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son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5초

교도소도서관의 교화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habilitative Education in Prison Library)

  • 홍명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99-221
    • /
    • 2003
  • ‘범죄로부터 안전한 사회’에 대한 요구가 매우 커지고 있는 현 사회에서, 수형자를 격리수용하고 교화 교육하여 사회에 복귀시키는 기능을 하는 교도소가 교화교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교도소도서관의 활용에 관하여 연구한 논문이다. 교도소의 기본목적이 수형자의 교화교육이므로, 이러한 목적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교도소도서관 설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교도소도서관에서 이루어져야 할 교화교육내용을 문자해독 교육, 개방교육, 독자적 학습, 고등교육 등으로 나누고, 이와 같은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서관이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해 설명하였다.

"로고스" 성경 연구: 21세기 효과적인 종교교육 모형의 구축 (The "Logos" Bible Study: An Experience of Building a Model of Effective Religious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 찰스 아트킨스 주니어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5권
    • /
    • pp.215-241
    • /
    • 2021
  • 교정선교의 새로운 모형은 미국의 대중적인 투옥의 시기에 중요한 것이다. 교정선교의 잠재적인 형태는 수형자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뉴저지의 교정선교에 집중하는데, 전통적인 교정선교에 참여하는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이 수형자들의 마음을 적극적으로 개방하고 공동체의 변형을 위해서 개인의 회심을 초월하는 종교교육의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여리고 선교의 명칭을 지닌 새로운 복음주의 집단의 사례를 제시한다. 교정 선교는 결과적으로 동정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정의의 실천이며 실현인 것이다.

Challenges of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Resources by Prison Inmates

  • Emasealu, Helen Uzoez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37-48
    • /
    • 2018
  • Prisons are mostly filled with social deviants and like other correctional institutions, deserve organized information (provision) centers such as library. A study on library resource needs and accessibility by prison inmates was conducted at Kuje prison, Abuja and Kaduna prison, Kaduna, Nigeria, both of which have functional libraries. A sample of 898 inmates was randomly selected from all the convicted inmates in the two prisons. A total of 106 inmates were selected from Kuje prison and 792 from Kaduna prison. A well-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the inmates. All the 898 inmates responded. A total of 786 (87.9%) males and 112 (12.4%) females were involved in the study. With regards to the educational level attained by the inmates, 347 (38.6%) had Junior Secondary School Certificate while 323 (30.0%) had Senior School Certificate both accounting for 74.6% of the sampled population. In areas of information needs, 94.5%, 96.1%, 98.7%, 99.4%, 100%, and 100%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information on current affairs, survival and coping, educational support, legal aid, skill acquisition, and health, respectively were highly needed by the inmates. Out of the 12 information resources listed, only newspaper, novel, handbook and manual, and bulletin were readily accessible with percentage accessibility of 60.7, 7.8, 6.8, and 1.9, respectively. One major reason adduced by the respondents for limited access to information resources was the very strict rules and regulations in the prison. Providing more library resources and granting the inmates more access to the library would assist in character reformation and rehabilitation of the inmates.

조선시대 지방 옥(獄) 구조에 관한 고찰 - 발굴 유적과 고지도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e of a Local Prison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comparison of excavation sites and antique maps)

  • 이은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246-259
    • /
    • 2021
  • 조선시대 지방 읍성에 대한 연구는 다방면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으나, 그 내부 관청 건물의 하나인 옥(獄)에 대해서는 고고학적인 연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죄인들이 머무는 옥사의 배치나 구조, 옥리(관헌)들이 사무를 보거나 숙직 근무를 서는 집무소, 탈출을 방지하는 담장의 구조 등에 대해서는 1997년 경주에서 옥이 처음 발굴된 이후 연구의 필요성이 계속 제기되어 왔으나 비교 대상이 없어 답보 상태였다. 그러나 그 후 발굴된 연일옥 자료와 공주옥 등의 사진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조선 전기부터 말기까지 축조된 옥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세종은 전국의 죄수들을 잘 관리하도록 1426년 표준적인 설계도인 안옥도(犴獄圖)를 배포하였고, 동·하절기 처우 개선 등을 위해 1439년 한 차례 수정하기도 하였다. 1421년부터 1743년까지 운영된 연일옥은 조선 전기부터 중기까지의 옥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데, 조선 후기까지 운영된 경주옥과 비교할 때 원형 담장, 동서 옥사의 배치와 구조 등 그 형식이 매우 유사하며 규모만 작을 뿐이다. 이러한 구조는 조선 말기 사진으로 남아 있는 공주옥까지 계속 그 형식이 유지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조선시대 옥은 타원형의 담장과 남녀를 구분하여 수용하는 건물이 나누어져 있었고, 담장의 높이는 약 3m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옥사는 동쪽이 남자, 서쪽이 여자 옥사로 구분되며 지붕으로 탈출이 어려운 기와집 구조였다. 원형 담장 앞에는 옥리(押牢)들이 근무하는 초가 지붕의 집무소가 있었는데, 2중의 옥문을 통해야만 옥의 출입이 가능하였다. 조선시대 왕들은 인본주의 유교 사상을 구현하고자 미결수들이 머무는 옥의 환경을 개선하고 남녀를 구분하여 수감토록 한 것이 건축물의 배치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용자의 기본권 보장을 위한 교정기관 도서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son Library for the Protection of Prisoner's and Pre-trial Prisoners' Rights)

