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icillium digitatum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1초

p-Anisaldehyde Exerts Its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enicillium digitatum and Penicillium italicum by Disrupting the Cell Wall Integrity and Membrane Permeability

  • Che, Jinxin;Chen, Xiumei;Ouyang, Qiuli;Tao, Nenggu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6호
    • /
    • pp.878-884
    • /
    • 2020
  • Penicillium digitatum and P. italicum are the two important postharvest pathogens in citrus, causing about 90% of the total loss of citrus fruit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Natural fungicides such as essential oils have been widely used instead of chemical fungicides for preventing and controlling postharvest diseases. In this research, p-anisaldehyde exhibited a strong inhibitory effect on P. digitatum and P. italicum, with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minimum fungicidal concentration values of both being 2.00 μl/ml. Additionally, p-anisaldehyde visibly inhibited both the green mold and blue mold development of citrus fruits inoculated with P. digitatum and P. italicum. The mycelia morphologies of these pathogens were greatly altered, and the membrane permeability and cell wall integrity of mycelia were severely disrupted under p-anisaldehyde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fungal activity of p-anisaldehyde against P. digitatum and P. italicum can be attributed to the disruption of the cell wall integrity.

감귤저장병 병원균 Penicillium digitatum 방제를 위한 길항 내생세균 Bacillus velezensis CB3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agonistic Endophytic Bacterium Bacillus velezensis CB3 the Control of Citrus Green Mold Pathogen Penicillium digitatum)

  • 이지현;서문원;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8-123
    • /
    • 2012
  • 대표적인 감귤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 방제용 생물농약을 개발하고자 제주도내 7개 과수원으로부터 채집된 citrus 잎에서 21균주의 내생세균을 분리하였다. 그 중 5개의 세균이 녹색곰팡이병균 P. digitatum에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대치배양에서 가장 강력한 항균활성을 보인 CB3 균주가 선발되었다. CB3 균주는 간상형의 그람 양성세균으로 생리 생화학적 특성과 gyr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Bacillus velezensis로 동정되었다. CB3 균주는 감귤 저장병 병원균 Penicillium digitatum에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1{\times}10^5$ spores/ml에 이르는 고농도의 P. digitatum을 감귤에 상처접종했을 때에도, $1{\times}10^8$ cfu/ml의 CB3에 의한 방제효과는 66.7%로 매우 높았다. 본 연구결과, Bacillus velezensis CB3의 안정성과 강한 방제활성 등을 고려할 때 유용 친환경적 방제제로서 매우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장 감귤의 부패에 관여하는 Penicillium spp.에 대한 Iminoctadine tris(albesilate)와 Kresoxym-methyl의 방제 효과 (Protective Effect of Iminoctadine tris(albesilate) and Kresoxim-methyl Fungicides to Citrus Postharvest Diseases caused by Penicillium spp.)

  • 현재욱;이성찬;임양빈;김동환;고상욱;김광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7-44
    • /
    • 2001
  • 본 연구는 감귤을 부패시키는 Penicillium spp.에 대한 kresoxim-methyl 과 iminoctadine tris(albesilate)의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P. italicum과 P. digitatum의 균사생장에 대한 iminoctadine tris(albesilate)의 $EC_{50}$값은 각각 0.01-0.02와 $0.01{\mu}g$ a.i./mL이었지만, 아직 미동정인 새로운 유형의 Penicillium spp.균은 iminoctadine tris(albesilate)가 $0.64{\mu}g$ a.i./mL들어 있는 PDA배지에서도 거의 균사생장이 억제되지 않았다. 또한 P. italicum과 P. digitatum의 발아와 발아관의 생장에 대한 iminoctadine tris(albesilate)의 $EC_{50}$값은 $0.0013-0.0025{\mu}g$ a.i./mL이었지만 새로운 유형치 Penicillium spp.는 $0.2{\mu}g$ a.i./mL 농도에서도 포자 발아가 거의 억제되지 않았다. P. italicum과 P. digitatum 그리고 미동정 Penicillium spp.의 균사생장에 대한 kresoxim-methyl의 $EC_{50}$은 각각 0.08-0.16, 0.04 그리고 $0.16{\mu}g$ a.i./mL이었으며 P. italicum과 새로운 유형의 Penicillium spp.의 포자 발아 및 발아관 생장에 대한 $EC_{50}$$0.04{\sim}0.08{\mu}g$ a.i./mL이며 P. digitatum에 대해서는 $0.01{\sim}0.02{\mu}g$ a.i./mL였다. Kresoxim-methyl과 iminoctadine tris(albesilate)의 저장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약제를 각각 $155{\mu}g$ a.i./mL과 $200{\mu}g$ a.i./mL의 농노로 수상살포하고 7일 후 수확하여 90일간 저장한 결과 무처리구와 thiophanate-methyl $700{\mu}g$ a.i./mL을 처리한 대조구에서의 부패율은 각각 $20.3{\pm}10.0%\;and\;19.5{\pm}9.6%$으로 높은데 반하여 tresoxim-methyl과 imonoctadine tris(albesilate) 처리구에서의 부패율은 각각 $3.6{\pm}1.8%$$5.9{\pm}1.8%$로써 방제효과가 높았다. 이들 처리로부터 저장 후 0, 30, 60, 90일에 각각 iminoctadine tris(albesilate)와 kresoxim-methyl의 잔류량을 조사해본 결과 각 조사 기간 중 iminoctadine tris(albesilate)의 최대잔류량은 0.10 ppm이었고 kresoxlm-methyl의 최대 잔류량은 0.45 ppm이었다.

