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Urea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6초

Poly(urea-urethane) 자기복원 코팅층을 가진 도장 보호필름 물성 연구 (Properties of Paint Protection Film Containing Poly(urea-urethane)-based Self-Recovery Coating Layer)

  • 송민석
    • 접착 및 계면
    • /
    • 제24권2호
    • /
    • pp.69-75
    • /
    • 2023
  • 최근 자기복원(self-recovery) 코팅층을 가진 자동차용 도장면 보호필름의 적용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ly(urea-urethane) hybrid 자기복원 코팅층을 가진 poly(vinyl chloride) 기재 보호필름에 대한 기본 물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보고한다. Poly(urea-urethane) 기반 코팅층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화합물의 비율과 코팅층의 두께 변화에 따른 자기복원성능을 확인하였으며, 색차 값 측정을 통해 내오염성능을 정량화 하였다. 또한, 소수성 첨가제로 외부 오염에 대한 표면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량의 실리콘계 반응형 첨가제를 코팅 조성물에 함량에 따른 easy-cleaning 효과와 접촉각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poly(urea-urethane) 자기복원 코팅층을 가진 보호필름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변색 및 변형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촉진 내후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Poly(3-methylthiophene)막 위에 urease를 고착시킨 Voltammetric Urea Sensor의 개발 (Development of Voltammetric Urea Sensors Based Poly(3-methylthiophene) film)

  • 박성호;진준형;홍석인;민남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4-316
    • /
    • 2000
  • Urea is detected as an indicator of renal disease in the human body. For these reasons, many biosensors for urea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enzymatic reaction of urea hydrolysis catalyzed by urease. Potentiometric method is applied reversible reaction system. But urea hydrolysis reaction may not has a reversible reaction mechanism in electrode surface. Therefore we applied to voltammtricmethod to obtain a sensitivity curve. The sensitivity of sensors was 34 ${\mu}$A/decade.

  • PDF

RC 구조물 보강을 위한 고성능 폴리우레아의 개발 및 적용성 평가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High Performance Poly-urea for RC Construction Reinforcement)

  • 김성배;김장호;최홍식;허권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A호
    • /
    • pp.169-176
    • /
    • 2010
  • 일반적으로 폴리우레아는 부착성능, 신장률, 투수 저항성이 매우 높아서 구조물의 방수 코팅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작업이 가능하며, 약 30초 이내에 경화가 되기 때문에 시공성도 매우 뛰어나 우수한 기능성 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건설산업에서 폴리우레아는 대부분이 방수코팅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구조물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보강재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폴리우레아를 일반 구조물의 보강재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폴리우레아의 구성성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폴리우레아의 구조 보강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RC 보와 슬래브를 제작하여 휨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폴리우레아는 콘크리트 시험체와 일체거동을 보이며, 연성과 강성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섬유시트와 폴리우레아로 2중 보강한 시편은 오히려 섬유시트만으로 보강한 시편보다 낮은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Poly(ethylene oxide)-urea Complex Films

  • Cho, Mi-Yeon;Cho, Kyoung-Ah;Kim, Sang-Sig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3권3호
    • /
    • pp.136-138
    • /
    • 2012
  •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complex films composed of poly(ethylene oxide) (PEO) and urea as a function of the urea concentration were examined in this study. Moreover,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also compared. Depending on the urea concentration, the structural phases were classified as PEO+${\beta}$-phase composite, ${\beta}$-phase+${\alpha}$-phase composites, or ${\alpha}$-phase composite+urea. At urea concentrations below ~0.064 M, the ${\beta}$-phase was dominant in the complex film. Moreover, the conductance increased rapidly with an increase in the urea concentration. For urea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064 to ~0.25 M, the ${\beta}$-phase was gradually substituted by the ${\alpha}$-phase. As the film was composed entirely of the ${\alpha}$-phase at urea concentrations greater than ~0.25 M, its conductance was decreased. In this study,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bserved for the different phases are analyzed and discussed.

Phosgen-free Synthesis of Oligoureas Having Amino End-groups: Their Application to the Synthesis of Poly(urea-imide)

  • Chang, Ji-Young;Kim, Beom-Jin
    • Fibers and Polymers
    • /
    • 제3권2호
    • /
    • pp.55-59
    • /
    • 2002
  • The thermal reaction of acetoacetanilide in the presence of aniline or phenol yielded carbanilide in quantitative yields. This reaction was applied to the synthesis of polyurea. Bisacetoacetamides were prepared from diamines and diketene in DMF. They were thermally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phenol or a diamine (6FDA) to yield polyureas of low molecular weights. The polymers were soluble in DMSO and NMP. $^1{H-NMR}$ analysis showed that they had amino group terminated structures. Poly(urea-imide) was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an oligourea diamine with pyromellitic dianhydride in NMP. The concentration of terminal amino groups was determined by an acid-base titration. The thermal property of poly(urea-imide) was evaluat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Initial decompisition took place at 332-$350^{\circ}C$.

