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iatric dental clinic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에서 소아전문 치과의원의 지역분포 및 진료패턴 (Regional Distribution and Practice Pattern of Pediatric Dental Clinics in Korea)

  • 채종균;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영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4-52
    • /
    • 2020
  • 1956년 한국에 처음 소아치과학교실이 창설되었고, 1992년 한국 최초의 소아전문 치과의원이 등장하였다. 치의학의 발전과 소아치과에 대한 대중의 인식 변화로 인해 소아전문 치과의원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분포를 포함한 여러 측면에서 한국의 소아전문 치과의원의 현황을 조사하는 것이다. 한국에 17,917개의 치과의원 중 소아전문 치과의원은 343개이고, 1.91%를 차지하였다. 343명의 소아전문 치과의원 개원의 중 248명이 소아치과 전문의였다. 소아치과 전문의 248명 중 25명이 전문의를 표방하여 개원하고 있었다. 16개의 시도 중 경기도에 소아전문 치과의원이 가장 많았고, 33.5%를 차지하였다. 서울과 부산이 그 뒤를 이었다. 서울의 25개 구 중에서는 강남구에 소아전문 치과의원이 가장 많았고, 유소년 10만명당 소아전문 치과의원 수도 강남구에서 제일 높았다. 소아전문 치과의원의 90.9%는 평일 야간진료를 하지 않았고, 26.5%는 토요일에 15시 이후에 문을 닫았다.

지리 정보 시스템을 활용한 소아 전문 치과의 공간적 접근성 평가 (Assessing Spatial Accessibility to Pediatric Dental Clinics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승은;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53-467
    • /
    • 2022
  • 이 연구는 지리 정보 시스템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소아 전문 치과 병·의원의 접근성을 평가하고 접근성이 가장 좋은 지역과 좋지 못한 지역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에서 가장 높은 정도의 밀집도를 보여주었고, 경북과 전북에서 가장 낮은 정도의 밀집도를 보여주었다. 서울은 10 km 기준에서 모든 행정구역에서 100%의 서비스 면적 비율을 보여주어 서울의 모든 지역에서 수요가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하지만 경북, 전북의 경우 절반 이상의 행정구역에서 0%의 서비스 면적 비율을 보여주었다. 초등학교에서 가장 가까운 소아치과 병·의원까지의 거리를 살펴보았을 때 서울은 평균 3.45 km였으나 경북, 전북은 각각 43.66 km, 40.57 km로 서울에 비해 각각 12.66배, 11.76배에 달하는 평균 거리를 보여주었다.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in dental hygienists)

  • 형주희;장윤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003-1013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dental hygienists in how they view their work and how they rate their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Gathering this data was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increase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improve work environments for dental hygienists. Methods: We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178 dental hygienists. The dental hygienists were randomly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dental hospitals. Results: Our results showed that pediatric hygienists had more negative responses in regard to their views on their work. As for emotional labor, dental hygienists from pediatric dental clinics experienced heavier emotional labor than those from general dental clinics. On the other hand, dental hygienists from general dental clinics suffered more from occupational stress than pediatric dental hygienists did. Conclusions: Giv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effective and ideal programs that promote occupational satisfaction for dental hygienists should be prepared, and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o resolve emotional labor and improve their work environments, as well.

한국 치과대학 및 치의학 전문대학원의 장애인치과학 교육 현황 (CURRENT STATUS OF SPECIAL CARE DENTISTRY EDUCATION OF DENTAL SCHOOLS IN KOREA)

