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ate monomer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1초

Influence of 10-Methacryloyloxydecyl Dihydrogen Phosphate on Cellular Senescence in Osteoblast-Like Cells

  • Ju Yeon Ban;Sang-Im Le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4-270
    • /
    • 2023
  • Background: Resin-based dental materials release residual monomers or other substances from incomplete polymerization into the oral cavity, thereby causing adverse biological effects on oral tissue. 10-Methacryloyloxydecyl dihydrogen phosphate (10-MDP), an acidic monomer containing dihydrogen phosphate and methacrylate groups, is the most commonly used component of resin-based dental materials, such as restorative composite resins, dentin adhesives, and resin cements.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e cytotoxicity and biocompatibility in various cultured cells, the effects of resin monomers on cellular aging have not been reported to dat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sin monomer 10-MDP on cellular senescence and inflamm-aging in vitro. Methods: After stimulation with 10-MDP, MC3T3-E1 osteoblast-like cells were examined for cell viability by WST-8 assa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by flow cytometry. The protein and mRNA levels of molecular markers of aging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and RT-PCR analysis, respectively. Results: Treatment with 0.05 to 1 mM 10-MDP for 24 hours reduced the survival of MC3T3-E1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intracellular ROS levels in the 10-MDP-treated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10-MDP at a concentration of 0.1 mM increased p53, p16, and p21 protein levels. Additionally, an aging pattern was observed with blue staining due to intracellular senescence-associated beta-galactosidase activity. Treatment with 10-MDP increased the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α, interleukin (IL)-1β, IL-6 and IL-8, however their expression was decreased by mitogen-activated-protein-kinase (MAPK) inhibitors. Conclus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osure of osteoblast-like cells to the dental resin monomer 10-MDP, increases the level of cellular senescence and the inflammatory response is mediated by the MAPK pathway.

Catalytic Properties of Monomeric Species of Brain Pyridoxine-5'-phosphate Oxidase

  • Kwon, Oh-Shin;Choi, Soo-Young
    • BMB Reports
    • /
    • 제34권1호
    • /
    • pp.21-27
    • /
    • 2001
  • The structural stability of brain pyrydoxine-5'-phosphate (PNP) oxidase and the catalytic properties of the monomeric species were investigated. The unfolding of brain pyridoxine-5'-phosphate (PNP) oxidase by guanidine hydrochloride (GuHCl) was monitored by means of fluorescence and circular dichroism spectroscopy Reversible dissociation of the dimeric enzyme into subunits was attained by the addition of 2 M GuHCl. The perturbation of the secondary structure under the denaturation condition resulted in the release of the cofactor FMN. Separation of the processes of refolding and reassociation of the monomeric species was achieved by the immobilization method. Dimeric PNP oxidase was immobilized by the covalent attachment to Affi-gel 15 without any significant lass of its catalytic activity. Matrix-bound monomeric species were obtained from the reversible refolding processes. The matrix bound-monomer was found to be catalytically active, possessing only a slightly decreased specific activity when compared to the refolded dimeric enzyme. In addition, limited chymotrypsin digestion of the oxidase yields two fragments of 12 and 161 kDa with a concomitant increase of catalytic activity The catalytically active fragment was isolated by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analyzed for association of two subunits using the FPLC gel filtration analysis. The retention time indicated that the catalytic fragment of 16 kDa behaves as a compact monome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native quaternary structure of PNP oxidase is not a prerequisite for catalytic function, but it could play a role in the regulation.

  • PDF

인산디에틸 이소프로페닐과 초산비닐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혼성중합 (Copolymerization of Diethyl Isopropenyl Phosphate with Vinyl Acetate and Acrylonitrile)

  • 진정일;심홍구;이수민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21-426
    • /
    • 1982
  • 자유 라디칼 개시제에 의한 인산디에틸이소프로페닐(DEIPA)과 초산비닐(VAc) 및 아크릴로니트릴(An)의 혼성중합 연구를 행하여 단위체 반응성비를 얻었다. 개시제로는 과산화벤조일을 사용하였으며 중합온도는 $60^{\cric}C$이었다. 단위체 반응성비는${\gamma}_1$(VAc) = 1.56, ${\gamma}_2$(DEIPA) = 0.44: ${\gamma}_1$(AN) = 15.2, ${\gamma}_2$(DEIPA) = 0.031이었다. 이 값으로부터 DEIPA의 Alfrey-Price 상수 Q=0.015, e=0.39 및 Q=0.014, e=0.34를 얻었으며${\alpha}$ 위치에 있는 메틸기가 반응성을 감소시킴을 알았다. 공중합체중 DEIP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공중합체의 고유점성도 및 수평균 분자량이 감소함도 알았다.

