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us alba-glandulosa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3초

P. alba × glandulosa와 그 양친(両親)의 Pollen Mother Cell의 Meiosis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Meiosis of PMC's in P. alba × glandulosa and Their Parents)

  • 정현배;전상근;김말숙;김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1-61
    • /
    • 1979
  • 교배(交配) 모수(母樹)인 P. alba화분(花粉) 모수(母樹)인 P. glandulosa 및 그의 잡종(雜種)인 ${\times}$P. albaglandulosa에 관(關)한 화분모세포(花粉母細胞)의 감수분열(減數分裂)에 있어 염색체행동(染色体行動)과 대합(對合) 현상(現象)에 관(關)해 조사(調査)하였다. 1. Metaphase II에서 Earyl separation chromosome을 갖는 핵판(核板)이 가장 적은 개체(個体)는 P. glandulosa로 11.0%며 ${\times}$P. albaglandulosa는 13.0%로 가장 높았다. 2. Metaph se II에서 ${\times}$P. albaglandulosa는 11.0%의 Early separation chromosome이 출현(出現)했으나 양친양친수(兩親兩親樹)와 차이(差異)는 없었다. 3. Anahase I에서 Lagging chromosome의 출현율(出現律)은 ${\times}$P. albaglandulosa가 다소(多少) 높아 11.6%로 나타났으며 chromosome bridge에서는 양친수(兩親樹)와 거의 차(差)가 없었다. 4. Anaphase II때 Lagging chromososome은 ${\times}$P. albaglandulosa에서 다소(多少) 높은 빈도(頻度)로 10.2%였으며 chromosome bridge P. glandulosa에서 가장 높은 빈도(頻度)로 출현(出現)하였다. 5. Abnormal pollen sporad는 ${\times}$P. albaglandulosa에서 가장 많이 출현(出現)하여 8.2%를 나타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 P. alba, P. glandulosa 및 ${\times}$P. albaglandulosa는 화분모세포분열(花粉母細胞分裂)에 있어서 염색체분열접합(染色体分裂接合)이 정상적(正常的) 행동(行動)을 하고 있어 결국(結局) 정상(正常) 화분형식(花粉形式)을 행(行)하는 수종(樹種)이라 결론(結論)할 수 있다.

  • PDF

Populus alba × P. glandulosa 및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기공빈도(氣孔頻度), 기공(氣孔)크기 및 수분증산(水分蒸散)의 변이(變異)와 유전(遺傳) (Variation and Heredity of Stomatal Frequency, Stomatal Size and Transpiration in Populus alba × P. glandulosa and Its Parents)

  • 손두식;김광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5권1호
    • /
    • pp.51-54
    • /
    • 1986
  • P. alba ${\times}$ P. glandulosa는 산록부(山麓部)에서는 잘자라나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부족한 산복(山腹) 이상(以上)에서는 잘자라지 않는 것은 수분요구도(水分要求度)가 높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수분요구도(水分要求度)와 기공빈도(氣孔頻度), 기공(氣孔)크기 및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과 일치(一致)하는지를 조사(調査)하고 이러한 형질(形質)이 차대(次代)에 어느 정도 유전(遺傳)하는지를 알고저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엽리면(葉裏面)의 기공빈도(氣孔頻度)(number/$mm^2$), 기공(氣孔)길이 및 폭과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g/dm^2$)은 P. alba 는 높고 P. davidiana가 가장 낮았으며 P. alba ${\times}$ P. glandulosa 는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중간수치(中間數値)를 나타내었다. P. alba ${\times}$ P. glandulosa의 기공빈도(氣孔頻度)는 교배양친평균(交配兩親平均)인 이론치(理論値)와 일치(一致)하므로 교배양친(交配兩親)의 중간(中間)을 나타내고,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에서도 교배양친평균(交配兩親平均)과 P. alba ${\times}$ P. glandulosa 간에 회귀계수(回歸係數) $b_{yx}=0.97$로서 높은 회귀계수(回歸係數)를 나타내어 P. alba ${\times}$ P. glandulosa 의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은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중간(中間)을 나타내며 기공(氣孔)크기에서도 교배양친(交配兩親)의 중간(中間)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성(特性)은 불완전우성(不完全優性)으로 간주된다. P. alba ${\times}$ P. glandulosa와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에서 기공빈도(氣孔頻度), 기공(氣孔)크기 및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은 토양수분(土壤水分)의 요구도(要求度)와 일치(一致)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남(全南) 모후산지역(母后山地域) 굴참나무천연림(天然林)과 현사시나무인공림(人工林)의 물질생산(物質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a Natural Quercus variabilis Forest and a Populus alba × P. glandulosa Plantation at Mt. Mohu Area in Chonnam)