  • PDF

Histological Detection of Phytoalexin Scoparone from Heat-Treated and UV-Illuminated Lemon Fruits After Inoculation with Penicillium digitatum

  • Kim, Jong-Jin;Yehoshua, Shimshon-Be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5호
    • /
    • pp.271-275
    • /
    • 2001
  • Phytoalexin scoparone (6,7-dimethoxycoumarin) was induced in flavedo tissue of lemon fruit inoculated with Penicillium digitatum during heat treatment for 3 days at $36^{\circ}$. The compound was also induced in the flavedo tissue after UV illuminatiion. Induction of scoparone was deteected in the flavedo tissue by histological analysis. This fluorescent scoparone accumulated only on the 4-5 layers of cells adjacent to the inoculation site. Preinoculation with P. digitatum and subsequent heat-treatment induced resistance in the lemon fruit tissues after challenge-inoculation at the site of the first infection. the data obtained in the study suggest that lemon fruit acquired resistance against P. digitatum parallel with the scoparone production at the infection site.

  • PDF

최근 부지화 감귤 품종에 발생하는 식물병의 종류 및 그 증상 (Diseases and the Symptoms Recently Occurred on 'Shiranuhi' Citrus Cultivar in Jeju Island)

  • 현재욱;김동환;김광식;이성찬;고상욱;임한철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94-99
    • /
    • 2004
  • 청견과 퐁깐의 교배종인 부지화 감귤은 그 모양이 독특하고 당 함량이 높은 고품질의 감귤로서 최근 재배면적과 농가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품종이다. 대부분이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병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최근 몇몇 농가에서 병이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었다. 조사 결과 부지화 하우스에서 주로 발생하는 병은 Phytophthora citrophthora에 의한 역병, Alternaria sp.에 의한 배꼽썩음병, Penicillium digitatum에 의한 녹색곰팡이병, Botrytis cinerea에 의한 잿빛곰팡이병, Diaporthe citri에 의한 꼭지썩음병 그리고 Xanthomonas axonopodis pv. citri에 의한 궤양병 등 6종이 조사되었다.

Polycaprolactone을 분해하는 토양미생물 (Soil Microorganism Degrading Polycaprolactone)

  • 김말남
    • 환경생물
    • /
    • 제22권3호
    • /
    • pp.400-404
    • /
    • 2004
  • 유기합성적으로 제조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일종인 polycaprolactone (PCL)을 $27^\circ{C}$$37^\circ{C}$로 온도를 달리한 활성오니토양에 66일간 매립하여 토양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PCL 필름의 표면변화를 관찰하고, PCL을 분해하는 토양진균과 토양세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PCL을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토양진균으로는 Paecilomyces fumosoroseus KH27, Penicillium digitatum KH28, Fusarium solani KH29와 Aspergillus sp. KH30, 토양세균으로는 Ochrobactrum anthropi KH3l이 분리되었다. $27^\circ{C}$에서는 P. digitatum KH28이 가장 높은 PCL 분해능(46%)을 보였고, $37^\circ{C}$에서는 O. anthropi KH31의 분해능(52%)이 가장 우수하였다.

