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b and Cd

검색결과 1,944건 처리시간 0.032초

Mn-ferrite의 중금속 흡착특성-폐 페라이트의 중금속폐수 처리 활용 가능성 (Utilization of Waste Mn-ferrite for Treating Heavy Metals in Wastewater)

  • 이상훈;윤창주;이희란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5호
    • /
    • pp.381-385
    • /
    • 2003
  • 본 연구는 폐산화철을 이용한 폐수 중금속 제거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실제 폐수와 폐산화철을 적용하기에 앞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Mn-ferrite를 이용하여 실내 회분식 시험을 통한 흡착실험을 실시하여 pH, 접촉시간, 중금속 농도 및 온도 등과 같은 다양한 흡착 조절인자들을 이용하여 페라이트에 의한 Cd과 Pb의 흡착 및 제거특성을 알아보았다. 접촉시간을 1에서 360분까지 변화하여 흡착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일정온도에서 Cd와 Pb의 농도를 변화시켜 흡착등온선을 구하였다. 또한 온도(15∼35$^{\circ}$)와 pH(4∼10) 변화에 따른 흡착특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Cd과 Pb는 Freundlich 식에 잘 맞았으며 Cd에 비하여 Pb가 더 흡착이 잘 되었다. pH가 높을수록 Cd와 Pb가 더 잘 흡착되었으며 이는 pH증가에 따라 수소이온 농도가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표면의 흡착가용 장소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같은 pH에서 원소의 농도가 증가할 때 흡착이 더 잘 일어났다. 온도 역시 Pb와 Cd의 흡착능에 영향을 미쳤으며 Pb의 경우 온도가 증가할수록 흡착정도가 높아지는 반면 Cd의 경우 덜 흡착이 되었다. Cd는 Pb에 비하여 더 온도에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Cd와 Pb의 흡착특성 차이는 Cd에 비하여 Pb가 더 hard한 특성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폐산화철을 이용하여 각종 폐수 중금속을 제거하는 공정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황사 발생과 대기 중 PM10, PM2.5, Cd, Pb 농도의 상관성 (Correlation among PM10, PM2.5, Cd, and Pb Concentrations in Ambient Air and Asian Dust Storm Event)

  • 문찬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32-538
    • /
    • 2020
  • Objectives: The study evaluated correlations among monthly PM2.5, PM10, Cd, Pb concentrations and the number of Asian dust days. Methods: Based on data from 'The annual report on air quality in Korea from 1999 to 2017', concentrations of PM10, PM2.5, Cd, Pb, and the number of Asian dust days were recalculated to mean, standard deviation, minimum, and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among PM2.5, PM10, Cd, Pb, and Asian dust days. Results: Asian dust days were correlated only with PM10 among the four factors of PM10, PM2.5, Cd, and Pb. The four factors of PM10, PM2.5, Cd, and Pb were ver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p<0.01).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PM10 were 0.800 for PM2.5, 0.823 for Cd, and 0.892 for Pb. PM2.5 was also correlated strongly with Cd (0.845) and Pb (0.830). Cd had a correlation with Pb of 0.971. The maximums of PM2.5, PM10, and Pb were shown to exceed the atmospheric environmental standard of Korea, which necessitates national continuous exposure control. Based on exposure data, Asian dust days were thought to be an exposure factor for Cd and Pb. Conclusion: Asian dust might be a factor in Cd and Pb exposure. National exposure controls are required for exposure to PM2.5, PM10, Cd, and Pb.

미나리에 의한 수중 중금속의 Cd와 Pb의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of Cadmium and Lead from Water by Oenanthe Stolonifera DC.)

