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media contents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9초

User-Centric Conflict Management for Media Services Using Personal Companions

  • Shin, Choon-Sung;Yoon, Hyo-Seok;Woo, Woon-Tack
    • ETRI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311-321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user-centric conflict management method for media services which exploits personal companions for the harmonious detection and resolution of service conflicts. To detect conflicts based on the vary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sers, the proposed method exploits the unified context describing all users attempting to access media services. It recommends and mediates users' preferred media contents through a shared screen and personal companions to resolve the detected conflicts. During the recommendation, a list of preferred media contents is displayed on the shared screen, and a personally preferred content list is shown on the user's personal companion comprising the selection of media contents. Mediation assists the selection of a consensual service by gathering the users' selections and highlighting the common media contents. In experiments carried out in a ubiHome, we observed that recommendations and mediation are useful in harmoniously resolving conflicts by encouraging user participation in conflict situations.

  • PDF

Personal Media에서 Projection Mapping 활용성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rojection Mapping in Personal Media)

  • 스위;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377-38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미디어 플랫폼 기반의 personal media의 발전과 프로젝션 맵핑 기술의 벌전을 연구하였다. 사회 생활이 빠르지며서 정보 전파도 파편화되고 있다. 최근에 빠르게 발전하는 모바일 기술로 인해 personal media는 점차 사람들 사이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그래픽과 동영상 처리 기술의 발달로 이미지 제작이나 동영상 편집제작이 간편해지면서 personal media의 활성화를 위한 제작 환경을 제공하였다. 동시에 프로젝션 맵핑 기술을 발전하므로 컴퓨터와 모바일 기반에 프로젝션 매핑을 제작한 전문 소프트웨어도 계속 발전하고 있다. 현재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창작성 높은 영상콘텐츠의 등장은 많은 대중에게 새롭고 매력적인 영상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 속도가 빨라지고 모바일 기기의 성능이 강화되면서 디지털 영상 콘텐츠에 대한 창작 및 전시가 더 많은 가능성이 있다. 프로젝션 맵핑의 혁신적인 영상제작 기법은 향후 모바일 미디어 플랫폼 기반에서도 널리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1인 미디어 콘텐츠의 인플루언서 요인이 상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fluencer Factors in Personal Media Contents on Purchase Intention)

  • 유현주;김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5-59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1인 미디어 인플루언서의 공신력(매력성, 신뢰성, 전문성) 및 콘텐츠 진정성이 브랜드 진정성과 상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응답자에게 실제 유튜브에서 제공되고 있는 인플루언서의 임베디드 콘텐츠를 시청하게 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플루언서의 전문성과 콘텐츠 진정성이 브랜드 진정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브랜드 진정성은 구매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구매 의도와 콘텐츠 진정성의 사이에서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온라인 1인 미디어 및 미디어 콘텐츠의 실증적인 광고 효과를 분석하였을 뿐 아니라, 마케팅 분야에서 진정성 개념과 관련된 연구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1인 미디어 인플루언서 및 이들과 협업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탠저블 증강현실을 활용한 개인용 가상스튜디오 저작 (Authoring Personal Virtual Studio Using Tangible Augmented Reality)

  • 이규원;이재열;남지승;홍성훈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77-88
    • /
    • 2008
  • Nowadays personal users create a variety of multi-media contents and share them with others through various devices over the Internet since the concept of user created content (UCC) has been widely accepted as a new paradigm in today's multi-media market, which has broken the boundary of contents providers and consumers. This paradigm shift has also introduced a new business model that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create their own multi-media contents for commercial purpose. This paper proposes a tangible virtual studio using augmented reality to author multi-media contents easily and intuitively for personal broadcasting and personal content generation. It provides a set of tangible interfaces and devices such as visual markers, cameras, movable and rotatable arms carrying cameras, and miniaturized set. They can offer an easy-to-use interface in an immersive environment and an easy switching mechanism between tangible environment and virtual environment. This paper also discusses how to remove inconsistency between real objects and virtual objects during the AR-enabled visualization with a context-adaptable tracking method. The context-adaptable tracking method not only adjusts the locations of invisible markers by interpolating the locations of existing reference markers, but also removes a jumping effect of movable virtual objects when their references are changed from one marker to another.

개인 콘텐츠 접근제어 기능을 갖는 개선된 AACS 보안 Framework (Improvement of AACS Security Framework with Access Control to Personal Contents)

  • 김대엽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67-174
    • /
    • 2008
  • 디지털 카메라와 캠코더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 사용자들의 UCC(User Created Contents) 역시 일반화 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른 사생활 침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UCC는 인터넷 포탈 서비스를 통해 공유될 뿐 아니라 DVD(Digital Versatile/Video Disk)와 같은 저장매체(Recordable Media, 이하 Media)를 이용하여 보관된다. 포탈 서비스를 이용해서 콘텐츠를 게시하는 경우 포탈 시스템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증 및 불법 다운로드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사생활 침해를 부분적으로 막을 수 있다. Media의 경우도 불법복제 제어기술을 채택하고 있지만, Media의 도난 또는 분실로 인한 콘텐츠 유출과 사생활 침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현재로서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Media를 이용하여 개인 콘텐츠를 관리하는 경우에도 사생활 침해를 막을 수 있는 추가적인 보안 기술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Media 보안을 위해 제정된 AACS(Advanced Access Content System)의 Framework을 살펴보고 개인 콘텐츠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는 개선된 AACS 보안 Framework을 제안한다.