  • PDF

Monoammonium phosphate를 포함한 아크릴 수지의 합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thesis Acrylic Polymer Resin and Mechanical Properties Containing Monoammonium Phosphate)

  • 이주엽;김기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00-5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ethyl acrylate monomer(EAM)을 사용한 수용성 아크릴 수지를 합성한 후 monoammonium phophate를 수용액 상태로 녹인 뒤 이를 아크릴 수지에 함양을 달리한 시료를 준비하여 각각의 필름 상태 및 피혁 외부에 코팅하여 기계적 물성측정 및 열안정성 물성 측정 실시하여 각각의 시료를 비교 검토 하였다. DSC를 이용한 열안정성 측정 결과 monoammonium phosphate 함량이 높은 시료(WAC-APS3)의 Tm 값이 $410^{\circ}C$ 로 가장 높은 열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용제성 측정결과 아크릴 수지 및 브랜딩 된 수지 모두 높은 내용제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내마모성 측정결과는 monoammonium phosphate 함량이 높은 수지가 우수한 물성(68.729 mg.loss)을 보였으나, 인장 강도, 연신율 측정치에서는 monoammonium phosphate 함량이 높아질수록 물성이 저하되어 아크릴 수지의 인장력인 $1.505kgf/mm^2$ 보다 낮은 $1.275kgf/mm^2$ 이 측정되었으며, 연신율의 경우 수용성 아크릴 수지 단독 시료의 연신율인 425% 보다 낮은 384% 가 측정되었다.

키토산과 모노(2-메타크릴로일 옥시에틸)산 포스페이트 그라프트공중합과 그의 항균효과 (Graft Copolymerization of Chitosan and Mono(2-methacryloyl oxyethyl) Acid Phosphate and Its Antifungal Effect)

  • 정병옥;정석진;정택상;이영무;최규석;김재진;한승희
    • 공업화학
    • /
    • 제9권6호
    • /
    • pp.935-941
    • /
    • 1998
  • 키토산에 음이온계 수용성의 함인계 모노머인 mono(2-methacryloy1 oxyethyl) acid phosphate를 그라프트공중합시켜 새로운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그라프트공중합의 최적 그라프트율은 개시제농도 $3.5{\times}10^{-3}M$, 모노머농도 0.19 M, 반응온도 $40^{\circ}C$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반응시간 4시간 이후로는 거의 같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라프트공중합체와 chitosan의 유리아민의 함량에 따른 항균성을 Candida albicans, Trichophyton rubrum 및 Trichophyton violaceum에 대하여 shake flask법으로 조사한 결과, pH 5.75에서 가장 우수한 항균성능이 발현되고, 곰팡이 균류에 대한 선택성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변형 키토산의 항균효과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odified Chitosan.)

  • 정병옥;강성태;정석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8-344
    • /
    • 1998
  • 게나 새우 등의 갑각류의 껍질에서 주로 얻어지는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천연고분자인 chitosan에 음이온 수용성의 함인계 단량체인 mono(2-methacryloyl oxyethyl) acid phosphate를 그라프트 중합시켜 새로운 유도체인 chitosan-g-MAP을 합성하였다. 그라프트중합에서 개시제로는 ceric ammonium nitrate을 사용하여 개시제의 농도, 단량체의 농도, 반응온도, 반응시간에 따른 그라프트율, 단량체의 그라프트효율 및 단량체의 총전환율의 변화를 조사하여 최적조건을 규명하였다. 그라프트율은 개시제농도 3.5$\times$$10^{-3}$ M, 단량체농도 0.19 M, 반응온도 4$0^{\circ}C$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반응시간 4시간이 최적조건 이었다. Chitosan의 유리 아민의 함량과 그라프트된 단량체의 종류에 따른 항균성을 Candida albicans, Trichophyton rubrum 및 Trichophyton violaceum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pH 5.75에서 가장 우수한 항균능이 발현되고, 항균제의 농도에 따른 영향에서는 변형chitosan은 C. albicans와 T. violaceum에 대하여 100%의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낸 반면, 탈아세틸화도가 다른 DA70과 DA-90인 chitosan은 T. rubrum균에 대해서만 변형 chitosan 보다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 PDF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Mannitol-1-Phosphate Dehydrogenase from Vibrio cholerae