  • 최영철;박인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2호
    • /
    • pp.188-194
    • /
    • 1993
  • 임령(林齡) 및 환경조건(環境條件)이 유사한 굴참나무천연림(天然林)과 현사시나무인공림(人工林)의 물질생산(物質生産)을 조사(調査)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전라남도(全羅南道) 모후산지역(母后山地域) 순천대학교(順天大學校) 연습림(演習林)에 위치하고 있는 평균(平均) 20년생(年生) 굴참나무천연림(天然林)과 17년생(年生) 현사시나무인공림(人工林)을 대상으로 각각 $20m{\times}30m$ 조사구를 설치하고 10주씩의 표본목을 선정한 후 뿌리를 제외한 지상부(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 순생산량(純生産量) 등을 조사하였다. 수종별(樹種別), 부위별(部位別) 현존량(現存量) 추정식(推定式)을 유도 검정한 결과 흉고직경(胸高直徑)(D)과 수고(樹高)(H)를 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하는 상대성장식(相對成長式)(logWt=A+BlogD+ClogH)이 흉고직경(胸高直徑)만을 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하는 상대성장식(相對成長式)(logWt=A+BlogD)에 비하여 적합도(適合度)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분(林分) 전체(全體)의 지상부(地上部) 현존량(現存量)은 현사시나무림이 55,581kg/ha로서 굴참나무림의 31,275kg/ha보다 1.8배 정도 많았다. 부위별(部位別) 현존량(現存量) 구성비(構成比)는 굴참나무림과 현사시나무림 모두 줄기의 목질부(木質部), 가지, 수피(樹皮), 잎의 순(順)으로 높았으나, 굴참나무림의 경우 현사시나무림에 비하여 수피(樹皮), 가지, 잎의 구성비(構成比)는 높은 반면 줄기의 목질부(木質部) 구성비(構成比)는 낮았다. 임분(林分) 전체의 지상부(地上部) 순생산량(純生産量)은 굴참나무림이 4,267kg/ha/yr.이었으며 현사시나무림은 3,903kg/ha/yr.이었다. 부위별(部位別) 순생산량(純生産量) 구성비(構成比)는 굴참나무림의 경우 잎, 줄기의 목질부(木質部), 가지, 수피(樹皮)의 순으로 높았으며 현사시나무림은 줄기의 목질부(木質部), 잎, 가지, 수피(樹皮)의 순이었다. 순동화율(純同化率)은 현사시나무림이 3.376으로서 굴참나무림의 2.121보다 1.6배 정도 높았으며, 잎의 줄기 생산능률(生産能率)의 경우 현사시나무림이 굴참나무림에 비하여 2.4배 정도 높았다. 현사시나무림은 굴참나무림에 비하여 순동화율(純同化率)이 높은 반면 잎의 현존량(現存量)이 적기 때문에 지상부(地上部) 전체 순생산량(純生産量)은 적었으나, 지속적 축적기관(蓄積器官)인 줄기의 목질부 순생산량(純生産量)이 많기 때문에 임분(林分) 현존량(現存量)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양돈폐수처리시 포플러의 수액이동과 생장반응 (Sapflow Change and Growth Response of Poplar Species under Swine Wastewater Irrigation)

  • 이으뜸;우수영;여진기;구영본;전승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740-747
    • /
    • 2009
  • 본 연구는 식물을 이용한 양돈폐수 제거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두 종류의 포플러(Populus alba ${\times}$ Populus glandulosa과 Populus euramericana)를 양돈폐수 관수를 한 결과 실험기간 동안에(총 14개월) 이태리포플러(Populus euramericana)는 현사시(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 보다 1.8배 많은 양의 수액이동을 하였다. 총 이동한 수액의 양은 각각 이태리포플러가 4,628L, 현사시가 2,538L였다. 수액이동 활동이 계절에 따라서 두 수종 모두 달라지는 결과를 얻었다. 기온과 일사량이 높을 때 수액의 이동 또한 활발해지고, 기온과 일사량이 낮을 때 수액이동 활동이 낮았다. 두 수종 모두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는 10월말 이후에 수액이동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수액이동량과 상대습도와의 관계를 보기 위한 회귀분석을 한 결과 특히 이태리포플러의 경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액이동과 광합성능력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태리포플러는 광합성률의 증가와 급격한 수액이동을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서 현사시는 광합성률과 수액이동의 증가율이 낮았다.

