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asianus colchicus karpowi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산 꿩 회장의 비만세포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Mast Cells in the Ileum of Korean Pheasant(Phasianus colchicus karpowi))

  • 이영훈;채옥희;한의혁;김형태;이무삼;김인식;양홍현;송창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5-258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mast cells in the ileum of Korean pheasant. In the ileum mast cells were located in the lamina propria of mucoase. The cells were mainly oval with irregular cell surface occasionally spindle-like or triangular in shape. Some mast cells had one or more tail-like long cytoplasmic processes. All mast cells had many blue granules stained by toluidine blue in the cytoplasm.

  • PDF

Inter Simple Sequence Repeats (ISSR) 표지자를 이용한 한국꿩의 유전적 다양성 및 아종간의 유연관계 분석 (Inter Simple Sequence Repeats (ISSR) Marker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in Korean Phasianus colchicus karpowi and Genetic Relationships Among Subspecies of Phasianus spp.)

  • 윤성일
    • 환경생물
    • /
    • 제26권2호
    • /
    • pp.66-75
    • /
    • 2008
  • 한국꿩 (Korean ring-necked Pheasant, Phasianus colchicus karpowi)과 외국 아종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야생 한국꿩, 사육 한국꿩, 사육 한국꿩과 외국꿩간의 잡종꿩, 외국꿩 4아종(중국 링넥, 흑 뮤탄트, 백 뮤탄트, 녹치)을 대상으로 ISSR 표지자 분석과 AMOVA 분석을 수행하였다. 야생 한국꿩의 전체 유전 다양성중 94.08%가 서식지 내 개체간 유전적 차이에 기인하고, 5.9% ($\Phi$st=0.059)가 서식지간 차이에 기인하였다. 사육 한국꿩이 유전적으로 야생 한국꿩 보다는 외국꿩 4아종과 가깝게 나타났다. AMOVA분석과 cluster분석에서 사육 한국꿩이 야생 한국꿩은 물론 외국꿩 4아종과도 유전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사육되고 있는 한국꿩은 한국꿩과 외국 아종간의 다양한 교잡에 의해 생겨난 잡종일 가능성이 높다. 외국꿩 4아종(중국 링넥, 흑 뮤탄트, 백 뮤탄트, 녹치)의 전체 유전 다양성중 96.63%가 아종내 개체간 차이에 기인하고. 3.4% ($\Phi$st=0.034)로 아종간 차이에 기인하여 외국꿩 4아종의 아종간 유전적 차이가 야생 한국꿩의 서식지간 차이보다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분석에 사용된 외국꿩 4아종이 형태적으로는 다른 아종으로 분류되지만 유전적으로는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음을 의미한다. 7서식지의 야생 한국정과 외국꿩 4아종을 각각 야생 한국꿩 그룹과 외국꿩 그룹으로 분류하여 두 그룹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유전변이 중 그룹간 차이의 비율은 17% 이상(그룹 내 서식지/아종간 차이는 약 4%)으로 야생 한국꿩이 아종 관계인 외국꿩 4아종과 상당한 유전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결과에서 중국 링넥. 흑 뮤탄트, 백 뮤탄트의 외국꿩 3 아종은 유전적으로 외국 아종에 가까운 사육한국꿩, 잡종꿩과 함께 하나의 분지군을 형성하면서 야생 한국꿩 그룹으로부터 98% 신뢰수준에서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한국산 꿩에서 송과샘오목과 소포의 발달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Pineal Recess and Follicles in the Korean Pheasant(Phasianus colchicus karpowi))

  • 이영훈;김인식;양홍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9-266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mbryonic developmental changes of the pineal gland during incubating period in the Korean pheasant. The pheasant embryos and fetuses were killed after 3, 4, 6, 9, 12, 15, 19 and 23 (hatching) days of incubati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pineal gland were determined in all embryos and fetuses using the whole - mount technique, light microscopy and morphometry. The time of the first apparition of the pineal anlage, as a derivative of the roof of the third ventricle, was fixed at 3 days of incubation. The pineal vesicles appeared as solid mammilliform projections, which subsequently presented a central lumen, at 4 days of incubation. The pineal parenchyma was composed of the tubular pineal recess, the lobules surrounded with septum originating from the capsule and the follicles possessed central lumen at 23 days of incubation. The length, width and area of the pineal gland were increased markedly at 9 and 15 days of incub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ineal recess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pineal development after hatching.

