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ted wir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TiN 피막처리된 Co-Cr계 교정용 선재의 마찰저항력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in Ion-Plated Co-Cr Orthodontic Wire)

  • 이호규;권오원;김교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3-133
    • /
    • 1998
  • TiN ion-plating된 Co-Cr 선재(.016", .016"x.022")와 ion-plating되지 않은 선재(.016", .016"x.022")를 이용하고, 3 가지 종류의 브라켓(TiN ion-plating된 금속 브라켓, 세라믹 브라켓 및 플라스틱 브라켓)을 대상으로 마찰실험을 행하고, 거기에서 얻어진 마찰 특성곡선과 곡선으로부터 구한 최대 정지마찰력, 그리고 선재와 브라켓의 표면양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TiN ion-plating의 효과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cdot$3가지 종류의 브라켓에 TiN ion-plating된 선재를 사용한 경우의 마찰력은 TiN ion-plating되지 않은 선재를 사용한 경우의 마찰력보다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게 낮았다(p<0.05). $\cdot$3가지 종류의 브라켓에 원형 선재를 사용한 경우의 마찰력은 각형 선재를 사용한 경우의 마찰력보다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게 낮았다(p<0.05). $\cdot$원형 선재를 사용한 경우 TiN ion-plating되지 않은 선재를 사용한 경우가 TiN ion-plating된 선재를 사용한 경우보다 선재 및 브라켓 슬롯의 표면이 더욱 거친 양상을 나타내었다. $\cdot$각형 선재를 사용한 경우 전반적으로 원형 선재를 사용한 경우보다 선재 및 브라켓 슬롯의 표면이 더욱 거친 양상을 나타내었다. $\cdot$TiN ion-plating된 원형 선재를 사용한 경우 정지마찰력과 운동마찰력의 차는 별로 없었으나 TiN ion-plating된 각형 선재를 사용한 경우 정지마찰력은 운동마찰력보다 다소 높았다. $\cdot$TiN ion-plating되지 않은 선재를 사용한 경우가 TiN ion-plating된 선재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정지마찰력이 운동마찰력보다 휠씬 높았다.

  • PDF

교정용 선재의 직경 증가를 위한 전기도금법과 무전해도금법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electroplating and electroless plating for diameter increase of orthodontic wire)

  • 김재남;조진형;성영은;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5-152
    • /
    • 2006
  • 본 연구는 교정용 선재의 직경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무전해도금법의 이용 가능성 여부를 전기도금법과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0.016 인치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용 선재에 도금을 위한 전처리를 시행한 후, 시중에 판매되는 무전해니켈도금액($Hessonic-Gr^{(R)}$, 신풍금속, 한국)을 사용하여 $90^{\circ}C$ 온도에서 0.018 인치 직경이 될 때까지 도금을 시행하였다. 무전해도금 과정 중 시간에 따른 직경증가율을 구하는 한편, 도금 후 세 지점의 직경을 계측하여 균일성을 평가하였다. 도금 금속의 정성분석을 위하여 X-선 회절분석을 시행하는 한편, 물성검사를 시행한 후 전기도금한 경우와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무전해도금한 군이 전기도금을 시행한 군보다 강성, 항복강도, 극한강도 모두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강성과 극한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 또한 무전해도금한 군의 직경증가율은 $0.00461{\pm}0.00003mm/5min$ (0.00092 mm/min)로, 전기도금한 군의 직경증가율 $0.00821{\pm}0.00015mm/min$와 차이를 보였다. 도금 후 세 지점의 직경을 계측하여 균으성을 평가한 결과, 두 가지 도금법 모두에서 균일한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무전해도금법을 통해 직경이 증가된 선재가 전기도금 법에 의해 직경이 증가된 선재보다 기존의 선재와 가까운 물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의 임상적 적응을 위해서는 도금시간의 감소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잉 슬러지로부터 회수(回收)한 실리콘의 열산화(熱酸化)에 의한 3N급(級) 실리카 제조(製造) (Manufacturing of 3N Grade Silica by Thermal Oxidation using the Recovered Silicon from the Diamond Wire Sawing Sludge)

