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um tre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1초

복숭아와 자두꽃을 방화(訪花)하는 곤충(昆蟲)의 종류(種類)와 생태(生態) (Insect Visitors to Peach and Plum Blossoms)

  • 추호열;조미경;우건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7-122
    • /
    • 1987
  • 복숭아꽃과 자두꽃의 방화곤충(訪花昆蟲)과 활동(活動)을 알아 보기 위하여 1987년(年) 4월(月) 1일(日)부터 4월(月) 30일(日)까지 전개화기(全開花期)동안 경남(慶南) 진주(晋州)의 경상대학교(慶尙大學校) 식물보호학과(植物保護學科) 과수원(果樹園)에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복숭아꽃의 방화곤충(訪花昆蟲)은 4목(目) 18과(科) 22속(屬) 22종(種)이었고, 자두꽃에서는 4목(目) 14과(科) 20속(屬) 20종(種)이 확인(確認)되었는데, 벌목(目)과 딱정벌레목(目)이 가장 많았다. 시간별 기록곤충(記錄昆蟲)은 11시(時)와 2시대(時帶)에서 가장 많은 종수(種數)와 개체수(個體數)가 방화(訪花)되었는데 날씨의 쾌청에 따라 최다방화수(最多訪花數)의 시간별(時間別) 차이(差異)가 있었다. 개화율(開花率)과 방화곤충(訪花昆蟲)과의 관계(關係)는 복숭아 꽃에서는 80%이상의 만개기(滿開期)에서 가장 많은 종수(種數)와 개체수(個體數)가 기록(記錄)되었으나 자두꽃에서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 PDF

에테폰 처리가 자두과실의 성숙과 수확후 유통방법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phon treatment on the maturation of Plum fruits(Prunus salisina) and changes of the quality as affected by storage conditions)

  • 임병선;이종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5-170
    • /
    • 1996
  • In order to determine the physiolosical characteristics of plum fruits(Oishi wase) during maturation and guilty according to temperature after harvest, (2-chloroethyl) phosphonic acid(ethphon) 390ppm was sprayed on plum tree 11days before commercial matuarity in Suwon area. And also this study was acted to investigate fruits quility(Formosa) influenced by temperature(room, low) and polyethylene films(0.03, 0.06, 0.1mm), 1. Effect of ethphon on the fruits maturation and fruits(Oishi wase) quility according to temperature ofter harvest. Ethephon stimulated fruits ripening but the firmness was reduced rapidly. Soluble solids and titratable acidity was not very different than each treatment. Carbon dioxide and ethylene production were advanced and the production peak were shown earlier by ethephon treatment as compared with control fruit. Anthocyanin development was enhansed rapidly by ethephon treatment but it exerted a bad influence on fruits color after harvest, The soluble sugars in fluits were mainly glucose, sucrose, and fructose. Those content were higher in treated fruit than control. The organic acid was mainly malic acid. The shelf life was less than about 5days at room temperature and about 10 days at low temperature. 2. Fruits(Formosa) quility as affected by polyethylene film bagging. The polyethylene films well maintained the firmness both room and low temperature. Low temperature was more effective in maintaining titratable acidity than room temperature, especially polyethylene films. On the Other hand, soluble solids content was not shown wide differance between room and low temperature. Polyethylene film showed a high resperation rate, the rate was higher at room temperature than low temperature and thicker films revealed higher rate. Otherwise, ethylene production was low in all treatment Polyethylene film inhibited the coloration of fruits, decreased anthocyanin content. Fruits coloration delayed by low temperature in control. The shelf life of plum fruits was about 6 days at room temperature and 13 days at low temperature in control Polyethylene film had no advantage on shelf life both at room and low temperature.