  • 이병설;정문호;두옥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7-55
    • /
    • 1995
  • Minari(Oenanthe stolonifera DC.) lived in serious polluted water is able to remove chemical elements from batch system.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the incorporation of cadmium and lead in batch system.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d(0.02 0.1 0.5 1.00 5.00 mg/l) and Pb(0.1 0.5 1.0 5.0 10.0 mg/l) were used. Toxic effects were obvious at Cd 1.00 mg/l and Pb 5.00 mg/l. The detrimental effects on minari were chlorosis of leaves and stunted roots and reduction in the number of lateral roots. There was reduction in growth rates exposed above Cd 1.00 mg/l and lead 5.0 mg/l. The minari capacities to remove Cd were 34.1-74.2% and Pb were 53.0~91.5%. The removal rates by minari in Cd and Pb solution were decreased with increased exposure concentration(in Cd r=0.97, in Pb r=0.88). The removal rates by minari in Cd and Pb solution were increased with increased growth rate(in Cd r=0.93 in Pb r=0.92). Recovery rates on minari are 67.3~95.2% in Cd water and 72.6~88.3% in Pb water. The rates are increased with increased growth rates and decreased initial concentrations.

  • PDF

Red mud를 이용한 중금속 Cd 및 Pb의 흡착제거 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Cd and Pb by Adsorption on Red Mud)

  • 임수빈;김재곤;송호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7호
    • /
    • pp.39-4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red mud를 흡착제로 이용하여 산성광산배수내 대표적인 유해 중금속인 Cd과 Pb의 흡착특성을 파악하고, 산처리와 소성처리 방식으로 활성화된 red mud에 의한 Cd와 Pb의 중금속 흡착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Red mud에 대한 Cd과 Pb의 흡착은 반응시간 30분 이내에 대부분 발생하였으며, 5시간 경과 후에는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가 증가할수록 red mud에 대한 Cd 및 Pb의 흡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d mud를 증류수 혹은 산으로 중화 처리하거나 산처리 혹은 소성처리 등과 같은 활성화 처리할 경우 Cd와 Pb에 대한 red mud의 흡착능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red mud를 이용한 Cd와 Pb의 흡착제거는 가공하지 않은 원 상태의 red mud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Red mud에 대한 Cd와 Pb의 흡착거동은 Langmuir 및 Freundlich 등온흡착모델에 모두 잘 적용되었으며, Red mud 흡착제에 대한 Langmuir 등온 흡착식의 $q_m$ 과 Freundlich 등온흡착식의 $K_F$ 상수값은 Cd에 대하여 각각 5.230mg/g와 1.118mg/g이었으며 Pb에 대해서는 각각 22.222mg/g와 7.241mg/g의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동해 표층수중 용존 Pb, Cd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s of Dissolved Pb and Cd in the Surface Water of East Sea, Korea)

  • 윤상철;윤이용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4-73
    • /
    • 2015
  • 2009년 7월 3일부터 7월 27일까지 러시아 조사선 R/V Lavrentyev를 이용하여 러시아 연안으로부터 4개의 Line(D, R, E, A)을 따라 표층 30 m 수심의 시료를 26개 정점에서 채수하여 Pb와 Cd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해역별로 Pb와 Cd의 농도를 비교하면, 연안역에서는 러시아 연안(평균 Pb, 0.08; Cd, 0.10 nM )보다 우리나라 동해 연안의 농도(평균 Pb, 0.49; Cd, 0.11 nM)가 Pb의 경우 6.0배 높은 반면 Cd의 농도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난수역(평균 Pb, 0.22; Cd, 0.10 nM)은 냉수역(평균 Pb, 0.13; Cd, 0.14 nM)에 비해 Cd의 농도는 0.4배 낮은 반면, Pb의 농도는 약 1.7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Pb와 Cd의 농도 분포는 표층 수온 $10^{\circ}C$를 기점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10^{\circ}C$ 이하에서 수온이 감소함에 따라 농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한류수의 농도가 주변 연안이나 외해의 해수보다 농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10^{\circ}C$ 이상에서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가 증가하는 추세로서 대마난류와 인접국가(우리나라와 일본)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울릉분지에서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Pb의 경우, 고온의 대마난류가 유입되는 정점 D10을 최고점으로 고위도로 북상할수록 수온의 감소와 더불어 농도의 감소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서지중해와 동태평양의 측정치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서 대만난류를 통한 유입량과 우리나라와 일본으로부터 대기를 통한 전달량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동해 표층수의 Cd농도 분포는 주로 동해에 존재하는 다양한 수괴의 혼합에 의해 영향을 받는 반면, Pb은 대기와 대마난류를 통한 전달량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기타 강물을 통한 유입과 유,무기성 입자물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아연광산 주변 논토양에서 토양(土壤) 화학성(化學性)이 중금속의 형태(形態) 및 그 분포(分布)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on the Distribution and Forms of Heavy Metals in Paddy Soils near Zine Mines)