내진보강용 폴리우레아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진성능 평가에 대한 유사동적실험 연구 (Pseudo Dynamic Test Study on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RC Columns Retrofitted by PolyUrea)

  • 조철민;이두성;김태균;김장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289-301
    • /
    • 2017
  • 국내외적으로 지진의 발생이 빈번함에 따라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추가적인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국내의 비내진으로 설계된 구조물의 보수 보강이 시급할 뿐만 아니라 지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내진보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고연성 보강재를 사용한 내진보강기법이 소개되면서 강성보강보다는 연성보강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성보강 재료로써 최근 각광받고 있는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을 소개하기 위해서, 폴리우레아로 보강한 RC 시편에 대하여 일축압축시험과 유사동적실험을 수행하였다. 일축압축시험에서 폴리우레아 보강시 강도가 증진되었을 뿐 아니라 연성거동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제 지진파를 적용한 유사동적실험에서는 상대변위, 주철근의 변형률, 변위연성도, 소산에너지 모두 향상된 보강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성보강의 목적으로 개발한 폴리우레아 보강방법은 기둥부재의 내진보강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폴리우레아 도자기 복원 재료의 적용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ly-Urea for Porcelain Restoration)

  • 한원식;위광철;오승준;이영훈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3-29
    • /
    • 2018
  • 도자기 복원을 위한 폴리우레아를 합성하여 메움제로 제조한 후 이를 도자기 보존 처리과정에 필요한 성형에 적용하였다. 합성된 폴리우레아는 이액 반응형 경화 재료로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축이 없고 무황변 소재로 제조되었다. $180kg/cm^2$의 접착 강도와 $200kg/cm^2$의 전단 강도를 비교하여 볼 때, 기존의 시판 에폭시 퍼티의 수준으로 제조되었으며, 구조상 유사 형태인 우레탄 복원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경화 시간과 가사 시간도 첨가되는 반응 촉매의 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었다. 현대 유물 복원에 사용된 조성의 폴리우레아의 경우 가사 시간 약 1 시간, 완전 경화 시간 ($T_{90}$) 12 시간 정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2{\times}2{\times}2cm$ 크기의 시편을 xylene에 첨가하였을 때 약 2 시간 후에서부터 분리가 시작되어 24 시간 후에는 용액 내에서 완전 분말화가 이루어져서 가역성을 나타내고 있었고 이를 직접 현대 유물에 적용하여 복원 가능성과 편리성, 채색성 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Poly(ethylene-co-acrylic acid)의 분산입자 제조와 그 필름의 요소 투과특성 (Urea Diffusional Characteristics of Film from Dispersion Based on Poly(ethylene-co-acrylic acid))

  • 유동국;안정호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90-97
    • /
    • 2001
  • Poly(ethylene-co-acrylic acid) (PEAA)를 암모늄과 나트륨의 두 가지 서로 다른 반대 이온을 사용하여 수분산 하고 이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에 대한 urea 수용액의 확산계수를 측정하고 필름의 물리, 화학적 구조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측정된 구조적 특징은 DSC에 의한 유리전이온도와 결정화도, WAXD에 의한 결정 및 이온성 클러스터의 구조, 그리고 FT-IR에 의한 carboxyl기의 존재 형태 등이었다. 결정성 고분자인 폴리에틸렌 이오노머의 투과특성은 반대이온의 종류나 중화도는 물론 필름형성시의 조건, 그리고 초기 입자의 크기와 같은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받음을 관찰하였다.

  • PDF

Poly(urea-formaldehyde)에 의한 페닐아세테이트의 미세캡슐화 (Microencapsulation of Phenyl Acetate with Poly(urea-formaldehyde))

  • 조예현;송영규;유환철;조성열;;유병철;정찬문
    • 폴리머
    • /
    • 제35권2호
    • /
    • pp.152-15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페닐아세테이트를 core 물질로 하고 poly(urea-formaldehyde)를 캡슐막 구성물질로 하는 미세캡슐의 제조에 있어서, 교반속도, core/shell 질량비, 계면활성제 농도, 반응시간 등의 고정변수가 캡슐의 크기, 막두께, 표면형태 등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FTIR 및 TGA에 의하여 원하는 미세캡슐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캡슐의 특성은 광학현미경과 FE-SEM을 사용허여 분석하였다. 교반속도의 증가에 따라 캡슐의 크기와 막두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캡슐막 구성물질 질량의 증가는 캡슐막의 두께와 막표면에 부착되는 나노업자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면활성제 농도의 증가에 의해 캡슐크기와 캡슐막 두께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연되었다. 반응시간을 증가시키면 캡슐의 수율과 막두께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Poly(ethylene oxide)-물, Poly(ethylene oxide)-요소 수용액에 대한 고유점도의 온도의존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Intrinsic Viscosities for Poly(ethylene oxide)-Water and -Aqueous Urea Systems)

  • 전상일;장귀동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748-755
    • /
    • 1996
  • 물과 요소 수용액에서 Poly(ethylene oxide)(PEO)의 구조 성질에 대한 온도의 효과를 보고한다. 물과 요소/물 혼합물 (요소 농도는 각각 0.2, 1, 2 M)에서 PEO에 대한 고유점도와 Huggins 계수의 값은 점도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졌으며, 이것을 물 구조 변화 관점에서 논의했다. 낮은 온도(22.deg.C이하)에서 PEO-물간 상호작용은 우세해 사슬은 펼쳐져있는 반면, 높은 온도(24.ang.C 이상)에서는 상호작용이 우세하지 못하고 사슬은 소수성 수화에 의해 어켜있게 된다. 즉,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PEO-물 상호작용은 우세하지 못하게 된다. 요소가 계에 가해짐에 따라 PEO사슬은, 우세하지 못한 PEO-물 상호작용으로부터 유발된 구조화된 물의 동요에 의해, 더 펼쳐지거나 거대해지게 된다. 고유점도 값에 대한 온도의 효과는 Arrhenius 행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점성 흐름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를 구해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