  • PDF

자두와 살구나무에 기생하는 나무좀의 생태에 관한 연구 (Ecological Studios on the Bark Beetles on Plum and Apricot)

  • 윤주경;김규진;천승주;김용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8-86
    • /
    • 1982
  • 자두 살구나무에 기생하는 나무좀의 종류와 생태를 조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두살구나무를 하는 나무좀은 서울나무좀 (Scolytus seulensis), 뽕나무좀(Xyleborus atratus), 오리나두좀(X. germanus, 붉은목나무좀(X. rubricollis) 및 감나무좀(X. saxeseni)을 채집하였고 기주로는 서울나무좀은 자두와 살구나무에 뽕나무좀 오리나무좀, 감나무좀은 살구, 밤나무에 붉은목나무좀은 자두, 밤나무등에 각각 침입함을 확인하였는데 자두, 살구나무에 발생량과 피해가 심한 종은 서울나무좀이었다. 2. 서울나무좀의 발생소장을 보면 1980년 7월 10일과 8월 25일 1981년에는 7월 15일과 8월 20일로 1화기는 7월 중순에 2화기는 8월 하순의 1년 2회로 추정되었다. 3. 살구품종중 서울나무좀에 의한 m당 충공수는 Henderson(Apricot)과 V-49057(Apricot)은 100개 이상이었으며 Derbyroyal(Apricot)은 12개 이하로 적었다. 대체로 한국재래종과 일본계도입종들에 비하여 구주계품종에 치해공이 많았고 방향별 차이는 적었으나 동서남북순이었으며 모공의 길이가 길수로 유충공수도 많았다. 4. 성충의 교미는 $27^{\circ}C$ 내외가 많았으며 5.6월의 교미는 7.8월에 비하여 교미시간이 다소 길었다. 5. 자두나무 과실중의 변화는 피해주에서 개화 4주일 후인 6월 23일에 12.25g으로서 과중증가가 없었으나 건전주의 과실은 6월 23일에 32.23gr이었고 수확기인 7월 7일에는 63.5gr이었다. 6. 서울나무좀의 천적으로 어깨넓적좀벌과의 일종인 Eurytoma sp.를 서울나무좀의 노숙유충이나 용에서 용상태로 발생하였고 5월 초부터 6월 25일 사이에 우화하였으며 성충의 일주일 내외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Organic Acid Contents and Fermentation Solution of Prunus mume in South Korea

  • Kang, Hee-Kyoung;Kang, Hye-Rin;Lee, Young-Sang;Song, Hong-Se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4-199
    • /
    • 202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the information of Plum tree (192 germplasm) collected in Korea, and to evaluate the organic acid contents and fermentation solution. The organic acid content of fruit was 50.9 ± 6.0 mg/g, and which was composed of 55.5% of citric acid, 43.4% of malic acid and 1.1% of oxalic acid, and showed large difference among germplasms. Oxalic acid and malic acid made no differences in organic acid content according to flesh color, whereas citr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s were highest in orange color and lowest in whitish green. Malic acid, citr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s did not show differences among fruit weight groups, but oxalic acid content was highest at fruit weight of 5.1 ~ 10.0 g and lowest at more than 20.1 g. The sugar content of fermentation solution of fruit was 55.7 ± 1.6 °Brix and the harvest rate was 116.7 ± 8.7%.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fruit weight, the sugar content (°Brix) and harvest rate of fermentation solution were very low, and there were correlations of r=-0.551⁎⁎ between fruit weight and oxalic acid, r=-0.767⁎⁎ between malic acid and citric acid, and r=0.834⁎⁎ between citr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분자동정법 개발 및 복숭아와 자두에서의 발생차이 (Molecular Diagnosis of Grapholita molesta and Grapholita dimorpha and Their Different Occurrence in Peach and Plum)

