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On

검색결과 728건 처리시간 0.029초

누보 팝 아트 이미지 패션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les Nouveau Pop Art Image Fashion)

  • 이영희;김현미;장애란
    • 복식
    • /
    • 제61권5호
    • /
    • pp.106-122
    • /
    • 2011
  • The ultimat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fashion inspired by les Nouveau Pop Artic criticism and satirical factors is interpreted as concept of American Pop Art style, even though there is distinct difference between les Nouveau Pop Art style and American Pop Art style. We think that the reason causing the problem is that les Nouveau Pop Art is not familiar to the general public, even though it is getting attentions as trends treated by les Nouveau Pop Artists. Above all there is insufficient study to establish a theoretical system and a concrete concept on les Nouveau Pop Art. Therefore, this study is to set up the theoretical concept on les Nouveau Pop Art based on comparisons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s expressed les Nouveau Pop artists, and to draw the concept of les Nouveau Pop image fash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les Nouveau Pop Art Image Fashion is defined as "fashion design borrowing the concept and image from les Nouveau Pop Art and blending and consisting of the themes, characteristics and techniques from les Nouveau Pop Art.

K-POP 특성이 한류콘텐츠 호감도와 청취의도 및 한국제품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The effect of K-POP characteristics on the liking of Korean Wave content, the intention of listening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Targeting Chinese consumers)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201-210
    • /
    • 2017
  • 본 연구는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K-POP 특성이 한류 콘텐츠 호감도와 청취의도 및 한국제품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K-POP 특성을 음악적 특성과 스타(가수)특성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K-POP 특성중 음악적 특성과 스타(가수) 특성 모두가 한류 콘텐츠 호감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K-POP 특성중 음악적 특성과 스타(가수) 특성 모두가 K-POP 청취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K-POP 특성중 음악적 특성과 스타(가수) 특성 모두가 한류 콘텐츠를 통한 한국제품 구매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다만, K-POP 특성중 음악적 특성보다는 스타(가수)특성의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K-POP 소비증진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아시아국가에서의 K-pop 이용행동과 K-pop으로 인한 국가호감도 및 한국 방문의도 변화 (Impact of K-pop on Positive Feeling Towards Korea, Consumption Behaviour and 1Intention to Visit from other Asian Countries)

  • 김주연;안경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16-524
    • /
    • 2012
  • 최근 K-pop은 아시아 국가를 비롯해 전세계적인 인기를 구사하고 있다. 드라마를 중심으로 확산되던 한류는 2005 이후 아이돌그룹 가수들을 위시로 한 K-pop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한류 팬들의 한류 소비행태는 단순한 콘텐츠 소비를 넘어서서 한류스타의 모방뿐 아니라 한글을 배우는 등 보다 발전된 행동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K-pop의 주요 소비국인 중국, 일본, 태국, 베트남의 아시아 4개국을 대상으로 하여 K-pop 이용행동을 파악하고, K-pop을 좋아하는 이유를 파악하였다. 또한, K-pop이 한국에 대한 호감도와 한국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국가별 K-pop 이용행동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K-pop 선호요인과 국가호감도과 한국방문의도 간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향후 K-pop의 해외진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 of the Types of Sex-appeal Fashion POP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and Sensation Seeking

  • Park, Hyun Hee;Jeon, Jung O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5권1호
    • /
    • pp.64-71
    • /
    • 2014
  • This study empirically compares the influence of sex-appeal fashion Point-of-Purchase (POP) types on attitude towards advertising. It also highlights the moderating roles of gender and the level of sensation seeking. Three sex-appeal fashion POP types (nude/semi-nude/body conscious)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types of sex-appeal fashion POP advertising and gender was tested. In addition, interaction effect of the types of sex-appeal fashion POP advertising and the level of sensation seeking (high/low) was tested. The results found that gender influenced consumer attitudes toward sex-appeal fashion POP advertising type. Male consumers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for the nude type than others; however, female consumers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for semi-nude and body conscious type than the nude type. The results also found a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 effect of sexual POP advertising types and sensation seeking on attitude toward POP advertising. High sensation seekers preferred nude and semi-nude type POP advertising to body conscious POP advertising. It is useful to investigate how various marketing factors support attitude toward POP advertising in the context of sexual fashion POP advertising and which factors exert the strongest influence within different degrees of nudity.

[논문철회] 신한류 'K-POP'의 성공요인 분석과 한류 지속화를 위한 스마트미디어 활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Retraction] Success Factor Analysis of New Korean Wave 'K-POP' and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Smart Media to sustain Korean Wave)

  • 박현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129-135
    • /
    • 2020
  • 본 연구는 K-POP의 킬러컨텐츠가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현상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다른 문화 속에서 K-POP이 성공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고 그 중 소셜미디어를 비롯한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변화가 글로벌시대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여 K-POP의 지속가능 방안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외 실감컨텐츠 관련 제작사례를 탐구하여 K-POP의 잠재적인 지표 및 그에 따른 시장을 분석하고 컨텐츠 제작자, 플랫폼사업자, 네트워크 사업자, 가전사 등 효율적인 생태계 구축과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K-POP의 지속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K-POP한류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지속 발전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패션에 나타난 팝 아트의 영향 (Pop Art-Inspired Fashion)

