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topology discover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Physical Topology Discovery for Metro Ethernet Networks

  • Son, Myung-Hee;Joo, Bheom-Soon;Kim, Byung-Chul;Lee, Jae-Yong
    • ETRI Journal
    • /
    • 제27권4호
    • /
    • pp.355-366
    • /
    • 2005
  • Automatic discovery of physical topology plays a crucial role in enhancing the manageability of modern metro Ethernet network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problem, earlier research and commercial network management tools have typically concentrated on either discovering logical topology, or proprietary solutions targeting specific product families. Recent works have demonstrated that network topology can be determined using the standard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management information base (MIB), but these algorithms depend on address forwarding table (AFT) entries and can find only spanning tree paths in an Ethernet mesh network. A previous work by Breibart et al. requires that AFT entries be complete; however, that can be a risky assumption in a realistic Ethernet mesh network.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new physical topology discovery algorithm which works without complete knowledge of AFT entries. Our algorithm can discover a complete physical topology including inactive interfaces eliminated by the spanning tree protocol in metro Ethernet networks. The effectiveness of the algorithm is demonstrated by implementation.

  • PDF

이더넷 메시 망에서의 물리 토폴로지 발견 알고리즘 (Physical Topology Discovery Algorithm for Ethernet Mesh Networks)

  • 손명희;김병철;이재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4호
    • /
    • pp.7-14
    • /
    • 2005
  • 통신망에 대한 토폴로지 발견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IP망에 대한 것으로 이더넷 장비의 토폴로지 발견은 배제되었다. 그러나 가격대비 성능이 우수한 이더넷 망이 점차 매트로 화되면서 이더넷 망에 대한 토폴로지 발견을 통하여 이더넷 망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 되었다. 하지만 벤더 의존적인 토폴로지 발견 알고리즘과 2계층 포워딩 테이블에 의존적인 토폴로지 발견 알고리즘으로 인하여 메시 구조의 토폴로지는 발견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더넷 망을 브리지 망과 호스트 망으로 구분하여 각 망에 효과적인 토폴로지 발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두 가지 종류의 망의 경계에 있는 브리지들을 에지 브리지라고 정의하고 에지 브리지 내부의 브리지 망은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과 관련된 표준 MIB에 의하여 메시 구조의 토폴로지 발견이 가능하고 에지 브리지의 외부 망인 호스트 망은 2계층 포워딩 테이블과 관련된 표준 MIB을 이용함으로써 실시간적인 호스트망의 토폴로지 발견이 가능하다.

이동 애드혹 망에서의 서비스 검색을 위한 근접성 기반 오버레이 네트워크 라우팅 (Proximity-based Overlay Network Routing for Service Discovery in Mobile Ad-Hoc Network)

  • 윤현주;이은주;정현구;김진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6호
    • /
    • pp.643-658
    • /
    • 2004
  • 최근 산업 및 연구 단체에서 이동 애드혹 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하위 계층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던 것에 반해, 본 논문에서는 이틀 연구의 결과로 형성된 이동 애드혹망을 실제로 이용하기 위한 응용의 하나로 효율적인 서비스 검색 방법을 제시한다. 통신 오버헤드 측면에서 서비스 검색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피어 투 피어(P2P) 오버레이 네트위크에서 사용되는 분산 해쉬 테이블 시스템을 이용한다. 그러나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물리적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독립적이기 때문에 기존의 유선망에서 사용되던 토폴로지 기반 메커니즘들은 노드들의 이동이 잦아 물리적 토폴로지가 수시로 바뀌는 이동 애드혹 망에 부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라우팅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한 근접성 기반 오버레이 네트워크 라우팅 기법을 제안한다. 근접성 기반 오버레이 네트워크 라우팅 기법에서, 각 노드는 1홉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물리적으로 가까운 노드의 정보를 모으고, 이론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목적지에 가까운 노드론 선택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분산 해쉬 테이블 시스템과 같이 낮은 오버헤드를 유지하면서 플러딩 기반 기법과 비슷한 정도로 물리적인 홉 수를 줄일 수 있고, 노드들의 이동성이 있는 환경에서도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ns-2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Low-Rate WPAN에서 경로탐색을 위한 위치기반 라우팅 메카니즘 (Location-based Routing Mechanism for Route Discovery)

  • 이재조;허준;홍충선;이대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9B호
    • /
    • pp.808-817
    • /
    • 2004
  • 최근 Low-Rate WPAN 기술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Low-Rate WPAN 은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주변환경에 존재하는 많은 수의 센서를 통해 컴퓨터를 이용한 개선된 서비스제공에 목적을 두고있다. Low-Rate WPAN 환경을 구성하는 센서 디 B} 이스는 빈번한 이동성을 가지게 되고 새로운 경로 탐색을 위한 메카니즘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센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Low-Rate WPAN 환경에서의 효율척언 라우팅 메카니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메카니즘은 기존 방법들에 비해 라우팅 메시지 수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입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