  • 정순택;김남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2호
    • /
    • pp.37-43
    • /
    • 2013
  • 다이아몬드 입자를 전착한 와이어를 사용하여 실리콘 잉곳을 슬라이싱 하는 방식은 기존의 슬러리를 사용하는 방식과 달리 절단매체인 실리콘카바이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웨이퍼링 후에 발생하는 슬러지에 함유되어 있는 고형분의 대부분은 잉곳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온 실리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러지에 함유되어 있는 액상성분만 제거하여도 어렵지 않게 90% 이상의 순도를 가지는 실리콘을 회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잉 방식에서 배출된 슬러지로부터 오일 성분을 제거하여 고품위 실리콘 분말을 회수하였으며, 성형 및 소결공정을 통하여 실리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포함한 금속불순물을 제거하고, 미분체 실리콘의 산화가 용이한 점을 활용하여 열산화 공정으로 3N급 순도의 실리카를 제조하였다.

TiN피막 처리된 교정 장치물의 마찰 저항력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ISON OF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NON-ION PLATED AND TiN ION PLATED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 장시호;권오원;김교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71-691
    • /
    • 1993
  • To estimate the possibility in the application of TiN ion-plating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this study investigated frictional force and frictional coefficient between non-ionplated and TiN ion-plated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For each group,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metal bracket and arch wire in the wet condition was exhibited lower than that in the dry condition. 2. In the dry condition, the frictional force was lowest with fourth group, and it increased in the order of the 3rd, 1st, and 2nd group. Same situation happened in the wet condition. 3. Experimental results using ceramic & plastic bracket showed that group B was lower than group A, and group D was similar to group C. 4. The surface texture after experiment showed that the scratch due to a friction with bracket was observed in an arch wire of dry contition. Also the surface of bracket was rougher than before. 5. We observed that a specimen surface processed with the TiN ion plating was smoother than that of without the TiN ion plating. 6. The surface texture of a metal bracket and an arch wire in the wet condition was observed smoother than that in the dry condition. 7. In the dry conditio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each specimen was very similar to each other, but in the wet conditio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specimen processed with the TiN ion plating showed lower values.

  • PDF

TiN 피막처리된 Co-Cr계 교정용 선재의 물성 (THE PHYSICAL PROPERTIES OF TIN ION-FLAYED CO-CR(ELGILOY) ORTHODONTIC WIRES)

  • 김정민;권오원;김교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71-377
    • /
    • 1998
  • TiN 피막처리된 Elgiloy (Co-Cr계 선재)의 임상 적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제조된 상태의 Elgiloy, $250^{\circ}C$에서 30분간 가열처리된 Elgiloy, TiN 피막처리된 Elgiloy 각각의 4가지 temper, 그리고 비교를 위하여 스테인레스강 선재의 인장 강도와 경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cdot$인장강도는 모든 temper에서 TiN 피막처리된 군이 가장 높았고, 가열처리된 군, 제조상태의 군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가열처리된 군과 제조상태의 군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p>0.05). $\cdot$인장강도는 각 temper에서 TiN 피막처리시 제조상태의 Elgiloy보다 약 $10kgf/mm^2$정도의 증가를 보였다. $\cdot$경도값은 Yellow, Green, 그리고 Red temper에서는 TiN 피막처리된 군이 가장 높았고, 가열처리된 군, 제조상태의 군의 순으로 나타났으나(p<0.05), Blue temper에서는 가열처리된 군과 제조상태의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p>0.05). $\cdot$경도값은 각 temper에서 TiN 피막처리시 제조상태 Elgiloy보다 약 $50\~90VHN$ 정도의 증가를 보였다. $\cdot$스테인레스강의 선재와 비교할 때 제조상태에서는 Red temper와, TiN 피막처리한 경우는 Green temper와 비슷한 인장강도를 나타내었다.

  • PDF

동도금한 은선재의 전기선폭발에 의해 제조한 Ag-Cu분말 (Ag-Cu Powders Prepared by Electrical Wire Explosion of Cu-plated Ag Wires)

  • 김원백;박제신;서창열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20-326
    • /
    • 2007
  • Ag-Cu alloy nano powders were fabricated by the electrical explosion of Cu-plated Ag wires. Ag wires of 0.2mm diameter was electroplated to final diameter of 0.220 mm and 0.307 mm which correspond to Ag-27Cu and Ag-68Cu alloy. The explosion product consisted of equilibrium phases of ${\alpha}-Ag$ and ${\beta}$-Cu. The particle size of Ag-Cu nano powders were 44 nm and 70 nm for 0.220 mm and 0.307 mm wires, respectively. The Ag-Cu nano powders contained less Cu than average value due to higher sublimation energy compared to that of Ag. As a result, micron-sized spherical particles formed from liquid droplets contained higher Cu content.

