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Reading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7초

유아의 시지각 발달과 읽기 : 수.방향.형태항상성 지각이 한글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choolers' Visual Perception on Reading Words in Hangul : Application of the Test of Visual Perception for Reading)

  • 최나야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1-177
    • /
    • 2009
  • In this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visual perception and reading Hangul words, the 287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evelopmental change in visual perception between three to five years of age.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computer-based screening Test of Visual Perception for Reading (TVPR). Factor analysis confirmed three factors of TVPR : perception of number, direction, and form constancy. These factors correlated highly with four factors of motor-reduced visual perception of the 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Moon et al. 2003). All factors of TVPR explained reading real words and pseudo words; direction and form constancy perception predicted reading low frequency letters. These findings confirm that preschoolers' skills in visual perception contribute to the reading of words in Hangul.

  • PDF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Librarian Perception of Readers' Advisory in Korean University Libraries: A focus on Leisure Reading

  • Jeong, Dae-K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83-101
    • /
    • 2020
  •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the role of university libraries for leisure reading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y libraries about leisure reading, which is a part of the reading support service an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university library librarian's percep tion of the necessity of leisure reading.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 d on university librar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78% of university libraries were conducting leisure reading, and 72% of them provided separate space. Separate manpower was provided only in 30% of libraries, and book lists were provided mainly by best sellers. Regarding the need for leisure reading (4.28) and the role of university libraries (4.32), librarians responded that it was a necessary service for university libraries, and university library librarians that currently provide spaces and program s were more aware of the need.

아동의 읽기에 대한 인식 (Children's Perception of Reading)

  • 김영실;심성경
    • 아동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3-185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perception of reading. The researchers interviewed 120 children aged 5 to 7 (40 for each age group) by using a specially designed interview format. The study of Johns (1973) was referred to as a guide in preparing the format. Responses of the children we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criteria worked ou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ers' previous studies and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ies and percentiles by age group. ${\chi}^2$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1) The younger the children, the higher the rate of showing no response or of responding only to concrete incidents or things. Older children in general showed higher responses relevant to reading comprehension than younger ones. (2) Older children were more inclined than younger ones to regard the process of reading as a skill-oriented, teacher-based process. (3) Children in these age groups showed little perception of reading's objectives of comprehension and communication.

  • PDF

국민독서 증진을 위한 방안 연구 - 국민독서의 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e National Year of Reading in Korea)

  • 한윤옥;김종애;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27-148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독서증진을 위하여 범국가적 차원의 독서사업이 필요하다는 인식아래 외국에서와 같은 국민독서의 해를 준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것을 위하여 영국, 일본, 호주에서 진행했거나 할 예정인 '독서의 해' 운영의 특성, 예산규모, 참여 형태, 홍보방법, 프로그램, 추진방안 등 세부 사항을 조사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독서인식과 범국가적 독서사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독서전문가 13명의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일반국민 7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국민독서의 해 사업추진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과 국민독서의 해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요건을 찾아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범국가적 차원의 독서의 해 사업 추진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Pattern of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for Unexpected Results and Effect of Problem-Solving Experiments for Change of Perception

  • Lim, Hee-Young;Kang, Seong-Joo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66-37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grouping students' perception types on the unexpected results in experiments, and looking into how the problem-solving experiment affected the change of these perception types. In order to answer thi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perception types, and through analysis of questionnaires carried out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semester, the change of perception types was researched. As a result, perception types of students divided into 'the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experience of experiment skill,' and 'No reading between lines in manual.' After performing the problem-solving experiment for one semester, the percep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declined, and the desire for 'reading between lines' increased, so the problem-solving experiment influenced on the change of perception positively.

A Correlational Study of Readers' Perception of Written Materials (Professional reading Material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Shaharuddin, Siti Shukhaila;Lee, Sung-Pil
    • 감성과학
    • /
    • 제16권4호
    • /
    • pp.567-578
    • /
    • 2013
  • The research is a correlational study to look for causes and factors relating to the design of written documents (professional reading materials) and identify those relationships that are useful for communication designers. The research specifically targe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 and reader's past experiences and appearance of the written documents. A preliminary survey, such as interviews, discussions, questionnaires and brainstorming sessions are conducted to establish the observable attributes related to perception which are reader's interests,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written documents complexity. Finally, the research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analyze strong and weak correlations between these attributes. In genera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the attribute appearances of a written documents with excellent visualizations for information display shows a strong correlation with interests while the attributes importance is weakly correlated with the complexity of the documents.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 이용 경험과 역할 인식이 협력 독서교육 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s' School Library Use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Library's Roles on Cooperative Reading Education Intention in Elementary Schools)