  • 임은혁
    • 복식
    • /
    • 제55권1호
    • /
    • pp.13-24
    • /
    • 2005
  • Throughout the history of fashion and fashion collections, fashion design has been influenced by fine arts. Philosophy and concept of fine arts has been inspiration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which brings on the close interrelation between fine arts and modern fashion. In order to analyze the affect of fine arts such as Pop art on fashion this study inquires into new perspective that considers different social contexts on the premise that acknowledges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genre of fine arts and design. This study researches the influence of Pop art which has been inspiration on fashion designers since the birth in the 1960s and often appears in recent fashion trends. In view of the results achieved in this study, Pop art-inspired fashion does not concern the aesthetic contemplation of everyday life in western society anonymously as in Pop art but deals with pop art as new ideas in a way that adopts images randomly from designer's convenience which is equivalent to the conception of pastiche. In addition, it was inferred that Peter Pan syndrome exert influence as a mental process and Kidult trend operate on Pop art-inspired fashion as a social phenomenon.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formative features in Pop art-inspired fashion from Spring/Summer 2000 to Spring/Summer 2004 collection has been analyzed. The results fall on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those are the use of Pop color which resembles the Hard-edge technique in Pop art, direct appropriation of Pop art such as Andy Warhol and Roy Lichitenstein's works on clothes and accessories, adaptation of Pop art's subject using brand names of mass products or icons in mass culture as design motives, and application of representation method in Pop art such as Andy Warhol's silk screen techniques or Tom Wesselman's composition of pictures.

중국 내 K-pop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Intercultural Communication of K-pop in China)

  • 진성;홍성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548-559
    • /
    • 2019
  • K-pop은 1990년대 중국으로 유입된 후에 부침을 거듭하며 30년에 접어들었다. '한류' 현상을 일으킨 도화선으로서의 K-pop은 한국 대중문화를 대표하는 한 장의 명함이 되었고, '서양풍', '일본풍', '홍콩 대만 풍(港台 風)'에 이어 중국에서 열풍을 일으킨 하나의 대중문화로서 자리매김 하였다. 해외문화가 중국에 영향을 미친 영역이 넓고, 긴 시간 지속된 것은 지극히 드물어서 현대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전형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1988-2018년의 기간 동안 K-pop이 중국에 전파된 본말을 상세히 정리한 것을 이론적 기반으로, K-pop의 중국 내 전파 현황 전반에 대해 객관적인 평가를 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K-pop 문화가 중국 대학생 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중국인들의 시각에서 발전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것으로 중국 내 K-pop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이론적 기초와 시사점을 제공하려고 한다.

다각적 사례를 통해본 K-POP댄스의 독자적 존재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Independent Possibility of K-POP Dance through Various Cases)

  • 장소정;김찬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589-594
    • /
    • 2023
  • K-POP은 한류 열풍의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K-POP에서 K-POP댄스는 대중의 관심과 지지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따른 관객의 취향을 반영하고 있다. 더불어, 노래가사와 연상되는 포인트안무, 칼군무 등 다양하고 독창적인 안무형식을 지니고 있어 독자적으로도 위상을 드높일 충분한 가능성을 지닌다. 본 연구자는 K-POP댄스가 K-POP속에 포함되어 있는 요소가 아닌 독자성을 지니고 있음을 살펴보기 위해 K-POP댄스에 대한 관심사례를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K-POP댄스 존재의 의미를 다시 한번 규명해보고자 하였다.K-POP댄스는 다양한 사례로 대중매체를 통한 해외의 관심과 지지를 얻어 안무가의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그리고 <커버댄스>를 통해 다양한인종과 연령의 통합을 만들어내었다. 또한 교육으로까지 확장되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국가의 경제성장에도 지속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다. 더불어, K-POP댄스와 함께 한국적 문화와 예절을 알리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알리미 역할까지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자는 향후 K-POP댄스의 지속적인 성장과 독자적 독립을 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자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K-POP댄스 교육자와 안무가의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관객과 소비자 관점에서의 중국 K-pop 팬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hinese K-pop Fando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dience and Consumers)

  • 소하미자;장웅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1-64
    • /
    • 2021
  • K-pop 팬덤 중 중국 팬들은 지리적 인접성과 문화의 상대적 유사성으로 인해 K-pop 산업에 있어 매우 강한 소비력을 갖는 오래된 소비자 집단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의 K-pop 팬덤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부진한 실정인데, 있다 하더라도 K-pop 제작자 혹은 생산자의 입장에서 기술된 연구가 많아, 관객이자 소비자인 중국인 팬들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한 연구는 심각하게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심층 인터뷰 및 참여관찰을 통해 K-pop의 관객이자 소비자인 중국 팬들의 팬덤 경험을 톺아보았다. 이를 통해 중국 팬들의 심리적 특성과 행위적 특성, 그리고 격동하는 외부환경에 대한 팬들의 대응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들의 입장에서 K-pop 문화의 발전에 관한 기대와 의견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K-pop 문화와 산업의 발전에 있어 주체적 개인으로서의 팬(independent fan)과 상호의존적 집단으로서의 팬덤(interdependent fandom)의 역할과 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팬들과 K-pop 아티스트, 그리고 기획사/소속사 간의 소통 및 신뢰의 구축을 촉진하는 기획사/소속사의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로서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