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ce education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6초

정보 분석을 통한 미국 경찰교육 도입방안 (Strategy for Introducing American Police Education through Information Analysis)

  • 박종렬;노상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47-155
    • /
    • 2012
  • 미국 경찰 역사상 3세기 동안 경찰 교육도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경찰학교 탄생과 더불어 일반 국민이 경찰에 거는 기대도 커졌으며 경찰이 보여주는 능력도 성장했다. 1960년대 이후 현장 훈련 과정, 기관 내 훈련 등을 개발 운영해오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지역의 경찰학교 훈련에서 대학식 접근법을 택하고 있는데 특히 COP식 경찰 업무 수행과 전문화를 이루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우리나라는 관련법규의 미정비, 비체계적인 교육과정, 학교교육과 실습교육의 Switch System의 한계, 열악한 교육여건 및 환경 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어 개선을 위한 방안은 첫째, 교육훈련 법규를 통합, 정비 둘째, 교과과정을 체계적으로 개편 셋째, 교육훈련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Switch System을 정착 넷째, 교육여건 및 교육환경을 개선시켜야 한다.

A Survey on First Aid Knowledge and Education Needs of Jeollabukdo Police Officers

  • Ik-Sung KIM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19-25
    • /
    • 2024
  • This study surveyed 171 police officers working in Jeollabuk-do to investigate their first aid knowledge and the need for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ct answer rate for first aid knowledge among police officers was 75.61 points out of a possible 100 points. Additionally, 98.8% of respondents indicated a need for first aid training, expressing a preference for 2-hour sessions integrated with their work educa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ct answer rate for first aid knowledge based on education level and experience in emergency situation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ed for education was observed across respond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its provision of foundational data for first aid education among police officers, which can be instrumental in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and policies aimed at enhancing their first aid capabilities. Specifically, the study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police officers' responses in emergency situations by offering concrete suggestions on the content, method, and duration of first aid training.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providing comprehensive and effective first aid training not only to police officers but to all first responders, emphasizing that such training is crucial for ensuring public safety.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아내학대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Police Officer's Recognition to Domestic Violence - Centering around wife abuse -)

  • 황미진;송기춘;오광실;유현숙;하상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6호
    • /
    • pp.113-12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olice officers' perceptions and influential factors on their recognition of domestic violence. The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26 police officers around Iksan province,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55.3% of the respondents had received training on domestic violence. Second, 64.6% of police officers had experienced cases of domestic violence, and 65.4% of them had chosen passive action in domestic violence situation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knowledge of the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act, and the police officer's recognition of domestic violence.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ossible violence and the intervening attitudes of the police officers, and the police officers' recognition of domestic violence.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associated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of police officers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their recognition of domestic violenc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knowledge of the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act, and the intervening attitudes of police officers were the next powerful predictors of police officers' recognition of domestic violence.

메타버스 기반 경찰 교육훈련모델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etaverse-based Police Education and Training Model)

  • 오세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487-494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대적 환경의 변화에 따른 경찰의 다양한 활동에 대한 성과를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메타버스 기반 경찰교육훈련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HMD과 햅틱기술을 이용하여 표현되는 Avatar Controller를 생성하고, Network Interface에 접속하여 Cloud Education Server에서의 지휘통제모듈과 교육훈련콘텐츠모듈, 분석모듈 등을 통하여 개인 또는 팀 단위로 교육훈련 할 수 있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제안모델에서는 개인이나 팀 단위의 메타버스 기반 교육훈련 시 지휘통제모듈을 접목시킴으로써 테러나 범죄 상황 전반에 대하여 지휘감독요원들이 실시간으로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지휘통제 하에 대응훈련을 하게 함으로써 팀원들 간의 유기적인 협업훈련도 가능하게 하였다. 결론: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한 개인 또는 팀 단위의 경찰교육훈련은 몰입감, 상호작용 그리고 다양한 상황에서의 신속한 판단 등을 바탕으로 현실과 거의 흡사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보다 더 효율적이고 안전적인 교육훈련환경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각국에서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한 교육훈련 대응모델들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교육훈련에 있어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찰 무도 교육의 발전방향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olice Martial Arts Education)

  • 정일홍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6_2호
    • /
    • pp.121-127
    • /
    • 2015
  • 본 연구는 경찰무도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시설적인 측면에서 현대화된 체육관으로 적정면적($8.5m^2$/1인당) 이상되어야 하고, 현재 4가지의 선택종목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활용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무도종목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경찰무도의 교육프로그램 측면으로 무도와 체력은 분리 교과로 이루어져야하며 수업시수의 확대도 필요하다. 그리고 현대사회에 흐름에 맞게 4개의 종목으로만이 아닌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공수도, 우슈쿵푸 등이 다양한 종목이 늘어나야 하고, 선택무도에서 현장에서 실용적인 경찰무도의 단계별 프로그램을 개발, 연결해야 한다. 셋째, 전문적이고, 높은 학습효과를 위해서는 교육경찰무도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넷째, 다양한 무도 교수요원의 확충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외부 전문가의 임용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 자치경찰의 인력충원 방안 (Policy of Personnel Recruiting in the Korean Municipal Police System)

