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ot Subdivis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FAME Analysis to Monitor Impact of Organic Matter on Soil Bacterial Populations

  • Kim, Jong-Shik;Joo, Jin-Bee;Weon, Hang-Yeon;Kang, Chang-Seong;Lee, Si-Kyung;Yahng, Chahng-So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3호
    • /
    • pp.382-388
    • /
    • 2002
  •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 on soil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in the greenhouse fields,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was analyzed by the MIDI (Microbial ID, Inc., Newark, DE, U.S.A.) system and enumerations were performed. In relation to bacterial division of each sample, low GC Gram-positive bacteria were predominant among bacteria cultured on aerobic bacteria media. On the other hand, alpha subdivision was predominant on proteobacteria of control and OM (organic matter) 1 treated plot, and Flavobacterium spp. existed in OM2 plot on crystal violet media of all samples. Shannon-weaver Index (H) of OM1 plot varied most by 1.9 and 5.0 among bacteria cultured on aerobic bacteria media and crystal violet media, respectively. Our results revealed that addition of the organic wastes to soil led to a highly diverse microbial community, but the excessive amounts of organic and mineral fertilizer applied in the greenhouse fields produced excess nutrients in soil and led to simplification on bacterial populations.

기계화를 전제로한 산간경사지답 경지정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Land-Consolidation Sloping Paddies in land valley for the Farm-Mechanization)

  • 성찬용;황근;한욱동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1-69
    • /
    • 1981
  • The paddies in the hillsides in Gonggeun-myeon, Hoingseong-gun, Kangweon-do keep a steep slope and run in and out. A land consolidation in such an area, therefore, will require high ratio of land loss and a large amount of earth moving if it follows the existing design criteria to separate drainage and irrigation ditches in a scheme. Due to the consequent decrease in construction cost, the project has not been envisaged. in order to secure the introduction of small-medium size farm machineries into the paddies, farm plots were planned to be straight and drainage with taking care of topography. Findings from the comparison of methodologies are as follows. 1. In places with a solpe of more than 1/30, a reduction in earth moving can be expected with parallel plots to the contours. 2, For the sake of effective using of farm machineries, it is thought that a plot should be running straight parallel to the contours and the ratio of length and width of a plot be more than six. 3. In places with a slop of more than 1/10, a reduction in earth moving and a effective introduction of farm-machineries can he expected with straight parllel plots to the contours. But it is undesirable to introduce a scheme in this places because of the difficulties in acreage computation and farmers' hesitation. 4. The system with a canal for both irrigation and drainage is highly effective to decrease the ratio of land loss as well as construction cost. 5. Parallel plots to the contours and a canal for both irrigation and drainage are highly effective in the decrease in construct cost. 6. To avoid the subdivision of a cooperation in farming is desirable of a plots, has more than two owners.

  • PDF

노후산업단지의 비혁신형 도시산업 집적지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온수산업단지를 사례로 (A Study on the Non-Innovative Formation of Urban Industrial Agglomeration in an Old Industrial Complex: A Case of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 정혜윤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3-237
    • /
    • 2023
  • 서울온수산업단지는 준공한 지 50년이 넘은 노후산업단지로, 산업단지 기반시설과 공장 건축물의 노후화가 진행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서울온수산업단지에는 기계 산업 중심의 도시산업 집적이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노후산업단지의 물리적 시설 노후화와 산업 집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서울온수산업단지의 정체성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연구 결과, 서울온수산업단지는 수도권에 집중된 거래 네트워크, 소필지화로 인한 영세기업의 입주, 소음 유발 공정의 허용, 고숙련 기술자 확보 용이성에 따라 도시산업 집적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 집적은 산업단지 생산기능의 약화, 입주기업의 제한된 혁신성, 수도권 기계 산업경쟁력 약화에 따른 비혁신적 특성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서울온수산업단지의 정체성은 '비혁신형 도시산업 집적지'로, 수도권 중심의 기계 산업 네트워크에 기반한 비혁신적 집적이 발생하고 있는 노후산업단지이다.

한옥주거단지 사업모델구상 및 타당성 분석 (The Business Model & Feasibility Analysis of the Han-Ok Residential Housing Block)

  • 최상희;송기욱;박신원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4호
    • /
    • pp.453-461
    • /
    • 2011
  • 주택에 대한 수요가 다변화되면서 최근 한옥주택 및 한옥주거단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에 한옥이 밀집한 지역을 중심으로한 정비사업 뿐만 아니라,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등에서도 한옥주택과 주거단지 개발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본격적인 사업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LH가 공급하는 신도시의 단독주택용지와 특성화용지등을 대상으로 하여 한옥의 잠재적 수요계층을 바탕으로 사업모델을 도출하고 사업모델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여 향후 사업화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에 검토되었던 고급형 타운하우스 형태의 한옥주거단지는 입지선정, 수요불일치 등으로 인하여 사업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설문조사 결과등을 바탕으로 계획규모변경, 용도혼합, 필지세분화등의 방법을 통해 사업유형을 6가지로 설정하였다. 사업모델 중에서 가장 사업성이 높은 유형은 블록형 집합주택으로, 이는 규모의 경제법칙(Ecnomy of Scale)에 따른 건축연면적의 증가가 분양수입의 증대로 이어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소규모 한옥과 근생시설이 결합한 공동주택 모델의 타당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블록형 집합주택과 같은 동일한 사업조건을 적용한다면, 한스타일 공동주택의 사업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밖에 블록형 단독주택지내 고급주택 모델은 민간부문이 일반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업유형으로서, 1호당 건설비용이 9.1억원으로 가장 많은 비용이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옥주거단지 사업성 제고를 위해서는 입지선정, 수요계층의 다양화, 주택규모의 적정화, 용도혼합등을 통한 집합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단독주택용지에 한옥주택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필지계획의 조정과 분할이 필요하며, 한옥형 용지등의 공급을 통해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는 전략도 제안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획일적인 택지개발방식에서 벗어나 기초인프라(간선도로 및 상하수도)외에 조성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토지인 원형지(原形地) 공급을 통한 개발방식도 검토할 수 있으며, 한옥의 지붕 및 가구구조상 1~2층 이상의 건축이 불가능하므로 경사지 형태를 갖는 원형지 공급방식의 단지조성이 토지비절감, 경관효과 등을 감안할 때 적합한 모델로 제안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