  • 현해남;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83-191
    • /
    • 1991
  • 본 연구는 아연광산(亞鉛鑛山) 주변의 논토양에 존재하는 Cd, Pb, Cu 및 Zn의 형태별 함량을 조사하여 중금속간의 분포(分布) 특성(特性)을 검토하였으며, 토양 화학적 성질이 이들의 형태별 함량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토양에 존재하는 Cd, Pb, Cu 및 Zn은 주로 해화물-잔류태(殘留態)로 존재하였으며, Cd와 Pb의 산화물(酸化物)-탄산염태(炭酸鹽態)와 Cu의 유기복합태(有機複合態)의 함량도 높은 편이었다. Pb와 Cu의 치환태는 소량 존재하였으며, 수용태는 Zn만 검출되었다. 2. 치환태의 분포비가 높은 토양일수록 산화물-탄산염태 및 황화물-잔류태의 분포비가 낮았다. 3. 토심이 깊어질수록 치환태 Cd 및 Zn의 분포비(分布比)는 낮아지고 항화물-잔류태의 분포비가 높아졌으며, Pb는 산화물-탄산염태의 분포비가 낮아지고 황화물-잔류태의 분포비가 높아졌다. 4. Cu는 유기물이 많은 토양일수록 Cu의 유기복합태 함량이 많았으며, Cd, Pb 및 Zn의 유기복합태는 유기물함량과 관계가 없었다. 치환태 Cd, Pb 및 Zn의 분포비는 pH가 높은 토양일수록 낮았으나, 이들의 산화물-탄산염태과 황화물-잔류태의 분포비의 합은 높았다. Pb의 산화물-탄산염태 및 황화물-잔류태의 분포비는 공시토양의 pH 전범위에서 Cd 및 Zn에 비하여 높았다.

  • PDF

草本植物의 重金屬 抵抗性에 關한 硏究 - Cadmium, Lead 處理 土壤에 의한 反應 - (Study on the resistance of various herbaceous plants to the effect of heavy metals-responses of plants to soil treated with cadmium and lead-)

  • Kim, Byung-Woo;Park, Jong-S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4호
    • /
    • pp.433-449
    • /
    • 1992
  • Three horticultural herbaceous plants and a natural herbaceous plant were tested to determine the growth responses, biomass and uptake of cadmium(cd), lead(pb) by application of cd and pb soil treatment in pot culture. The ecological effects on the growth of the plant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tolerance for the heavy metal pollutants cd and pb. the marginal concentrain of cd treatment on the growth of the each plant was below the 1, 000 ppm treatment of cd. The marginal concentration of pb treatment was below the 1, 000ppm treatment of pb in cultivation of salvia splendens ker., celosia cristata l. and below the 3, 000ppm treatment of pb in cultivation of portulaca grandiflora hook., sedum saramentosum bunge. the resistance for cd of sedum saramentosum bunge, celosia criastata l., portulaca grandiflora hook. and salvia splendens ker. was in the listed order. The resistence for pb was in order of sedum saramentosum bunge, portulaca grandiflora hook. Salvia splendens ker.and celosia criastata l.stems. The flowering of portulaca grandiflora hook. was sustained in the pb 1, 000ppm treated group only.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pb in the soil cultivated the plants was, the less the content of leaf chlorophy11 in each plant was. The number of stomata per unit leaf area was the highest in salvia splendens ker. and in order of celosia l., sedum saramentosum bunge., portulaca grandiflora hook., the higher the cd and pb concentration of cd and pb treatment was, the more the concent of cd and pb in the part of each plant increased. the content of cd and pb in the stems of salvia spiendens ker. was the highest in the 1, 000ppm-treated ground and in order of the roots, the leaves and the flowers.

