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6초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 수업에서 청소년들의 비판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의사결정 능력의 차이 (The differences in adolescents' decision making abilit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ritical thinking in terms of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of Home Economics)

  • 장윤옥;김성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3-14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 생활' 단원의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수업에 있어 비판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의사결정능력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 K여고 147명의 학생들로 2개 학급 학생들에게는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고, 3개 학급 학생들에게는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을 4주간에 걸쳐 학급별로 총 8차시의 실험수업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자료 분석은 적률상관관계 분석과 이원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수업을 받은 청소년이 전통적 강의식 가정과수업을 받은 청소년보다 대안단계와 가치단계에서의 의사결정능력이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력 수준이 높은 청소년이 낮은 청소년보다 평가단계의 의사결정능력이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판적 사고력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는 강의식 수업이 평가단계의 의사결정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이나 비판적 사고력 수준이 낮은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는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이 평가 단계의 의사결정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actical Problem Ba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by High School Students)

  • 최성연;채정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3호
    • /
    • pp.283-300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practical problem ba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prevention school violence by high school studen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Develop the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each protective factor both in teaching method aspects and learning content aspects during the 29-period of lesson plans. 2)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 in the changes of pre- and post- impulsivity and aggression, self-esteem, empathy and attitudes to school violence after implementing home economics lesson plans. 3) Evaluate the instru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8 first grade students (124 male and 164 female students). The study utilizes a quasi-experimental pre-post design.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 by the paired t-test results showed that the aggression and impulsivity by the learners had been lowered; however, empathy and self-esteem increased; in addition, learners'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had changed positively. In conclusion, self-esteem in school as sub-variables of self-esteem increased;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열처리와 인장시험 실기수업이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practical skill instruction of the heat treatment and the tensile strength test to improve the key competencies)

  • 김익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수업을 공업계 고등학교 열처리와 인장시험 실기수업에 적용하여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의 실기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수업 모형을 구안 적용하였다. 둘째,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내 외 관련 문헌을 분석 고찰하여 이를 근거로 공업계고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직업기초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은 학생들이 실생활의 비 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업형태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 과정, 즉 계획,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쳐 학생이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에서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이 중에서도 문제해결 및 발표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남녀 고등학생이 인식안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수업의 효과 (Effects of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Perceived by Both Female and Male High School Students.)

  • 윤복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51-166
    • /
    • 199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PPBHEI) perceived by female and male high school students. One Group post-test only design was used in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study was 101(67 male and 34 female) second grade students of a high school in Kyung Kee Area. The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had been conducted to the group during the 14th weeks of 1997 spring semester. Post-test including the two parts was conduc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instrument of the study was developed and used,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after testing validity and reliability by the researcher.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open-ended question. The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both female and male respondents indicated PPBHEI helped to improve their friendships(93.1%), expression skills(69.3%), their thinking ability(82.1%), and problem soiving skills(76.2%); 2)both female and male respondents indicated that problems of PPBHEI were that a few students didn't like joining the class and classroom space was too small; and 3)half of students(52.3%) perceived the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related to student achievement.

  • PDF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의복 관리와 재활용'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PPBHEI) on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Focusing on the Content on "Clothing Management and Recycling")

  • 배자영;심현섭;채정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3호
    • /
    • pp.401-41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PPBHEI) on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focusing on the content on "clothing management and recycling." This study carried out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an independent variable of PPBHEI and a dependent variable of creativity. The experiment was based on a sample of 62 (31 in each group) second grade students in the Cheongju area over four class hours. ANCOVA was performed to examine pre-test and post-tes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PPBHEI did not improve the level of creativity but improved the level of creative motivation among the sub-elements of creativity (creative thinking, creative tendency, creative motivation). In particular, PPBHEI improved the level of independence in creative tendency, intrinsic motivation, and diligence in creative motiva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PPBHEI is effective in improving independence, intrinsic motivation, and diligence in respect of middle school students'creativity.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 (A model of the practical skill instruction of the special subject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technical high schools)

  • 김익수;문대영;류창열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0
    • /
    • 2006
  •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와 산업 현장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수업의 새로운 접근을 위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일, 학습, 삶이 상호연관 되는 질 높은 실기 수업을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고등학교에 적합한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의 실기수업에 적합한 문제해결 과정에 관한 국내 외 관련 문헌을 분석 고찰하고 둘째, 문제중심학습에 관한 국내 외 관련 문헌을 분석 고찰하여 이를 근거로 공업계고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을 구안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은 학생들이 실생활의 비 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업 형태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 과정, 즉 계획,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쳐 학생이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형태를 의미한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에서 교사는 문제의 설계, 문제해결을 촉진하는 질문과 언어적 개입이 요구되며, 힌트와 조력을 하는 코치 역할과 Think Aloud을 이용한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인지적 모델링 역할이 요구된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문제 중심 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은 학습동기 유발 및 자기 주도적 학습과 협동적 학습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한국 민간경호원 교육프로그램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ing Instruc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Korean Private Security Guard)