  • 오예랑;남옥형;김미선;최성철;김광철;이효설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0
    • /
    • 2018
  • Special care dentistry, also known as special needs dentistry, is concerned with the oral health of people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y, or who are affected by other medical, physical, or psychiatric issues. Dental schools must educate dental students for the competency in managing and treating individuals with special health care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 care dentistry education in Korean dental schools. A questionnaire relating to the education of special care dentistry was sent to eleven dental schools in Korea via email. The result turned out that eight out of eleven schools had classroom teaching of special care dentistry, while only four had practical teaching programs. Nine schools had dental clinics for the disabled, in which two of them had special care clinics within the Pediatric dentistry clinic, and other seven in separate clinical sites. Despite the increased interest in special care dentistry, education including classroom teaching and practical teaching was still insufficient and needed more development. This study implicated a small but valuable understanding of special needs dentistry education in Korea.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내원한 교정환자의 분포양상에 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ORTHODONTIC PATIENTS 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구용한;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50-555
    • /
    • 2009
  • 과거에 비해 소아 및 청소년기에 교정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소아치과에서 교정치료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교정환자의 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6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내원한 환자 중 교정 진단 받은 79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정 진단을 받은 환자의 연령 분포는 8세가 22%로 가장 많았고 7세(19%), 9세(16%) 순서로 나타났다. 2. 골격 분포는 골격성 1급 부정교합이 52%로 가장 많았고 3급(29%), 2급(19%)순서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은 경우 3급 부정교합 환자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총 792명의 환자 중 28%인 218명에서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였으며 연령이 낮은 경우 그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a Proposed VR Model as a Method to Relieve Distress and Improve Communication during Pediatric Dental Treatment in 3-9 Year-Old Children

  • Aalqeel, Samia;Song, Eun-Jee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77-578
    • /
    • 2022
  • This study addresses the effectiveness of a VR model that is designed to relieve distress and improve communication during pediatric dental treatment for 3-9 year-old young patients. This is due to the challenging nature of the dental treatment for both young patients and pediatric dentists. The proposed model is designed to alleviate the unpleasant experience a young patient might go through during the dental treatment through providing a VR content to be displayed in on a head-mounted device during the treatment session. In addition, the model is designed to help decrease the frequent movement of the young patient during the dental treatment session by directing the patient's head to the immersive VR content. Furthermore, the model could solve the communication difficulties that might occur between pediatric dentists and young patients during the treatment session by showing live instructions related to adjusting body postures

  • PDF

최근 5년간 광주지역 소아치과에 내원한 신환의 분포와 진료 내용에 대한 조사 (A STUDY ON THE CHANGES OF PATIENT DISTRIBUTION AND TREATMENT PATTERN FOR THE LAST 5 YEARS IN PEDIATRIC DENTAL PRACTICE OF GWANGJU)

  • 김하나;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48-356
    • /
    • 2012
  • 최근 사회 경제적인 변화로 소아치과의 진료 양상도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미래에 소아치과가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조선대학교 소아치과와 광주의 소아전문 개인치과의원 두 곳에 내원한 모든 신환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신환의 수는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였고, 이 중 남아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연령별 분포에서는 3~4세군의 내원율이 가장 높았다. 조선대학교 소아치과의 경우 방학 중 내원율이 높았으나, 소아전문 개인 치과의원은 특정 기간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주소 분포에서는 충치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예방 및 검진을 위한 내원율의 증가와 함께 불소도포가 증가하였다. 치료 중에서는 수복치료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 중 레진과 글라스아이오노머의 수복이 가장 많았고, 아말감 수복은 감소하였다. 진정치료의 비율은 약간 감소하였고, 소아전문 개인치과의원과 비교해 조선대학교 소아치과에서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Multilevel Analysis on Spatial Distribution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of Dental Caries in Korean Children