  • Rambhatla, Prashanthi;Kumar, Sanath;Floyd, Jared T.;Varela, Manuel F.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9호
    • /
    • pp.914-920
    • /
    • 2011
  • Vibrio cholerae utilizes mannitol through an operon of the phosphoenolpyruvate-dependent phosphotransferase (PTS) type. A gene, mtlD, encoding mannitol-1-phosphate dehydrogenase was identified within the 3.9 kb mannitol operon of V. cholerae. The mtlD gene was cloned from V. cholerae O395, and the recombinant enzyme was functionally expressed in E. coli as a $6{\times}$His-tagged protein and purified to homogeneity. The recombinant protein is a monomer with a molecular mass of 42.35 kDa. The purified recombinant MtlD reduced fructose 6-phosphate (F6P) using NADH as a cofactor with a $K_m$ of $1.54{\pm}0.1$ mM and $V_{max}$ of $320.8{\pm}7.81\;{\mu}mol$/min/mg protein. The pH and temperature optima for F6P reduction were determined to be 7.5 and $37^{\circ}C$, respectively.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mtlD was found to be constitutively expressed in V. cholerae, but the expression was up-regulated when grown in the presence of mannitol. The MtlD expression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V. cholerae O1 and non-O1 strains.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 블렌드의 상용화제 첨가에 따른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 연구 (A Study on Flamm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 Blends with Compatibilizer)

  • 신범식;정승태;전준표;김현빈;오승환;강필현
    • 폴리머
    • /
    • 제36권5호
    • /
    • pp.549-554
    • /
    • 2012
  • 난연제 triphenyl phosphate는 HDPE(high-density polyethylene)/EPDM(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boron carbide 내에서 miscibility가 좋지 못하여 고분자의 기계적 물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 블렌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용화제로 PE-g-MAH(polyethylene-graft-maleic anhydride)를 사용하여 블렌딩하였다. Triphenyl phosphate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를 크게 저하시킴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상용화제 첨가로 인하여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riphenyl phosphate의 분산성의 향상은 SEM 분석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의 내열성과 난연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TGA 분석과 LOI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산성이 향상됨에 따라서 triphenyl phosphate 첨가제의 기본적인 특성인 내열성과 난연성이 향상되었으며, 그 결과로 자기 소화성인 21% 이상의 한계산소지수(LOI)를 가지는 HDPE/EPDM/boron carbide/triphenyl phosphate 블렌드를 얻을 수 있었다.

폴리머 시멘트 몰타르 포장재용 Carboxylated Styrene Butadiene 라텍스의 제조와 적용 특성 (Preparation and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Carboxylated Styrene Butadiene Latex for Polymer Cement Mortar)

  • 이봉규;주창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5호
    • /
    • pp.789-794
    • /
    • 2012
  • 폴리머 시멘트 몰타르 혼화용 라텍스를 개발할 목적으로 carboxylated styrene butadiene 라텍스를 2단계 유화중합법으로 제조하고 시멘트 몰타르에 적용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카르복실 모노머는 meth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와 acrylic acid를, 중합 모노머는 styrene과 butadiene을, 분자량 조절제는 t-dodecyl mercaptan을, 가교제는 divinyl benzene을 선정하고 사용량을 실험으로 결정하였다. 음이온 유화제는 sodium dodecylbenzene sulfonate와 sodium salt of lauryl sulfate를, 라텍스 안정제로 nonylphenoxy poly(ethyleneoxy) ethanol 계열의 동족체들(n=10, 20, 40)을, 그리고 potassium persulfate와 sodium bisulfite를 redox 개시제로, sodium monohydrogen phosphate와 potassium carbonate를 전해질로 사용하였다. 카르복실 모노머의 종류와 사용량, styrene과 butadiene의 단량체비 및 분자량 조절제와 가교제가 라텍스의 기본물성과 몰타르 공시체의 역학적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여 폴리머 시멘트 몰타르 포장재용 라텍스 제조에 적합한 중합처방을 제시하였다. 또, 이 중합처방에 의해 제조한 라텍스를 폴리머 시멘트 몰타르의 적용성을 시험한 결과, 경화시간 28일에서 품질 기준보다 압축강도는 25.4%, 휨강도는 45.3% 증진된 강도의 발현 특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