  • PDF

실리카고정 괭생이모자반에 대한 중금속 Cd(II), Pb(II) 이온의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Metals, Cd(II) and Pb(II) Ions, on the Si-immobilized Sargassum horneri)

  • 박광하;박미아;김영하
    • 분석과학
    • /
    • 제13권3호
    • /
    • pp.368-377
    • /
    • 2000
  • 실리카고정괭생이모자반을 합성하여 중금속 흡착제로 이용하였다. 이 흡착제에 대한 중금속 Cd(II), Pb(II)이온의 최대흡착조건을 알아보고 흡착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산성보다는 알카리성에서 흡착량이 더 크고 Si-고정괭생이모자반에 대한 중금속 Cd(II), Pb(II)이온의 흡착량이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d(II) 이온보다 Pb(II) 이온의 흡착량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Cd(II) 및 Pb(II) 이온의 회수율은 괭생이모자반에서 58.0-62.6%, 61.2-64.4%로 나타났고, Si-고정괭생이모자반에서 56.8-92.7%, 37.8-47.9%로 나타났다. Cd(II)이온은 Si-고정괭생이모자반에서의 회수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Pb(II) 이온은 Si-고정괭생이모자반에서의 회수율이 더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도곡광산 광미의 중금속 용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Releases from the Abandoned Dogog Mine Tailing in Korea)

  • 박창진;김원일;정구복;이종식;류종수;양재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16-322
    • /
    • 2006
  • 본 연구는 도곡 광산의 광미 중 Cd, Cu, Pb, Zn의 용출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용성과 0.1 M HCl 용출물을 대상으로 Batch 시험과 Column 시험을 실시하였다. Batch 시험에서 수용성 중금속은 Cd 2.31 mg/kg, Cu 129.38 mg/kg, Pb 17.17 mg/kg, Zn 287.53 mg/kg이었으며, 0.1H HCl 추출물은 Cd mg/kg, Cu mg/kg, Pb mg/kg, Zn mg/kg이었다. 수용성 중금속의 초기 용출농도는 Zn > Cu > Pb > Cd의 순이었으며, 수용성 중금속의 용출속도상수는 Pb > Cu > Cd > Zn의 순이었다. 0.1M HCl 추출물의 초기 용출농도는 Zn > Cu > Pb > Cd의 순이었으며, 용출속도상수는 Pb > Cd > Zn > Cu의 순이었다. 중금속의 용출속도는 주로 추출액과 광미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결정 요소에 의하여 본 시험에서는 Pb의 용출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Column시험에서 수용성 중금속은 Cd과 Cu, Zn의 경우 2 pore volume에서 의사평형에 도달하였으나, Pb의 경우 10 pore volume에서 의사 평형에 도달하였다. 0.1 M HCl을 column에 통과시켰을 때 Cd, Cu, Zn은 1 pore volume에서 용출농도의 최대점을 나타냈으나, Pb은 5 pore volume에서 최대점을 나타내었으며, 이동속도는 Cd > Zn > Cu > Pb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Sphagnum 피트모스에서의 카드뮴, 구리, 납의 흡착 (Adsorption of Cadmium, Copper, and Lead on Sphagnum Peat Moss)

  • 방선백;이상우;김주용;유동일;강용곤;김경웅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2호
    • /
    • pp.103-109
    • /
    • 2006
  • Sphagnum 피트모스에서의 Cd(II), Cu(II) Pb(II)의 흡착에 대한 회분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10-50 mg/L의 Cd(II), Cu(II), Pb(II)이 1.0 g/L의 sphagnum 피트모스에 1시간 내에 흡착되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다. 초기농도에 따라 sphagnum 피트모스에 홉착된 Cd(II), Cu(II), Pb(II)의 반응속도는 유사이차 반응모델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Langmuir 등온흡착으로부터 Cd(II), Cu(II), Pb(II)에 대한 최대흡착량을 계산하여, 각각 33.90, 29.15, 91.74 mg/g가 sphagnum 피트모스에 흡착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Sphagnum 피트모스가 Cd(II), Cu(II), Pb(II)를 흡착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흡착제임을 실험결과를 통해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