998
    • /
    • 2004
  • In this study, we tested parylene as the passivation layer for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FOLEDs).Parylene as passivtion layer has several advantages which are good optical transparent and low moisture penetration. For more an effective passivation of FOLEDs, we suggest hybrid passivation layer with parylene and silicon oxide. We compared electrical properties and stability of the device with and without passivation layer. The lifetime of FOLED with hybrid passivation layer was increased over three times than that of non-passivated of FOLED.

  • PDF

HWCVD 계면 보호층을 적용한 실리콘 이종접합 태양전지 연구 (Silicon Heterojunction Solar Cell with HWCVD Passivation Layer)

  • 박상현;정대영;김찬석;송준용;조준식;이정철;최덕균;윤경훈;송진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6-346
    • /
    • 2009
  • For high efficiency hetero junction solar cell over 20%, good silicon wafer passiv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ological facto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ECVD technique, HWCVD has appeared as an promising alternative for high quality passivation layer formation. In this work, HWCVD passivation layer characteristics have been intensively investigated on wafer surface treatment, Hydrogen density in deposited thin layer and thermal effects in deposition process. Comprehensive results of the individual process factors on interface passivation has been discussed and resultant silicon hetero junction solar cell characteristics has been investigated.

  • PDF

Light Enhancement Al2O3 Passivation in InGaN/GaN based Blue Light-emitting Diode Lamps

  • So Soon-Jin;Kim Kyeong-Min;Park Choon-Bae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775-779
    • /
    • 2006
  • In this study, sputtered $Al_2O_3$ thin films were evaluated as a passivation layer in the process of InGaN-based blue LEDs in order to improve the brightness of LED lamps. In terms of packaged LED lamps, lamps with $Al_2O_3$ passivation layer emanated higher brightness than those with $SiO_2$ passivation layer, and LED lamps with 90 nm $Al_2O_3$ passivation layer were the brightest among four kinds of lamps. Although lamps with $Al_2O_3$ passivation had a slight increase in operating voltage, their brightness was improved about 13.6 % compare to the lamps made of conventional LEDs without the changes of emitting wavelength.

고효율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적용을 위한 실리콘 산화막 표면 패시베이션 (A Review on Silicon Oxide Sureface Passivation for High Efficiency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 전민한;강지윤;;박철민;송진수;이준신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321-326
    • /
    • 2016
  • Minimizing the carrier recombination and electrical loss through surface passivation is required for high efficiency c-Si solar cell. Usually, $SiN_X$, $SiO_X$, $SiON_X$ and $AlO_X$ layers are used as passivation layer in solar cell application. Silicon oxide layer is one of the good passivation layer in Si based solar cell application. It has good selective carrier, low interface state density, good thermal stability and tunneling effect. Recently tunneling based passivation layer is used for high efficiency Si solar cell such as HIT, TOPCon and TRIEX structure. In this paper, we focused on silicon oxide grown by various the method (thermal, wet-chemical, plasma) and passivation effect in c-Si solar cell.

플렉시블 유기 EL 소자를 위한 초박막 보호층 (Ultra Thin Film Encapsulation for Flexible OLED)

  • 임재성;신백근;임경범;송진호;김찬영;이백수;정영식;임헌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412-1413
    • /
    • 2006
  • In this research, an organic thin 13 passivation layer was newly adopted to prefect the organic layer from ambient moisture and oxygen. As the organic thin film passivation layer, poly methyl methacrylate thin films (ppMMA) were deposited using a plasma polymerization technique. In order to their passivation performance for OLEDs,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VTR) of the ppMMAs were analyzed and luminance-current-voltage (L-I-V)/luminance-time (L-T) characteristics of the OLEDs with and without ppMMA passivation layer were investigated. The OLEDs had a structure of ITO/TPD (HTL)/Alq3(EML&ETL)/Al. The OLED with ppMMA passivation layer showed improved L-T performance than that of without ppMMA passivation layer.

  • PDF

원자층 증착법으로 형성된 Al2O3 박막의 질소 도핑에 따른 실리콘 표면의 부동화 특성 연구 (Study on the Passivation of Si Surface by Incorporation of Nitrogen in Al2O3 Thin Films Grown by Atomic Layer Deposition)

  • 홍희경;허재영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11-115
    • /
    • 2015
  •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소수 캐리어의 높은 수명이 필수조건이다. 따라서, 이를 달성하기 위한 실리콘 표면결함을 없애줄 수 있는 부동화(passivation)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PECVD 법이나 열산화 공정을 통해 얻어진 $SiO_2$ 박막이 부동화 층으로 많이 사용되나 1000도에 이르는 고온 공정과 낮은 열적 안정성이 문제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하여 400도 미만의 저온 공정을 통해 $Al_2O_3$ 부동화 박막을 형성하였다. $Al_2O_3$ 박막은 고유의 음의 고정 전하밀도로 인해 낮은 표면 재결합속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소 도핑을 통해 높은 음의 고정 전하 밀도를 얻고 이를 통해 좀 더 향상된 실리콘 표면 부동화 특성을 얻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