  • 윤설리;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3-187
    • /
    • 202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서교사와의 협력 독서교육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협력 독서교육을 위해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해야 할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지역 초등학교 9개 학교, 교사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의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선별 과정을 거쳐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도서관 역할, 이벤트 역할 인식은 초등학교 교사가 협력 독서교육에서 효과를 기대하며, 사서교사(사서)가 전문성이 있다고 인식했다. 하지만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인식은 협력 독서교육의 기대효과와 필요성을 낮게 인식했으며 사서교사(사서)의 전문성도 낮게 인식했다. 본 연구는 협력 독서교육 방안과 그 안에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교사와 어머니의 문해신념, 그림책에 대한 인식 및 읽기활동 빈도가 유아와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thers' and Teachers' Literacy Beliefs, Perception of Picture Books, and Frequency of Reading Activities on the Interaction for Reading Picture Books with Preschoolers)

  • 지연주;최나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5-28
    • /
    • 2012
  • 이 연구는 교사와 어머니의 문해신념, 그림책에 대한 인식과 읽기활동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 변인들이 유아와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경기, 인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120명과 만 5세 유아의 어머니들 1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가 어머니에 비해 총체적 언어신념에 더 가까운 문해신념을 보였다. 교사와 어머니 모두 그림책 읽어주기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여 서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림책 읽어주기의 즐거움과 이점은 교사가 어머니 보다 더 많다고 인식하였다. 그림책을 선정할 때, 어머니는 유아의 발달 수준, 개별적 상황, 일상생활의 반영을, 교사는 책의 판매량을 중시하였다. 교사가 어머니보다 유아와의 읽기활동을 더 많이 하나, 어머니가 교사에 비해 유아와 더 풍부한 책읽기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어머니 모두 읽기활동 빈도와 그림책 읽어주기의 이점 인식이 유아와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다.

제2언어 학습자들의 읽기-쓰기 통합에 대한 인식: 대학영작문반 (Learners' Perceptions on Integrating Reading and Writing in L2 College Composition Classes)

  • 김선영
    • 인지과학
    • /
    • 제18권3호
    • /
    • pp.255-284
    • /
    • 2007
  • 본 연구는 제 2 언어 학습자들의 읽기-쓰기 통합에 대한 인식 정도를 대학 영작문반 학습문맥에서 탐구하였다. 동일한 연구 참여자들을 반복적으로 측정하는 패널설문(N=60)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읽기-쓰기에 대한 통합인식이 일련의 교실수업 활동을 통하여 어떻게 재형성되는 지를 조사하였다. 대학생들의 통합인식 정도를 나타내는 인식점수는 5점-척도 설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룹간 시간별 평균차는 "반복측정-이요인 ANOVA"를 수행하여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트리트먼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연구기간 동안 학생들의 통합인식에 대한 변화가 미미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인식변화의 유형은 인식그룹에 따라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학습에 대한 인식이 쓰기 과정 중 발생하는 학생들의 학습행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읽기-쓰기 통합수업에서 보다 통합 지향적인 교수법을 개발하는데도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책 읽어주기 가치 인식이 독서태도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도서연구회 책 읽어주기 활동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Reading Aloud' on the Reading Attitude of Listeners: Focusing on the Reading Activities of the Korean Children's Book Association)

  • 박경희;이명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29
    • /
    • 2022
  • 이 연구는 책 읽어주기를 들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책 읽어주기에 대한 가치 인식이 책 읽어주기 만족도와 독서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도서관 책 읽어주기 서비스의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연령대의 4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대별로 책 읽어주기에 대한 가치 인식과 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났고, 독서태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책 읽어주기 가치가 효능감, 사랑받는 느낌에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편안함에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만족도는 이에 비해 낮았다. 셋째, 만족도가 긍정적인 응답자일수록 독서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가 어린이 책을 읽는 독서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응답자는 신뢰관계형성에 대한 가치 인식이 높고, 책 읽어주기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책 읽어주기 경험이 많을수록 독서태도의 행동적 측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연령대별로 가치 인식 유형과 만족도를 고려한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한편, 학부모대상 독서모임을 적극적으로 운영하여 독서태도 향상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