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Readiness for Death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죽음준비 영향 요인: 2014 노인실태 조사 활용 (Factors Contributing to Death Prepara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Using Korean National Survey on Elderly 2014)

  • 이가언;전혜정;유정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67-17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죽음준비 실태와 영향 요인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4년 3월부터 9월까지 조사한 '2014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로 대상자는 10,281명이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x^2-test$, t-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37.7%가 죽음준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준비 유형은 묘지 준비, 수의 마련, 상조회 가입, 죽음준비 교육, 유서작성 순이었으며, 정신적 죽음준비에 비해 의례적 죽음준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죽음준비 영향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거주지역, 교육수준, 결혼상태, 경제수준, 활동 제한과 삶의 만족도로 확인되었다. 여성 노인인 경우(CI=1.02-1.25), 연령이 많을수록(CI=1.90-2.28), 동지역보다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경우(CI=1.21-1.45), 학력이 높을수록(CI=1.16-1.42), 미혼, 이혼등의 경우에 비해 배우자가 있거나(CI=1.50-3.22) 사별한 경우(CI=1.58-2.84), 경제 수준이 높을수록(CI=1.13-1.36), 활동 제한이 있을수록(CI=1.11-1.40) 그리고 삶의 만족도에서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CI=1.17-1.35), 자녀와의 관계가 만족할수록(CI=1.25-1.43), 친구 및 지역사회에 만족할수록(CI=1.10-1.28) 죽음준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관련 기관에서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정신적 죽음준비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여야 할 것이며, 이때 노인의 성별, 거주지역 등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Strategy of Food Retailer and Delivery Rider's Accident in South Korea

  • KWAK, Young-Arm;CHO, Young-S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5호
    • /
    • pp.49-60
    • /
    • 2020
  • Purpos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nswers of rider's accident of food retailer in South Korea, in view of business sustainability of food retailer and his precious fate of rider who is a father that has a responsibility to the famil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We investigated previous studies such as food retailer, delivery, delivery application of mobile, rider's accident and statistics of delivery business agency, motorcycle accident ratio, annual fatalist, and further we analyzed cases of rider's accidents. Results: Rider's accident on the road toward food retailer is serious risky factor to their business reputation, corporate image, because claim amount related to death and physical/mental disability can be heavily damaged to food retailer. The point when rider dies is that rider is a person responsible for supporting his/her family, that is, a life itself issue together with downfall of family. Conclusions: In view of growth of South Korean' delivery rider industry, the authors recommended that focus of stability and sustainablity of both food retailer and delivery rider should establish to executable and practical ideas such as rider's readiness, abandon of speed guarantee, duty of delivery app business and legal a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