  • 홍명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1-63
    • /
    • 2004
  • 수용자가 지니는 기본권 중에서 도서관을 설치$\cdot$운영함으로써 그들의 권리 보호에 커다란 영향을 줄 수 있는 기본권 영역 즉 알권리와 정보 접근권, 형사피고인과 형사피의자의 권리, 교육을 받을 권리 등을 중심으로 이들 기본권의 내용에 대해 법령과 판례를 근거로 분석하고, 기본권 보장을 위해 도서관을 설치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제도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Space and Power :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scourses of Prison

  • Kwon, Young;Lee, Kyung Hoo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9-25
    • /
    • 2007
  • The changes of prison facilities in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Industrial Revolution, implies viewpoints architectural space as a representation of power.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istic approach based on two authors of Michel Foucault and Robin Evans. Both texts are summarized and analyzed to make comparison. While Foucault concentrates upon the ideas relating to punishment which preceded and led to the prison being adopted, Evans regards the reality of punishment as it was executed in its architectural context. The study compares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xts; the approach that each author takes with regard to the central issue of the history of penality. These two different interpretations dictate the framework of each discourse and has resulted a number of different notions of ideas. By comparing divergence and convergence of the texts, the study analyzes each author's methodology, theoretical position and notions of prison. Keywords are also extracted to articulate the study and each author's arguments as well.

감옥 모티프를 통한 도덕적 성숙 (The moral growth through prison motif)

  • 정영섭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1호
    • /
    • pp.205-225
    • /
    • 2003
  • This study attempts to survey the moral growth through prison motif. Malamud deals with the theme of suffering deeply. To learn love accompanied by suffering is the way to be moral and therefore suffering becomes Malamud's main concern. The hardship from suffering and love by trial leads Frank and Yakov to guest of selves. Through this their erotic impulses are changed into caritas. Malamud portrays Frank as a schlemiel. Like Malamud's other heroes he is also born to suffering, conditioned by it, and ultimately finds the meaning of his life in learning to deal with it. At last he carries the burden of supporting Helen and Ida. As a result, Frank becomes a social failure but a moral success as traditional American Adam. The prison motif is a rather strong function of setting symbolism in The Fixer. Yakov is imprisoned for a heinous crime that he did not commit. Yakov experiences hard physical and spiritual pains in prison for two and half years. His bitter suffering has matured him, changed him into a man with love, sacrifice and responsibility for others. At last he returns a true Jew and good man with perfect spirit.

  • PDF

수용자에 대한 법률정보봉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gal Information Services for Prisoners)

  • 홍명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99-528
    • /
    • 2007
  • 본고는 교도소에 수감된 수용자의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교도소도서관의 설치와 수용자에 대한 법률정보봉사를 제시하고,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미국의 제도를 살펴보았다. 법률정보봉사가 정착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해 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하여 시대 구분하여 분석하고, 법률정보봉사를 하기 위한 기본 여건으로서 법률장서, 인적요소, 공간과 시설 및 이용시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문익환 옥중서신의 특성과 활용 (The Characteristics and Use of Moon Ik-Hwan's Prison Letters)

  • 오명진
    • 기록학연구
    • /
    • 제66호
    • /
    • pp.317-355
    • /
    • 2020
  • 문익환 옥중서신은 사단법인 통일의 집에서 관리하고 있는 근현대 한국의 단면을 품고 있는 귀중한 사료이다. 이 편지들은 약 10년 3개월 동안 작성된 것으로 현재 약 800여통이 남겨져 있으며 장기적인 보존과 활용을 위한 방안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 글에서는 그간 단편적으로 전해졌던 옥중서신의 현황을 소개하고 옥중서신이 갖는 기록관리대상으로서의 특징을 분석하여 그에 근거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향과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옥중서신의 생산배경으로서 개인의 삶과 감옥 생활의 맥락을 분석하였으며 옥중서신만이 갖는 고유한 특성을 범위와 규모, 서신의 수신자, 재생산과 유통과정 그리고, 봉함엽서라는 작성 매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민간 아카이브에서 활용의 의미를 제고하고 개인 기록의 대표적 유형 중 하나인 편지의 특성에 기반한 온라인 활용의 과제와 전략의 사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태평양전쟁 말기의 수인(囚人) 동원 연구(1943~1945) -형무소 보국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bilization of Prisoners in the Late Wartime Period (1943~1945) -with a focus on the National Protection Corps of Prisoners-)

  • 이종민
    • 한일민족문제연구
    • /
    • 제33호
    • /
    • pp.67-111
    • /
    • 2017
  • This article aims to shed light on the wartime labor mobilization of prisoners on a large scale in/across colonial Korea and beyond during the late wartime period. More specifically, this article reveals the logic and mode of mobilization, and sorts out nationwide mobilization cases in colonial Korea. To this end, this article draws on documents and magazines published by the criminal administr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well as the memoirs of prisoners and prison staff including prison administrators and prison chaplains. With the onset of the wartime system, the labor work in prisons centered on the production of military supplies. In 1943, the labor mobilization began to organize the National Protection Corps and dispatch them to remote workplaces. For example, at the requests of the military, prisoners were selected and sent to Hainan Island, while others were sent to military factories and mining field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The authorities specified and adjusted the criteria for imprisonment based on education, physical strength, and other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s. Unconverted ideological offenders were excluded from the mobilization, and instead put under separate control. In preparation for mobilization, the prisoners trained in military drills, receive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underwent assimilation as imperial subjects through the preaching in prison. In order to induce prisoners to volunteer, a legislation system based on the shortening of the prison terms, including the parole system, was also promoted under the wartime system. As a result, prisoners were forced to work harder and faster even under the lowest of wages, poor food and poor housing conditions, and they also filled vacancies in managerial positions by serving as supervisory assistants. The reward system for them, however, did not function properly towards the end of the war, and the number of escapes and infectious outbreaks, as well as mortality rates rapidly increased under the harsh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