  • PDF

한국산 꿩 난관의 술잔세포에 관한 조직화학적 연구 (Histochemical Studies of the Goblet Cell of the Oviduct in Korean Ring-necked Pheasants(Phasianus colchicus karpowi))

  • 최성도;로경란;김인식;양홍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7-183
    • /
    • 2002
  • 산란기 한국산 꿩 난관의 술잔세포를 조직화학적으로 분비물의 성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한국산 꿩 난관 깔때기부의 술잔세포는 황화산성점액물질과 비황화중성점액물을 함유하였다. 난관팽대부, 자궁의 관상샘 개구부, 질의 술잔세포는 황화산성점액물질, 비황화산성점액 물질과 중성점액물질을 함유하였다. 관상샘 개구부의 술잔세포를 제외한 자궁과 난관 좁은 부분의 술잔세포는 중성점액물질을 함유하였다. 한국산 꿩 난관 술잔세포 분비물질의 조직화학적 특징은 난관내의 알의 위치와 연관성이 없었다.

번식기와 비번식기의 한국산 꿩 고환간질조직의 형태계측학적 연구 (Morphometric Studies on the Testis Interstitium of Korean Ring-Necked Pheasants (Phasianus colchicus karpowi) during the Breeding and Nonbreeding Seasons)

  • 김인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99-30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morphometric study was to obtain detailed quantitative information on all cell types in the testis interstitium of Korean ring-necked pheasants combined with data on changes in the steroidogenic function of the testis during the breeding and nonbreeding seasons. Animals collected during the breeding season, testis weights, sperm production, serum testosterone levels, leuteinizing hormone-stimulated testosterone secretion, and the length of the seminiferous tubules were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nonbreeding season. Seminiferous tubules occupied 93.25% of testis volume in the breeding season. Leydig cells constituted 0.82% of the testicular volume. The mean volume of an Leydig cell was $1039{\mu}m^3$, and each testis contained about 24.53 million Leydig cells. Testes of the pheasants during the nonbreeding season displayed a 98% reduction in testis volume that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the absolute volume of seminiferous tubules (98% reduction), tubular lumen(100%), interstitium(90%), blood vessels(84%), lymphatic spaces(97%), Leydig cells(79%), mesenchymal cells(51%), and myoid cells(61%). The number of Leydig cells, mesenchymal cells, myoid cells per testis in the breeding season was higher (p < 0.05) than in the nonbreeding season. Although the average volume of a Leydig cell was 74% lower in the nonbreeding season, the average volume of a myoid and mesenchymal cell remained unchang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are a striking differences in the testicular structure of the Korean ring-necked pheasant in the breeding and nonbreeding seasons. Every structural parameter of the Leydig cell was pa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serum and LH-stimulated secretion concentrations of testosterone. Correlation of changes in hormonal status with morphometric alterations of all Leydig cell suggests that the Korean-ring necked pheasant may be used as a model to study structure-function relations in the avian testis.

한국산 꿩 송과샘의 부화후 발달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Post-hatching Development of the Pineal Gland in Korean Pheasant (Phasianus colchicus Karpowi))

  • 이영훈;김인식;양홍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7-274
    • /
    • 2001
  • 부화후 성장하는 꿩 송과샘의 미세구조적 발달을 구명하고자 1일령, 1, 2 및 6개월령을 희생시켜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광학현미경적 관찰에서 꿩 송과샘의 실질은 피막에 의해 싸여 있고 여기에서 기시하는 결합조직에 의해 불완전한 소엽 (lobule)으로 구분되었다. 송과샘실질은 소엽상과 불완전한 여포살이었으며, 둥근 핵과 염색성이 옅은 송과샘세포와 약간 짙고 길쭉한 핵을 갖는 지주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송과샘실질에는 길쭉한 송과샘세포와 지주세포가 소엽의 중심부를 향해 배열되어 있었고 광학현미경에서 소엽의 중심부에는 매우 불규칙한 막성층판복합체이나 포상구조물이 출현하였다. 실질은 비교적 밝은 솔과 샘세포와 짙은 핵을 갖는 지주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송과샘세포는 잔유성 광수용세포의 형태를 취하였는데, 그 첨단부위의 밝고 팽대된 세포질에는 세포소기관이 빈약하나 섬모, 약간의 유리리보솜과 사립체가 출현하였다. 첨단부위세포질과 핵위부위세포질 사이의 좁아진 경부는 지주세포와 연접복합체를 이루고 목부위세포질내에는 미세소관이 풍부하였다. 핵주위세포질은 풍부하고 다수의 사립체, 잘 발달된 골지장치, 풍부한 과립형질내세망 및 유리 리보솜 등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핵아래부위세포질에서 여포의 기저부위로 기저돌기를 내고 있었다. 송과샘세포의 핵아래부위 세포질 및 기저돌기에서 60∼90nm 크기의 치밀소포가 관찰된 것이 특이하였고 짙은 핵을 갖고 긴 독기를 갖는 것이 특징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꿩 송과샘세포가 광수용능은 것의 없고 분비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소견이었으며, 성숙 꿩의 송과샘의 미세구조적 연구를 확인하여 번식기와 비번식기에 따른 비교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