적층형 초전도 다심 선재 제조 (Fabrication of coated conductor stacked multi-filamentary wire)

  • 윤기수;하홍수;오상수;문승현;김철진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7
    • /
    • 2012
  • Coated conductors have been developed to increase piece length and critical current for electric power applications. Otherwise, Many efforts were carried out to reduce AC loss of coated conductor for AC applications. Twisting and cabling processes are effective to reduce AC loss but, these processes can not be applied for tape shaped coated conductor. It is inevitable to have thin rectangular shape because coated conductor is fabricated by thin film deposition process on metal substrate. In this study, round shape superconducting wire was first fabricated using coated conductors. First of all, Ag coated conductor was used. coated conductor was slitted to several wires with narrow width below 1mm. 12ea slitted wires were parallel stacked on top of another until making up the square cross-section. The bundle of coated conductors was heat treated to stick on each other by diffusion bonding and then copper plated to make round shape wire. Critical current of round wire was measured 185A at 77K, self field.

교정용 와이어의 표면특성에 미치는 TiN 및 ZrN 코팅영향 (Effects of TiN and ZrN Coating on Surface Characteristics of Orthodontic Wire)

  • 김원기;김도영;최한철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47-155
    • /
    • 2008
  • The dental orthodontic wire provides a good combination of strength, corrosion resistance and moderate co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iN and ZrN coating on corrosion resistance and physical property of orthodontic wire using various instruments. Wires(round type and rectangular type) were used, respectively, for experiment. Ion plating was carried out for wire using Ti and Zr coating materials with nitrogen gas. Ion plated surface of each specimen was observed with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FE-SEM),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EDS), atomic force microscopy(AFM), vickers hardness tester, and electrochemical tester. The surface of TiN and ZrN coated wire was more smooth than that of other kinds of non-coated wire. TiN and ZrN coated surface showed higher hardness than that of non-coated surface. The corrosion potential of the TiN coated wire was comparatively high. The current density of TiN coated wire was smaller than that of non-coated wire in 0.9% NaCl solution. Pit nucleated at scratch of wire. The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E_{pit}-E_{rep}|$ increased in the order of ZrN coated(300 mV), TiN coated(120 mV) and non-coated wire(0 mV).

전기도금법과 전기선폭발법을 이용한 Al-Cu 합금 나노분말제조 (The Fabrication of Al-Cu Alloy Nano Powders by a New Method Combining Electrodeposition and Electrical Wire Explosion)

  • 박제신;서창열;장한권;이재천;김원백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7-191
    • /
    • 2006
  • Al-Cu alloy nano powders were produced by the electrical explosion of Cu-plated Al wires. The composition and phase of the alloy could be controlled by varying the thickness of Cu deposit on Al wire. When the Cu layer was thin, Al solid solution and $CuAl_2$ were the major phases. As the Cu layer becomes thicker, Al diminished while $Al_4Cu_9$ phase prevailed instea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Al-Cu nano powders became slightly smaller from 63 nm to 44 nm as Cu layer becomes thicker. The oxygen content of Al-Cu powder decreased linearly with Cu content. It is well demonstrated that the electrodeposition combined with wire explosion could be simple and economical means to prepare variety of alloy and intermetallic nano powders.

리드프레임 표면처리 기술의 진화 (Progression of Surface Treatment Technology at Leadframe)

  • 박세철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5-135
    • /
    • 2012
  • 세계 환경유해물질 규제에 대응하여 반도체 substrate의 Pb-free solution의 일환으로 등장한 PPF (Pre-Plated Frame)는 패키지공정 조립성은 물론, 자동차 반도체와 같은 고 신뢰성 및 low cost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초박막 고품질의 도금층과 Sub-micro scale의 rough treatment 와 같은 미세 표면제어 기술, 그리고 Au wire로부터 Cu wire 로의 전환에 대응하는 최적화된 도금층 구조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인 진화를 거듭해온 이 기술은 다양한 반도체 substrate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PPF기술의 활용저변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