  • 이상철;신상민
    • 시큐리티연구
    • /
    • 제9호
    • /
    • pp.201-235
    • /
    • 2005
  • 본 연구는 민간경호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민간경호원과 국내${\cdot}$외 경호업체 및 기관의 교육훈련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도출된 문제점을 토대로 교육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 모델을 설정함으로써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체제를 구축하는데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기본적으로는 국내외에서 발간된 문헌과 학술지 및 연구논문 등과 같은 문헌자료의 수집${\cdot}$분석을 하였고, 실증적인 자료 활용을 위해서 인터넷과 국내${\cdot}$외 관련협회, 학회, 기관, 경찰청 및 인터폴의 협조를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국내 민간경호업체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민간경호업체 실무자 인터뷰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국내 민간경호업체에서는 교육훈련 프로그램 계획시 이론교육을 최소화하고 실무 중심적 교육으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설정해야 하고, 이론교육 또한 실무 교육과 연계된 교육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민간경호원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교육과목은 이론 교육으로는 경호, 개론, 경호 계획, 정보 수집, 민간경비, 경호 방법, 테러 및 테러리즘, 관련 법령, 경호 심리, 전자 보안, 경호 분석 기법, 기업 소개, 직업관에 관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실무 교육으로는 선발 및 예방 경호, 근접수행 경호, 차량 경호, 경호 운전, 경호무도 및 호신술, 응급 처치, 경호 장비, 총기류 및 사격, 경호 의전, 고객 만족, 시설보안 및 경비, 소방 교육, 팀워크 훈련, 폭발물 및 위험물, 체력 단련, 문서 작성 실무, 봉사 활동, 외국어 교육에 관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 PDF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초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설계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Practical Problem-Based Learning in Practical Arts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Model)

  • 이은영;최지연;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5-175
    • /
    • 2019
  • 본 연구는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설계할 때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업을 설계하는데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단계를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가 되는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고찰, 수업설계 모형에 대한 문헌 고찰,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분석 등이 이루어졌다. 설계 단계에서는 분석단계의 문헌 고찰을 통해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단계와 하위요소 등의 내용을 선정하고, 템플릿을 구안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설계 단계에서 디자인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개발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초안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통해 모형을 수정·보완하고, 최종적으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을 완성하였다. 연구 결과,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은 '목표 설정하기, 평가 계획하기, 학습활동 계획하기'의 3단계로 구성된 모형의 초안에서 전문가 검증을 거쳐 '실천적 문제 설정하기, 목표 설정하기, 평가 계획하기, 학습활동 계획하기'의 4단계로 최종적으로 모형을 수정·보완하였다.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은 전문가 검증을 통해 교사들이 실천적 문제 중심으로 수업을 설계하고자 할 때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체계적인 템플릿이라고 평가하였다.

초등 교원 원격연수의 인식도 분석을 통해 본 웹기반 문제중심 수행평가 운영 모형개발 (Web-based PBL Performance Assessment Management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stance Teacher Training)

  • 권형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549-560
    • /
    • 2005
  • 웹기반 원격연수는 연수자가 교육현장에서 문제해결학습을 통해 주도적으로 문제해결을 수행하도록 구체적이며 실천적인 가능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수행평가는 교육목표가 실제상황에서 달성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교육문제 해결의 실천적 수행학습을 통해 평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교원의 원격연수에 대한 인식도 평가결과인 수행평가의 공정성 및 객관성 문제와 원격 연수의 효율적인 평가방법을 반영하고 수행평가결과 처리에 대한 교수자의 과중한 업무 부담을 해소하고 문제수행능력을 신장하는 원격연수 수행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문제중심의 학습 상황 제공, 그리고 개인 및 그룹별 상호작용 생성과 웹 기반 협동평가 및 동료평가를 통한 문제중심 수행평가를 제공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

WBI 수준별 수업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 방안 (Improving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individualized WBI)

  • 전영주;강용구;송해성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4호
    • /
    • pp.117-13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the subject of English, which has been led by some mannerism, and to improve the students' basic scholastic ability and self-controlled problem solving, through adopting an individualized Web Based Instruction(WBI) as a concrete and practical learning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is, an individualized Web Based Instruction(WBI) homepage has been developed to be applied experimentally to the field of middle school education for 8 months, and a research has been made on its effects on the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English. Two groups which showed almost the same interest were selected as a controlled group and an experimental one. Individualized Web Based Instruction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trolled group was not instructed according to student ability. The controlled group was taught using CD added with the textbook. As a result of T-test,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in communicative competence than those in the controlled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