  • 김종수;신승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82-194
    • /
    • 2008
  • 본 연구는 자치경찰제 시행이념을 구현하고 주민친화적인 치안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인력을 충원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자치경찰제의 실시가 가시화되고 있는 만큼 자치경찰의 인력충원을 위한 실증적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향후 자치경찰법안의 입법과정과 자치경찰제의 안정된 정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세부적 방안을 모집 및 채용, 교육훈련, 신규배치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모집 및 채용영역에서는 지역실정에 부합한 자치경찰 모집의 필요성과 지방행정의 집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특사경 전문가의 확보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주민친화적 경찰행정을 구현하기 위한 여성인력 확보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채용시험의 직무적 합성 확보방안과 자치경찰사무 관련 자격증에 대한 가산점 부여방안, 개방형공모 제도를 통한 자치경찰대장 임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훈련 영역에서는 지역 내 자치경찰 교육훈련 기관의 확보방안과 지역대학과의 연계교육을 통한 자치경찰 교육훈련의 실효성 확보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자치경찰 전문직무교육 과정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신규배치 영역에서는 지역출신자들에 대한 우선배치의 필요성과 자치경찰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제한적 배치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국가경찰과의 정기적 인사교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경찰관의 교육훈련과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Training,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among Police Officers)

  • 안동현;박영만;이종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02-912
    • /
    • 2013
  •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교육훈련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2년 경찰교육원 교육과정 중 경비관련 직무 5개 과정에 입교한 전국 경찰관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총 3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나,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268명이다. 자료처리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 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관의 교육훈련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업무관련성, 교육과정의 직무교육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직무만족은 높으며, 교육동기가 강할수록 교육이수 후 직무만족 또한 높다. 둘째, 경찰관의 교육훈련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업무관련성, 교육동기, 교육과정의 직무교육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직무성과 또한 높다. 셋째, 경찰관의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즉, 교육이수 후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직무성과 또한 높다. 넷째, 경찰관의 교육훈련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내부 직무만족은 직무교육과 직무성과를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A Study on the Effect of Basic Life Support Training on the First Responsive Police Officers

  • Jo, Byung-Tae;Kim, Seon-Ry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75-182
    • /
    • 2019
  • 이 연구는 경찰관에게 실시한 기본인명소생술 훈련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실시되었고, 연구대상자는 K 경찰관 중 10명의 실험군과 10명의 대조군으로, 교육프로그램은 60분 이론과 30분 실습을 포함하였다. 기본인명소생술 술기 측정은 미국심장협회에서 제시한 응급 심혈관 치료의 가이드라인을 따랐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에서 현장확인기술, 1차 평가수행기술 및 기본인명소생술 능력(심장압박, 인공호흡, 의학적 평가)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결과는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이 전통적인 이론실습강의보다 경찰관의 임상술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러므로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심정지 응급치료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적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경찰의 변사자 처리에 관한 연구 -일본경찰제도를 중심으로- (Unnatural Dead Body Treatment by Police -Centering on Japanese Police System-)

  • 이상원;이승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39-246
    • /
    • 2011
  • 한국에서 변사자 처리의 문제점은 변사체를 가장 먼저 접촉하고 실제 검시업무를 주도적으로 담당하는 일선 사법경찰관들이 비전문가로 인하여 사망에 대한 정확한 사인분석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때로는 살인자에게 면죄부를 주어 억울한 희생자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변사자 초기대응에 대한 경찰의 활동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우리나라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대륙법계에의 일본경찰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경찰의 변사자 대응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체취급업무의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 형사조사관 제도를 도입하여 형사조사관, 형사조사관보조를 양성하고 사체의 사인규명에 대한 검시제도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사체취급업무에 종사하는 경찰관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사체취급업무와 관련한 기자재를 확보해야 한다. 사체취급현장에서 신속히 자 타살을 판단하기 위한 기자재 등을 적극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

신임공무원의 성격특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A New Public Official on Academic Burnout)

  • 이진환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8호
    • /
    • pp.163-172
    • /
    • 2022
  • 공무원은 국민의 봉사자로서 국민의 안전은 경찰이 담당하고 있다. 특히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해양 안전은 매우 중요하다. 해양이라는 특수성과 위험성으로 인해 해양경찰의 교육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신임 교육과정은 재직하는 동안 직무와 연결되기 때문에 교육 성과와 관련이 있는 요소는 더욱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신임해양경찰공무원 200명을 대상으로 성격특성과 학업소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성격특성 5요인 중 신체적 고갈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외향성 요인, 신경성 요인,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외향성 요인, 신경성, 냉소주의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신경성과 개방성 요인, 성취감 저하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외향성 요인, 신경성 요인, 성실성 요인이었다. 특히 학업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성격특성 5요인은 신경성으로 나타났다. 신임해양경찰공무원의 교육적 만족과 효과를 위해서는 신임해양경찰공무원의 심리적 여유와 스트레스 최소화 방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