감귤 녹색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천산용 추출물의 실용적 적용 (Practical Application of Dioscorea quinqueloba Extract for the Control of Citrus Green Mold)

  • 이지현;강성우;송정영;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54-360
    • /
    • 2012
  • 총 101종의 식물추출물 가운데 약용식물인 천산용(Dioscorea quinqueloba Thunb.) 추출물이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나 감귤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 방제를 위한 실질적인 농업적 현장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선발된 천산용 추출물은 PDA 배지에 0.5 mg/ml을 처리하였을 때, P. digitatum의 균사생장을 87% 억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항균활성 물질은 pH, 온도, UV에 영향을 받지 않는 매우 안정한 물질임이 확인되었다. 감귤 저장상태 하에서 녹색곰팡이병 방제를 검정한 결과, 자연적인 병발생을 유도한 후 항균활성 물질을 처리하였을 때 0.3 mg/ml에서 완벽하게 병이 방제되었으며 인위적으로 고농도의 P. digitatum을 접종한 경우에도 0.5 mg/ml 농도에서 100%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 천연 항균물질을 2 mg/ml 농도로 감귤 과실에 처리하여도 약해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약해가 없고 방제효과가 우수한 이 식물유래 천연물질은 감귤 저장 중에 발생하는 녹색곰팡이병 방제를 위해 추후 매우 효과적인 농업적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Penicillium spp. associated with post - harvest decay of fruits. (oral)

  • Oh, S.Y.;Yu, S.H.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15.1-115
    • /
    • 2003
  • Post-harvest decay, caused by Penicillium spp. is a serious problem of fruits worldwid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markers were used to characterize 22 Penicillium isolates from apples, 18 isolates from pears, 60 from oranges and 18 from grapes and 23reference isolates representing related Penicillium spp. to assess their diversity and resolve their taxonomy. Based on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solates were grouped as identical or very similar to P. digitatum, P. italicum, P. ulaiense or very similar to P. crustosum, P. expansum, P. solitum and unidentified Penicillium spp. Based on sequence comparisons of ITS region, variable site were presented within and among the species, but there variation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species. Cluster analyses of AP-PCR fragment patterns using UP and L45 primer and the -tubulin gene sequence, the Penicillium species were segregated into distinct groups. Particularly. the -tubulin partial sequence data provided support for species concepts based on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 PDF

수확 후 과실류에 발생하는 진균독소의 탐색 및 방베 1. 사과, 배, 감귤, 포도에서 분리한 Penicillium이 생산하는 주요 진균독소 (Survey and Control of the Occurrence of Mycotoxins from Post-harvest Fruits 1. Mycotoxins Produced by Pencillium Isolates from Apple Pear, Citrus and Grape)

  • 오소영
    • 식물병과 농업
    • /
    • 제5권2호
    • /
    • pp.100-104
    • /
    • 1999
  • A total of 65 isolates of Penicillium were isolated from decayed post-harvest fruits of apple pear citrus and grape. The Penicillium species isolated from the apple were idnetified as P. aurantiogriseum and P. expansum those from the pear were P. crustosum and P. expansum and those from the grape were P. aurantiogriseum and P. expansum, From decayed citrus fruits. P. digitatum and P. italicum were isolated. Citrinin and patulin from these species in the YES(yeast extract sucrose) broth were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and purified by thin-layer chromatography(TLC)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Among 51 isolates of Penicillium from apple pear and grape 7 isolates produced citrinin 13 isolates produces patulin and 12 isolates produced citrinin and patulin also. All 14 isolates of Penicillium from citrus produced only patulin.

  • PDF

저장고 형태에 따른 온주밀감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Satsuma Mandarin during Storage by Storage Warehouse)

  • 김성학;임자훈;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1-136
    • /
    • 2002
  • 저장고 형태에 따른 온주밀감의 저장 중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항균제로서 베프란(iminoctadime-triacetate) 2,000배 희석액과 키토산 1.5%에 0.5% CaCl$_2$를 혼합한 용액에 감귤을 충분히 침지 하였다. 풍건시킨 후 26L인 플라스틱 컨테이너에 감귤을 12kg 정도씩 담아 3$0^{\circ}C$에서 24시간동안 저장전처리를 하고, 상온저장과 내부온도 4$^{\circ}C$ 상대습도 87%를 기준으로 저장하였다. 저장고내의 온습도 편차가 적은 저장고에서 가장 낮은 부패율이 나타내어, 감귤저장 중 온도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감귤 저장 중 Penicillium italicum, Monilia candida Alternaria citri, Mucor hiemalis, Phomopsis citri, Botrytis cinerea, Phoma citricarpa, Glomererella cingulata, Penicillium digitatum 등이 부패미생물로서 동정되었다. 중량 감소, 껍질과 과육의 수분 함량은 저장 중 서서히 감소하였다. 산 함량의 감소는 저장 4개월 동안 상온저장에서 24%에 비하여, 저온저장에서는 15~18%로 저장효과가 컸다. 총당 함량은 저장 3개월 이후부터 감소 폭이 많았으며, 비타민 C 는 저장 60일 후부터 감소가 많아 장기간 저장으로 감귤 품질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