Populus alba × P. glandulosa의 4가지 Isozyme (GOT, ACP, MDH, ADH)의 유전(遺傳) (Inheritance of four Isozymes(GOT, ACP, MDH, and ADH) in Populus alba × P. glandulosa F1 Hybrids)

  • 손두식;주성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90-98
    • /
    • 1985
  •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의 유전변이(遺傳變異)를 조사(調査)하기 위해 GOT, ACP, MDH, ADH의 isozyme을 starch gel에 의한 수평식(水平式)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으로 조사(調査)하였다. 염색결과(染色結果) 4종류(種類)의 동위효소(同位酵素)에 모두 band가 나타났으며 GOT의 band는 6 - 7 loci로 구분(區分)되고, 이 중 변이(變異)를 보인 다섯 loci에서 양친수(兩親樹)의 유전자형(遺傳子型) 추정(推定)에 의한 차대(次代)의 분리비(分離比)는 이론치(理論値)와 관찰치(觀察値)가 거의 일치(一致)하였다. ACP에 있어서 두 개의 locus가 있는 것으로 추정(推定)되며 A-zone은 monomorphic하게 나타났고, B-zone에서는 P. alba는 band가 없고 P. alba ${\times}$ P. alba는 $B_1$-band가 있으므로 교잡종(交雜種)에서 현사시나무 2호가 1호보다 유전변이(遺傳變異)가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MDH는 변이(變異)가 없는 한 개 유전자좌(遺傳子座)와 변이(變異)가 있는 두 개의 유전자좌(遺傳子座)가 확인되었다. ADH는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가 각각(各各) 한 개의 다른 A-band만 나타내나 차대(次代)는 모두 3개의 band를 나타내어 양친수(兩親樹)는 homozygote, 차대(次代)는 heterozygote로 추정(推定)되고 중간(中間) band가 나타남으로 dimer로 판단되었다. 교배모수(交配母樹)인 은백양과 화분수(花粉樹)인 수원사시나무는 4가지 enzyme에 있어서 클론간(間)에 모두 변이(變異)가 없었다.

  • PDF

Populus tomentiglandulosa와 P. glandulosa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Studies on the Taxonomical Characters in Populus tomentiglandulosa and P. glandulosa)

  • 김삼식;김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21
    • /
    • 1981
  • 자연잡종(自然雑種)으로 알려진 Populus glandulosa와, P. tomentiglandulosa에 대(対)하여 그의 잡종성(雑種性)과 분류학적(分類學的) 위치(位置)를 구명(究明)하기 위(為)하여, 형태(形態), 생리(生理), 및 핵학적(核學的)인 조사(調査)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접(接), 삽목(揷木)의 활착력(活着力)은 잡종간(雑種間)에 차이(差異)있고, 삽목발근력(揷木発根力)은 불완전(不完全) 우성(優性)이다. 2. 개엽성(開葉性)은 부완전(不完全) 우성(優性)이고 착엽성(着葉性)은 P. alba ${\times}$ glandulosa와 P. tomentiglandulosa가 강(強)하다. 3. $KClO_3$에 대(対)한 항독성(抗毒性)은 잡종간(雑種間)에 차(差)가 있다. 4. 엽(葉)의 많은 외부(外部) 형질(形質)들은 불완전(不完全) 우성(優性)이고, P. tomentiglanaulosa는 P. alba ${\times}$ glanaulosa와, 그리고, P. glandulosa는 P. davidiana와 P. alba와의 정(正), 역(逆) 또는 back cross hybrid와 유사(類似)하다. 5. 웅화수(雄花数)는 불완전(不完全) 우성(優性) 또는 잡종강세(雑種強勢) 현상(現象)을 하고, P. tomentiglandulosa는 P. alba ${\times}$ glandulosa와 그리고, P. glandulosa는 P. alba ${\times}$ davidiana 또는 P. davidiana ${\times}$ alba와 수(数)가 근사(近似)하다. 6. male catkin의 포(苞)의 형태(形態)와 대색(帶色)은 불완전(不完全) 우성(優性)이고, P. glandulosa는 P. alba ${\times}$ davidiana에, 그리고 P. tomentiglandulosa는 P. alba ${\times}$ glandulosa와 유사(類似)하다. 7. 엽병(葉炳)의 유관속(維管束)의 수(数)와 배열형(配列型)은 잡종간(雑種間)에 차이(差異)가 있고 잡종(雑種)들은 복잡(複雜)한 형(型)을 하고 있다. 8. 유경(幼莖)의 해부학적(解剖學的) 성질(性質)은 잡종간(雑種間)에 차(差)가 없으나, 목섬유(木纖維)의 크기는 차(差)가 있다. 9. metaphase I과 II에 있어, 인공(人工) 잡종(雑種)과 P. glandulosa 또는 P. tomentiglandulosa는 염색체(染色體) 행동(行動)이 불규칙(不規則)하였다. 10. metaphase I에서 잡종(雑種)과 P. glandulosa 그리고 P. tomentiglandulosa는 19II의 핵판(核板)이 적고, 일가(一価) 염색체(染色体)가 다수(多数) 출현(出現)한다. 11. anaphase I과 II에 있어, laggard chromosome과 chromosome bridge가 있는 이상핵판(異常核板)이 잡종(雑種)과 P. glandulosa 그리고 P. tomentiglandulosa에서 다수(多数)히 출현(出現)하였다. 12. pollen tetrad와 임성화분(稔性花紛)의 출현율(出現率)이 잡종(雑種)과 P. glanaulosa, 그리고, P. tomentiglandulosa에서 낮았다.