  • See-in Park;Changmin Im;Gimin Kim;Jaesik Lee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0-54
    • /
    • 2024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gional distribution in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and related multidimensional factors among 12-year-old children in Korea. Data from the 2018 Child Oral Health Survey were used to calculate the average DMFT index of 12-year-old children in metropolitan cities, and a multi-level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to explai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dental caries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Factors were divided into two levels by administrative structure. This study finds a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in 12-year-old Korean children across metropolitan cities. Multilevel analysis showed that district-level factors (average number of pit and fissure-sealed permanent teeth, dental treatment demand rate, preventive treatment rate, sex ratio, and number of dentists per 100,000 people) and metropolitan-level factors (intakes of cariogenic beverages and number of pediatric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per 100,000 peop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ntal caries prevalence (p < 0.05).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local socio-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Especially considering the strong dependence on preventive treatment and accessibility to dental care servic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dequate preventive treatment and expand health care resources in high-risk areas of dental caries.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신환 분포 및 내원 동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EW-PATIENT DISTRIBUTION AND THE MOTIVES FOR VISITING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김효정;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5-32
    • /
    • 2011
  • 거주지 주변 소아치과 전문 의원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요즘 대학병원의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내원 경로와 내원 동기는 의원급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환자의 내원 경로, 동기와는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신환으로 내원한 환자의 자료를 조사 분석하고,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병원에 신환으로 내원한 환자의 내원 경로와 내원 동기 등에 관하여 알아보고, 환자 및 보호자가 어떠한 기준으로 병원을 선택하고 내원하는지 살펴보았다. 1. 조사기간 동안 내원한 신환의 평균 연령은 6.2세였다. 2. 전체 신환 중 남자 환자는 54.5%, 여자 환자는 45.5%로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3.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서울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하게 된 경위는 타 치과에서 대학병원으로의 권유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주변의 추천, 예전에 치료 받던 병원이라서, 거주지와의 접근성이 좋음, 브랜드 네임, 인터넷 검색 순으로 나타났다. 4. 내원 전 타 치과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환자는 75%로 나타났다. 1) 타 치과 방문 후 내원한 환자의 71%는 1군데 방문 후 내원하였으며 3군데 이상 방문 후 내원한 환자도 약 4% 정도로 나타났다. 2) 이전에 방문한 치과의 전문성 여부를 살펴보았을 때 소아 전문치과가 아닌 곳을 방문 후 내원하는 경우가 약간 많게 나타났다. 3) 타 치과를 방문 후 본원에 다시 내원하게 된 이유는 진단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라는 경우가 60.7%로 가장 많았으며, 이전 병원에서 대학병원으로 의뢰, 비용상의 문제, 기타 의견, 이전 치과의 접근성 불편 순으로 나타났다. 90% 이상의 환자들이 진단의 정확성을 재확인하거나 이전 병원에서 대학병원으로 의뢰하여 재내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본원에서 치료를 원치 않는 경우, 치료를 원치 않는 가장 큰 이유는 교통 불편, 접근성이 어렵다는 점이었다. 어린 연령의 환아와 보호자가 동행해야 하며 잦은 간격으로 여러 번 내원해야 하는 소아치과 진료의 특성상 접근성이 재내원 여부를 주저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A survey of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in a Korean university hospital pediatric dental clinic

  • Shin, Bisol;Yoo, Seunghoon;Kim, Jongsoo;Kim, Seungoh;Kim, Jongbi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6권3호
    • /
    • pp.203-208
    • /
    • 2016
  • Background: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cases of dental treatment for the disabled is gradually increasing, primarily at regional dental clinics for the disabled. This study investigated pediatric patients at a treatment clinic for the disabled within a university hospital who received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This data could assist those that provide dental treatment for the disabled and guide future treatment directions and new policies.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263 cases in which patients received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from January 2011 to May 2016. The variables examined were gender, age, reason for anesthesia, type of disability, time under anesthesia, duration of treatment, type of procedure, treatment details, and annual trends in the use of general anesthesia. Results: Among pediatric patients with disabilities who received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most prevalent age group was 5-8 years old (124 patients, 47.1%), and the primary reason for administering anesthesia was dental anxiety or phobia. The mean time under anesthesia was $132.7{\pm}77.6min$, and the mean duration of treatment was $101.9{\pm}71.2min$. The most common type of treatment was restoration, accounting for 158 of the 380 treatments performed. Conclusions: Due to increasing demand, the number of cases of dental treatment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is expected to continue increasing, and it can be a useful method of treatment in patients with dental anxiety or phob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