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neumatic dispenser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공압 디스펜싱 시스템을 이용한 나노리터 액적에 포함된 미세 입자의 분주 및 측정 (Micro-particles in a Nanoliter Droplet Dispensed by a Pneumatic Dispensing System and Its Measurement)

  • 이상민;김준원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913-919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results for dispensing and measuring micro-particles using a pneumatic dispensing system. Particle-suspended liquid droplets were dispens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at various particle concentrations and applied pressures. By using a developed experimental setup, the number of particles and the particle volume ratio in sequentially dispensed droplets were measured. Hydrophilic and hydrophobic surfaces were tested to find a suitable surface for counting the number of particle.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pensed particles concentrated into the center of the droplet on the smooth CD surface after evaporation of liquid. As the applied positive pressure increased, the number of particles per droplet increased consistently and the volume fraction of particles remained constant.

시간 분해 직렬 펨토초 결정학을 위한 3차원 프린팅 기반의 초고속 믹싱 및 인젝팅 시스템 (3D Printing-Based Ultrafast Mixing and Injecting Systems for Time-Resolved Serial Femtosecond Crystallography)

  • 지인서;강전웅;김태영;강민서;권순범;홍지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2호
    • /
    • pp.300-307
    • /
    • 2022
  • 매우 짧은 펄스 폭의 X선 자유전자 레이저(XFEL)를 이용한 시간 분해능 연속 펨토초 결정학(time-resolved serial femtosecond crystallography, TR-SFX)기법에서 반응 물질과 생체분자 결정 샘플간의 혼합률(mixing rate)과 결정 샘플과 X선 레이저 간의 충돌률(hit rate)은 생체분자의 시분해 구조 변화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 획득 및 효율적인 샘플소비와 같은 TR-SFX의 분석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극초단 내 일어나는 생체분자의 시분해 구조 변화 해석을 위해 초고속 믹싱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공압 기반의 주문형 액적 젯팅이 가능한 두 가지 다른 방식의 샘플 전달시스템을 고안하였다. 한 방식은 이중 노즐을 통해 토출된 액적의 고속 충돌에 유발된 관성 믹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다른 방식은 마이크로믹서가 내장된 공압 젯팅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먼저, 이중 노즐을 통해 토출된 액적의 충돌에 대한 동적 거동 및 액적 내부 관성 유동에 대한 믹싱에 대한 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마이크로믹서가 내장된 공압 젯팅 시스템의 성능을 유사한 방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샘플 전달시스템은 질환을 유발하는 특정 단백질들의 기작을 규명하거나, 항체 의약품과 신약 후보 물질 탐색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3차원 생체 분자 구조분석 연구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