  • PDF

Populus alba×P. glandulosa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생장(生長)에 대한 유전변이(遺傳變異)의 추정(推定) (Estimates of the Genetic Variation in the Height Growth of the Parents of Populus alba×P. glandulosa)

  • 손두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27-33
    • /
    • 1982
  • Populs alba${\times}$P. glandulosa의 우수(優秀)한 교잡종(交雜種)을 육성(育成)하기 위해서 형질(形質)이 우량(優良)한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를 선발(選拔)해야 하므로 이들 양친수(兩親樹)에 대한 유전분산(遺傳分散)과 유전력(遺傳力)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교배모수간(交配母樹間)에 유전분산(遺傳分散)은 크고 유전력(遺傳力)은 83%로서 높은 편이었다. 즉, P. alba(토착종(土着種))보다는 P. alba(토착종(土着種))${\times}$alba (이태이(伊太利))의 형질(形質)이 우수(優秀)하고 화분수(花粉樹)인 P. glandulosa는 유전변이(遺傳變異)가 좁고 유전력(遺傳力)도 17% 밖에 되지 않았다. 즉 화분수(花粉樹)의 두 개체(個體)(A와 B)는 같은 형질(形質)을 나타내고 수목원(樹木園)(C)에 있는 것은 다소 형질(形質)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삽목발근률(揷木發根率)에서도 위의 결과(結果)와 같이 교배모수간(交配母樹間)에 차이(差異)가 있고 화분수간(花粉樹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P. alba(토착종(土着種))가 P. alba(토착종(土着種))${\times}$ alba(이태리(伊太利))를 교배모수(交配母樹)로 한 것보다 삽목발근률(揷木發根率)이 높고 화분수(花粉樹)인 P. glandulosa의 두 화분수(花粉樹)(A와 B)는 같으나 수목원(樹木園)(C) 것은 약간 떨어지는 편으로 두 화분수(花粉樹)와는 형질(形質)이 다소 다른 것 같다.

  • PDF

토양수분(土壤水分)이 Populus alba × P. glandulosa 및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삽목발근(揷木發根)과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Soil Moisture Content Affecting Rooting of Cutting and Height Growth of Populus alba × P. glandulosa and Parents)

  • 손두식;신종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74-78
    • /
    • 1984
  • P. alba ${\times}$ P. glandulosa 및 P. glandulosa의 삽목발근(揷木發根)과 생장(生長)에 가장 적합한 Soil water potential (${\Psi}_s$)은 -0.05 bars이었고,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적합할 때는 생장(生長)이 양호(良好)하였으나 ${\Psi}_s$=-0.5bars 이하(以下)에서는 모두 불량(不良)한 생장(生長)을 하였고 수종간(樹種間)에 큰 차(差)가 없었다. 특(特)히 P. alba ${\times}$ P. glandulosa는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충분할 때는 생장(生長)에 대한 잡종강세(雜種强勢)의 현상(現象)이 나타났으나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부족할 때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aspen은 삽목발근(揷木發根)이 전연(全然) 안되는데 반하여 P. glandulosa는 삽목발근율(揷木發根率)이 낮기는 하지만 23%나 되는 것은 P. alba의 삽목발근인자(揷木發根因子)가 유인(流人)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P. glandulosa는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으로 사시나무와 은백양의 잡종으로 간주하고 있다. 또한 생장(生長)도 은백양과 사시나무의 중간 정도이며 토양수분(土壤水分)에 대한 생장(生長)의 민감도는 은백양과 비슷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P. glandulosa가 은백양과 사시나무의 자연잡종임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 PDF