  • 안승준;최경희;강택준;김형환;김동환;조명래;양창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65-370
    • /
    • 2013
  • 복숭아순나방붙이(Grapholita dimorpha Komai)는 동북아시아에 주로 발생하는 과수 해충으로, 국내에서는 2009년에 사과에 피해를 준다는 것이 보고되었으나, 그 이외의 과수에서는 직접적인 피해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핵과류인 복숭아와 자두를 대상으로 복숭아 순나방류의 피해로 보이는 피해순과 피해과를 채집하여, 복숭아순나방붙이와 그 유사종인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의 피해율을 비교 조사하였다. 두 유사종의 정확한 구별을 위해 우선 종 특이적 프라이머와 PCR 반응조건을 이용한 분자동정법을 개발하였다. 복숭아와 자두의 신초와 과실을 가해하는 종을 야외에서 채집하여 분자동정법으로 확인한 결과, 복숭아의 신초와 과실은 거의 모두 복숭아순나방이 가해하였으며, 자두는 신초의 경우 복숭아순나방이, 과실의 경우 복숭아순나방붙이가 주로 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복숭아와 자두에서 조사한 신초는 모두(100%) 복숭아순나방에 의해 피해를 받았으나, 복숭아 과실은 대부분(92.5%) 복숭아순나방이, 자두 과실은 대부분(97.0%) 복숭아순나방붙이가 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복숭아순나방붙이가 복숭아 보다는 자두 과실에 주로 피해를 준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자두나무에서도 신초와 과실에 따라 각기 다른 종이 피해를 준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렇게, 기주식물에 따라 두 유사종의 가해특성이 다른 것은 복숭아와 자두과원에서 두 종의 발생을 예찰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여겨진다.

국내 과수에 발생하는 깍지벌레(진딧물아목)의 종류 (Scale Insects (Stenorrhyncha) Occurred on Fruit Trees in Korea)

  • 권기면;한만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79-288
    • /
    • 2003
  • 과수를 기주식물로 하는 깍지벌레의 종을 파악하기 위해 2001-2002년에 사과 등 11종의 과수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와 농업과학기술원에 소장하고 있는 과수에서 채집된 표본을 동정한 결과, 총 5과 21속 29종의 깍지벌레가 확인되었다. 작물별로 사과나무에서는 10종, 배나무에서 9종, 복숭아나무에서 3종, 귤나무에서 14종, 감나무에서 9종, 자두나무에서 2종, 매실나무에서 1종, 유자나무에서 10종, 포도에서 1종, 대추나무에서 4종 그리고 참다래나무에서 3종이 확인되었다.

2016-2017년 국내 핵과류에서의 자두곰보병 발생 및 방제 (Occurrence and eradication of Plum pox virus on Ornamentals in Korea, 2016-2017)

  • 김미경;김기수;곽해련;김정은;서장균;홍성준;이경재;김주희;최민경;김병련;김지광;한인영;이현주;원헌섭;강효중;한종우;고숙주;김효정;김승한;이중환;최홍수
    • 식물병연구
    • /
    • 제25권1호
    • /
    • pp.8-15
    • /
    • 2019
  • 전 세계적으로 자두곰보바이러스는 핵과류에 발생하는 중요한 바이러스이다. 2015년 국내 복숭아에서 자두곰보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이후 국내 핵과류 과원에 대한 자두곰보바이러스 발생 조사가 시작되었다. 2016-2017년 국내 핵과류 1,985과원의 30,333주 나무에서 시료를 채집하여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RT-PCR 검정 결과, 10과원의 21주 나무에서 자두곰보바이러스가 확인되었고, 박멸조치에 따라 감염 주에 대한 폐기 등 방제가 실시되었다. 2016년 자두곰보바이러스에 감염된 복숭아 나무 7주의 total RNA에서 PCR 산물 약 547 bp을 얻은 후 direct sequencing 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BLAST 검색 결과 Genbank에 등록된 자두곰보바이러스 D 계통 분리 주들(LC331298, LT600782)과 99% 높은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였으며, 국내 복숭아 나무 7개 분리 주 간에 98-100%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였다. Phylogenetic tree 분석 결과 한국, 일본, 미국, 캐나다에서 보고된 D 계통과 높은 유연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보고는 2016-2017년 국내 핵과류 과원의 자두곰보바이러스 발생 현황에 대한 첫 보고이며, 이를 바탕으로 발생 주 제거 등 국내 금지급 자두곰보병의 예방 및 방제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고문헌 고찰을 통한 중국 가로수의 역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y of Chinese Roadside Tree through Old Literatures Review)

