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ve Parenting Attitude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5초

어머니와 아동의 기질과 양육태도 관계 연구 (Associations between Mother and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Attitude)

  • 유경;김락형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8-43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temperament and child's and parenting attitude. Methods: One hundred twenty healthy mothers (above 20 ys) who has a child (7-11 ys) participated after informed consent. The temperament of the children was analyzed by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7-11 (JTCI 7-11) by their mothers. The temperament of the mothers was analyzed by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Revised Short (TCI-RS) and the parenting attitude of the mothers was analyzed by the Parenting Attitude Test (PAT). The relations between mother and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attitude were assess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re were som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temperaments and child's temperaments and maternal parenting attitude. Maternal temperament and parenting attitude: Novelty seeking (NS) of mother had l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punishment, high expectation and inconsistency. Harm avoidance (HA) had l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high involvement and high expectation, and had weak negative correlations with supportive expression and rational explanation. Reward dependence (RD) had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rational explanation. Persistence (P) had l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supportive expression, rational explanation and superintendence, and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high expectation. Child's temperament and parenting attitude: NS of child had l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hievement press, high involvement, punishment, high expectation and inconsistency. Low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in many sets such as HA and high expectation, RD and supportive expression and rational explanation, P and supportive expression and rational explan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mother and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attitude the temperament of mother and child.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양육태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Personal, Home, and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o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 이수정;이기성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21-3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양육태도(긍정적 양육태도, 부정적 양육태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이들 영향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21 자료의 중학교 1학년 2,23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부모양육태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양육태도는 정적(+), 부정적 양육태도는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부모 양육태도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양육태도는 정적(+), 부정적 양육태도는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그릿은 진로적응성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부모양육태도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는 긍정적 양육태도와는 완전매개효과, 부정적 양육태도와는 부분매개효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중학생의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공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공동체의식에 따라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the Multicultural expropriation of University student According to Community Spirit)

  • 우안순;박봉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89-19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가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7차 년도 자료를 기준으로 대학교에 입학한 1학년 학생 1,336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다문화 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양육태도는 다문화 수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 의식은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와 다문화 수용 사이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다문화 수용을 높이고, 긍정적 양육 태도와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시하였다.

융복합시대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팬덤활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요인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Fandom Activities in the Times of Converg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and Life Satisfaction)

  • 백진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453-46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시대의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팬덤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심리적 요인 및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수간의 경로분석 모형을 살펴보았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팬덤활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반해, 긍정적 양육태도는 팬덤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심리적 요인에 부적, 삶의 만족도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양육태도는 심리적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삶의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심리적 요인은 청소년의 팬덤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삶의 만족도는 팬덤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요인은 긍정적 양육태도와 팬덤활동 간에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으며, 부정적 양육태도와 팬덤활동 간에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자녀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maternal family-of-origin experiences :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value of children)

  • 신건호;심혜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27-237
    • /
    • 2018
  • 본 연구는 자녀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3세-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47명을 대상으로 원가족 경험, 양육태도, 자녀가치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가족 경험은 자녀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어머니의 자녀가치 역시 양육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가족 경험은 양육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녀가치는 원가족 경험과 양육태도 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원가족 경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긍정적 자녀가치를 갖게되고, 자녀가치는 곧 양육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긍정적 자녀가치를 형성할 수 있는 다각적 방안과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공동양육자인 아버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대인관계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 오복숙;원유순;함승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06-11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느끼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긍정적 양육태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양육태도는 대인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공격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공격성요인은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넷째, 공격성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는 및 대인관계 간에 있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Intention of School Dropou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Mediating Effect of Biculture Acceptance)

  • 우안순;백진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379-38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양육태도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MCAPS) 6차년도 자료 중 다문화청소년 1,323명을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활용해 경로분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이중문화수용태도가 학업중단의도를 감소시키는데 반해, 부정적 양육태도는 학업중단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중문화수용태도는 긍정적 양육태도와 학업중단의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정적 양육태도와 학업중단의도 간의 관계에서도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를 높이고 학업중단의도를 예방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초등학생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 (A Study on Parenting Attitude and Stres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hers)

  • 고효정;권윤희;김민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5-224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parenting attitude and stres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her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206 mothers of students. The measurement instrument was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Korean-version MBTI and PSI test.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5th to April 15th, 2008. Results: Among personality types by function, ST type was most, occupying 60.2%. Among personality types by temperament, SJ type was most, occupying 59.2%. The score of affective attitude was highest among the parenting attitudes. Parenting attitud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education, economic status, number of children, planned pregnancy, factor of stress, and family type.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lanned pregnancy and factor of stress. In parenting attitudes by personality types, affective attitud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by func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ffective and autonomic attitudes and parenting stres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jective attitude and parenting stress. Conclusion: It would be essential to provide dynamic developmental programs for increasing the children's social ability, and nursing interven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for decreasing parenting stress through understanding mothers' personality type.

  • PDF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휴대전화 의존도를 매개로 하여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 on Adolescents' Offenses : The Mediating Effects of Mobile phone Dependency)

  • 김지윤;강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9-52
    • /
    • 2017
  •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휴대전화 의존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1,2,3차년도 조사에 총 2,086명의 중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포함하였다. 첫째,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는 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매개변수인 휴대전화 의존을 줄이는 것으로, 부정적인 양육태도는 휴대전화 의존을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트스트랩핑 방법을 통해 휴대전화 의존도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휴대전화 의존은 청소년 비행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 각각의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휴대전화 의존도와 청소년 비행을 줄이는데 부모의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것을 바탕으로 정책적, 실천적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According to Parental Adult Attachment Style

  • Kim, Do Hoon;Kang, Na Ri;Kwack, Young Soo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0권1호
    • /
    • pp.17-25
    • /
    • 2019
  • Objectives: We ai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between different adult attachment styles. Methods: Forty-four parents who completed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were enrolled in our study. They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Revised, Korean-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and Symptom Checklist-90-Revised. Results: The avoidant attachment sco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ress. The anxious attachment scor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ing stress, hostile parenting attitude, and psychopathology, but a negative association with an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The secure attachment group exhibited a more autonomous,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and a less hostile parenting attitude and less parenting stress than the insecure attachment group. Dismissing-avoidant attachment par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parenting stress scores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Preoccupied and fearful-avoidant attachment parents displayed a more hostile parenting style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Dismissing-avoidant and preoccupied parents reported a les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depending on the adult attachment style. More specific education and interventions based on parental attachment type are necessary for pa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