1년생 현사시 및 양황철의 물질생산 및 재질특성 (The Yield and Wood Quality of 1-year-old Hybrid Poplars : Populas alba X P. glandulosa $F_1$ and Populus nigra var. italica X P. maximowiczii $F_1$ Clones)

  • 노의래;김영모;전계상;심상영
    • 임산에너지
    • /
    • 제1권2호
    • /
    • pp.1-19
    • /
    • 1981
  • In order to investigate biomass yield of one-year-old hyblrid poplars, Pripulusalba x P. glandulosa $F_1$ and Populus nigra var. italica x P. maximowiczii $F_1$clones, as energy and fiber resources, dry matter yield, leaf area, leaf area index, dry matter production ability, specific gravity and fiber length and width were measured. Dry matter yield was 1.89 ton/ha for Poplus alba x P. glandulosa $F_1$ and 3.63 ton/ha for Populus nigra via.italica x P. merximowiczii $F_1$ clones in the planting density of 20,000 trees/ha and in the planting density of 40,000 trees/ha was 3.87 ton/ha for Populus alba x P. glandulosa $F_1$and 5.64 ton/ha for Populus nigra var. italica x P. maximowiczii $F_1$ clones. Leaf area index was 1.24mtim2 in the planting density of 20,000 trees/ha and 2.45 m31m3 in the density of 40,000 trees/ha for Populus alba x P. glandulosa $F_1$ clones and it was 1.96 m21m2 in the planting density of 20,000 trees/ha and 3.36 m21m2 in the density of 40,000 trees/ha for the hybrid $F_1$ Populus nigra var. italica x P. maximowiczii clones. The average specific gravity of the hybrid poplars was 0..36 when bark and pith were included and 0.31 when bark and pith were removed in the plot of 20,000 trees/ha and in the 40,000 trees/ha plot showed 0.35 and 0.31 respectively, for Populus alba x P. glandulosa $F_1$clones. It was 0.36 when bark and pith were included and 0.32 when bark and pith were removed in the 20,000 trees/ha plot and in the 40,000 trees/ha plot was 0.34 and 0.31 respectively for Populus nigra var. italica x P. maximowiczii $F_1$clones. The average fiber length was 0.57 mm in the 20,000 trees/ha plot and 0.58 mm in the 40,000 trees/ha plot for Poplus alba x P. glandulosa $F_1$clones and was 0.60 in both plots of 20,000 trees/ha and 40,000 trees/ha for Populus nigra var. italica x P. maximowiczii $F_1$ clones. There is a big clonal variation among those clones studied, showing high selection potential in both species.

  • PDF

현사시와 박달나무의 Pb 흡수능력(吸收能力) 및 내성(耐性) (Uptake and Tolerance to Lead in Populus alba × glandulosa and Betula Schmidtii)

  • 여진기;김인식;구영본;이재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5호
    • /
    • pp.600-607
    • /
    • 2001
  • 본 연구는 Pb로 오염된 토양의 phytoextraction을 위해 현사시 (Populus alba ${\times}$ glandulosa)와 박달나무(Betula schmidtii)의 Pb의 흡수능력 및 이에 대한 내성을 조사하였다. 종자로 양묘한 박달나무 및 삽목으로 증식한 현사시 묘목을 화분에 식재 후 Pb를 함유한 수용액으로 관수하였다. 이들 2수종은 $Pb(NO_3)_2$ 농도 800ppm이상의 처리구에서 생장량 감소가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Pb는 식물체의 뿌리에 축적되었고, 극히 일부분만이 식물체의 지상부위로 이동되었다. 박달나무와 현사시의 Pb의 지상부 전위율은 각각 1.6~2.6%와 1.2~1.6%로 나타났다. 지상부 수체의 최대 Pb 함량은 현사시의 경우 468.0mg/kg, 박달나무는 602.0mg/kg 이었다. Pb에 대한 내성은 박달나무가 현사시에 비해 일반적으로 높은 경향이었으나, 현사시 72-16호 클론은 전체 클론 중에서 가장 높은 내성을 보였다.Biomass 생산과 Pb 흡수능력을 고려하여 이들 두 수종의 phytoextraction을 위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