  • 종타오;안계복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0
    • /
    • 2018
  • 본 연구는 중국 가로수의 역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사상적 배경과 각 시대별 가로수의 식재 수종, 그리고 가로수의 관리제도 등에 대한 고문헌들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 가운데 노자, 장자, 묵자, 맹자, 관자의 사상이 중국의 수목과 가로수의 관리에 대한 근본적인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시대별 가로수의 수종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 가장 많이 심겨진 수종은 버드나무류, 그 다음은 소나무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周)나라 때부터 명나라에 이르기까지 복숭아나무와 자두나무 같은 유실수(有實樹)가 가로수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로수의 명칭과 가로수를 담당하던 관리는 시대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현재 중국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가로수 유적으로는 약 2,000년이 된 사천성(四川省)의 검각취운랑을 들 수 있다.

Differences in Tree Growth and Nutrient Absorption of Persimmon (Diospyros kaki) and Date Plum (D. lotus) Seedlings

  • Choi, Seong-Tae;Park, Doo-Sang;Kim, Sung-Chul;Kang, Seong-M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76-280
    • /
    • 2013
  • D. kaki and D. lotus are used as rootstocks for astringent persimmons in Korea but characteristics of their seedlings have not been determined. In this experiment, their seeds were sown in 3-L pots on April 18 and the seedlings were grown until October 24. Growth and nutrient absorption were compared at the end of the season after destructively harvesting the seedlings. Seedling growth of D. lotus was much faster than that of D. kaki in terms of total stem length, stem diameter, and number of leaves. However, chlorophyll value and specific leaf weight were higher in D. kaki than in D. lotus. Dry weight of D. lotus was 3.6- and 3.7-fold higher than that of D. kaki in above-ground parts and the root, respectively. D. kaki seedlings were characterized by higher concentrations of N, P, K, Ca, and Mg in the leaves, stem, or the root. However, total contents of the elements were 1.8- to 3.7-fold higher in a D. lotus seedling due to its greater dry weight. Since D. lotus seedlings absorbed more inorganic elements on a tree basis and grew more vigorously than D. kaki seedlings, the level of fertilization for astringent persimmons should be adjusted depending on rootstocks to maintain the trees at the optimum vigor.

Verification on Cold-Tolerance of Some Fruit Trees as Species for Urban Greening Plants

  • Lee, Jin-Hee;Oh, Hee-Young;Kwon, O-Ma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55-1166
    • /
    • 2017
  • This study selected commonly known species of fruit trees, and re-selected the species that endure the stress of extreme cold weather and physiologically restore themselves to the previous state until the following year. Then we could go ahead to propose the species that were appropriate as urban greening plants in weather condition of any part of the country. To do this, we conducted an experiments for six species of fruit trees based on the preference of the general public and recommendation of the experts; Morus alba (English name: mulberries), Diospyros kaki (English name: Persimmon), Prunus persia (English name: Peach), Elaeagnus umbellata var. coreana (English name: Korean Autumn Olive), Malus domestica 'Alps Otome' (English name: Alps Otome), and Prunus mume (English name: Blue Plum). The experiment verifies whether the trees survive without any stress from the cold weather under the national climate conditions (one in the suburbs of Seoul: Yongin city, one in the central Chungcheong region: Daejeon city, and in the southern Gyeongsang region: Jinju city in Korea). The experiment lasted for a year from August 2016 to August 2017. The levels of electrolytic efflux, chlorophyll content, plant heigh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measured four times (on August of 2016, January, February, and August of 2017) for each tree planted bare ground outdoors. Results showed that Diospyros kaki, Prunus persia, and Malus domestica 'Alps Otome' were proven durable and resistant to winters of all three areas (one in the suburbs of Seoul: Yongin city, one in the central Chungcheong region: Daejeon city, and in the southern Gyeongsang region: Jinju city in Korea). Especially, the increase of chlorophyll content and the reduction of electrolytic efflux were noticeable in Prunus persia than in the other two species, proving itself as the most cold-tolerant among the six species used in the experiment. In addition, interpreting from the physiological restoration data of one-year span before and after getting through winterer, Prunus persia was proven to be the most cold-tolerant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