Predicting Information Self-Disclosure on Facebook: The Interplay Between Concern for Privacy and Need for Uniqueness

  • Kim, Yeuse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5권4호
    • /
    • pp.74-81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privacy concern, need for uniqueness (NFU), and disclosure behavior to explain the personal factors that drive data-sharing on Facebook.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conducted with 222 Facebook users show that among diverse data that social media users disclose online, four distinct factors are identified: basic personal data, private data, personal opinions, and personal photos. In general,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 a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FU and the willingness to self-disclose information. Overall, the NFU was a better predictor of willingness to disclose information than privacy concern, gender, or age. While privacy concern has been identified as an influential factor when users evaluate social networking si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demonstrating that an individual's need to manifest individualization on social media overrides privacy concerns.

웹 2.0시대 모바일 이-러닝 컨텐츠 소비자의 컨텐츠 활용 확장성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of Mobile contents for Mobile e-learning prosumers in Web 2.0 decade)

  • 안경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1-51
    • /
    • 2008
  • 웹2.0시대 온라인에서의 소비자 욕구를 통한 이동매체의 발달은 1인 모바일 미디어매체 확장을 가져오고 있는 상황으로 본 연구는 웹2.0 시대의 확장된 컨텐츠 가운데서도, 모바일 매체를 통한 이 러닝 컨텐츠 활용에 따른 소비자의 성향을 조사하였다. 모바일 프로슈머의 소비양상과 모바일 교육컨텐츠 활용의 특징요소를 국내 이러닝(e-leaning) 전문 포털업체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모바일 1인 미디어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모바일 이 러닝 기술적 발전의 방향은 이동통신사업자의 망 개방과 디지털 컨버젼스에 따른 플랫폼의 공유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러닝 컨텐츠제작은 1인 미디어에 맞춤식 제작서비스가 되어야 한다. 이-러닝 컨텐츠 활성화에 필요한 소비자 요구 조사를 함축한, 이 러닝 컨텐츠 소비자의 사용편의성을 증대하는 데에 기여함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PDF

한국전통복식 문화정보의 블로그 활용에 관한 연구 (Blog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as Culture Information Contents)

  • 황미선;이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7-109
    • /
    • 2012
  • Recently, it is concentrated world interest to Korea sensational (Hanryu) exited for not only sports but korean drama, K-pop in public culture. And G20 summit meeting and Winter Olympic open city selection. It is why practical information needs of Korean traditional cooking method and Korean culture, history and architecture and easy way to gain information. Korea has strong power for internet and nuke personal media mini home page, and cafe, blog. Blog is useful for spread information and has efficiency of speedy exchange information. In this study making blog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al information for not only Korean but foreigner. For method find blog has possibility of cultural information spreading tool, in literature and investigate usefulness and contents of naver blog having Korean traditional costume. In this study, it is helpful to open and construction personal blog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and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 PDF

Investigation on Media Literacy of China Government Officials: Under the View of Public Opinion Guidance

  • Yang, Ting;Seo, Sa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4권4호
    • /
    • pp.10-17
    • /
    • 2018
  • China media environment has drastically changed leading to the an inevitable change of public opinion ecology. Empirical studies have focused less on public opinion guidance, which form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government officials' media literacy. This study applied quantitative method in the investigation of media literacy in China. Ideally, media literacy is measured from media cognition, media contact, media usage under the view of public opinion guidance.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existing problem on 1) incorrect media cognition and public opinion guidance; 2) insufficient contact of personal social media 3) improper tendencies in the use of media to guide the public opinion, especially, on confidential information. Consequently, in order to improve media literacy in China government officials, enhancement of their basic knowledge on news diffusion and public opinion is necessary. Secondly, to effectively deal with "agenda settings", it is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to consider the provision of valuable information and platforms to effectively spread information. So they need to learn how to personally and officially use social media platforms such as Weiboa and Wechat. This ensures they have maximized their potential to acquire valuable information and spread them on valuable platforms. Thirdly, government officials should be able to analyze and understand public opinion trends for official and personal use. Finally, they should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public opinion and the how online public opinion laws are formed and the target group.

1인 미디어 창작자의 플랫폼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유튜브, 트위치, 아프리카TV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Personal Media Creators' Platform Selection : Focusing on YouTube, Twitch and AfreecaTV)

  • 방은혜;김예림;나화승;이상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562-582
    • /
    • 2022
  • 1인 미디어 창작활동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창작자에 대한 이해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인 미디어 창작자가 활동 플랫폼을 선택할 때 고려하는 중요 요인들을 창작자의 동기와 플랫폼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생함과 경력개발, 알고리즘 기반 적합도를 중시하는 창작자는 유튜브를, 상호작용과 수익창출 동기를 중시하는 창작자는 아프리카TV를, 상호작용, 서비스품질, 네트워킹 기회제공을 고려하는 창작자들은 트위치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작자의 주력 장르와 방송유형 변수의 조절효과 역시 일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생함의 동기를 중시하며 소통을 주력장르로 하는 창작자와 경력개발 동기를 가지고 녹화방송에 주력하는 창작자의 경우 모두 유튜브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인 미디어 연구에 대한 기존 연구의 시각을 확장하였으며, 미디어 플랫폼의 향후 시장 내 위상 정립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