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te Education Expenses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1초

보육비 지원대상 확대에 따른 소득계층별 유아 보육비 및 사교육비 변화: 무상보육정책 시행을 중심으로 (Changes in Preschool Childcare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of Different Income Groups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Childcare Subsidy Recipients: A Focus on Universal Childcare Policy)

  • 정수지;박윤현;송지나;김대웅;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7-42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childcare expenses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caused by target expanding the childcare subsidy policy and its relationship to household income. Methods: The study analyzed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from 2009, before the universal childcare policy was enforced, to 2013, when the universal childcare policy was enforced.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while childcare expenses,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their ratios to household income showed a tendency of gradual decline, the graphs of childcare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were symmetric.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childcare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among income classes. Third, in 2009, before the universal childcare policy was enforced, household income affected childcare and private expenses. Lastly, in 2013, after the universal childcare policy was implemented, household income had a greater effect 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while the effect of household income on childcare expenses became insignificant.

The Impact Analysis of Household Variables Factors on the Spending for Preschool Children's Private Education

  • Lee, Ae Bon;Park, Bo 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85-92
    • /
    • 2022
  • In previous private education expenses were concentrated only on expense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preschool children's private education expenses. To solve this problem, we analyze the 2013 and 2020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to confirm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of pre-school children. Also, we examine the differences and changes i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according to household variables. We selected the household variable as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of the study subject. We defined the household variable as the area and income of the household. We show the actual results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household variables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of SPSS 27.

일반계 고등학생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베이지안 분위회귀모형 분석 (Bayesian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high scool students in Korea)

  • 오현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6호
    • /
    • pp.1457-1469
    • /
    • 2017
  • 일반계 고등학생의 사교육비 지출은 대학입시와 맞물려 최근 더욱 증가하고 있는 동시에 가구소득 수준, 지역 등에 따라 양극화되고 있다. 기존의 사교육비 연구는 주로 다중회귀모형을 토대로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였으나 자료가 최소자승법의 기본가정인 정규성과 등분산성을 만족하지 않으면 분석결과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된다. 본 연구는 2015년도 사교육실태조사자료에 대하여 정규성과 등분산성이 성립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베이지안 분위회귀모형을 적합한 후 깁스 샘플링 방법을 이용하여 사교육비 지출규모 수준 (분위수)에 따라 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의 성별, 부모의 나이, 방과후 학교 참여시간과 비용은 사교육비 지출규모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가구소득은 사교육비 지출규모의 모든 수준에서 동일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그 외, 거주지역, 총사교육시간, 학생의 성적, 부모의 교육정도, 가구의 경제활동주체, 방과후 학교 참여여부, EBS 교재비용은 사교육비 지출 규모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주었다.

시스템사고를 통한 사교육비경감정책 평가: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Policy for Reduction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based on Systems Thinking: Focusing on Roh and Lee Governments)

  • 백우정;최종덕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2권4호
    • /
    • pp.5-3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policies for reducing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n Roh Mu Hyun and Lee Myeong Bak Government using Causal Loop analysis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perspectiv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 educational achievers receive more private tutoring than lowers and children who have rich parents have better chance to take private tutoring than the others. It reflects the social characteristics which emphasize the academic ability and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two governments implemented educational policies to control the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as balancing loops ; strengthening public education, providing after school programs and EBS KSAT teaching and improving the entrance exam of university. Third, they overlooked the unintended feedback loops coming from 1) incongruity between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shadow education 2) wrong perception of substitution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education and shadow education 3) side effect of the policy increasing the weight of student record 4) problems of diversifying high schools 5) dilemma of easing the burden of testing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conclusion is that policies of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have failed because two governments don't consider unintended Feedback Loops in the process of making education policies. So we have to make policies based on Systems Thinking and reducing private education expenses should not be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public education.

  • PDF

초·중·고생의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in Korea)

  • 오만숙;김진희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1호
    • /
    • pp.193-206
    • /
    • 2011
  • 자녀의 사교육비 지출은 정치, 경제, 사회 등 국민 생활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그 부작용이 심각하여 한국사회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청에서 수집한 2008년도 사교육비 실태조사 자료 중 일반사교육비 지출과 방과후 프로그램 참가비의 두변수에 대하여 지역, 초 중 고 등 학교급 구분, 가구소득, 학생 성적, 별, 사교육 참가시간 등의 인구동태적 변수들의 영향을 알아보는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 하였다. 분석결과 일반 사교육비 지출과 방과후 프로그램 참가비에 뚜렷한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지역과 학교급구분이고 나머지 변수들은 의미있는 영향력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일반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지역의 영향을 보면, 서울지역>광역시, 중소도시>읍면지역 순으로 지출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방과후 참가비에 대한 지역의 영향을 보면 서울지역, 광역시, 중소도시>읍면지역 의 순으로 지출이 많았는데 서울과 기타도시의 차이가 없다는 것이 일반 사교육비의 경우와 다른 특징이다. 학교급 구분에서는 일반사교육비의 경우 일반계 고교생에 대한 지출이 초 중생이나 전문계 고교생에 비하여 약 17% 지출이 더 많았다. 이는 대학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와 사교육 시장이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방과후 학교 참가비의 경우 일반계고, 초등학교> 전문계고> 중학교 의 순서이다. 초등학생은 사교육비의 부담을 덜기 위해서, 그리고 일반계 고등학생의 경우는 방과후 학교에서 내신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때문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학령기 어머니의 가계소득, 교육소비욕구 및 사교육비와 경제적 노후준비행동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Old-Age Economic Preparation Behaviors in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 이나영;장윤옥;정서린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1호
    • /
    • pp.159-18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old-age economic preparation behaviors in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prised 393 mothers living with children aged 8.19 in Daegu. All participants had wage-earning husband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and structur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old-age economic preparation behaviors were influenced by their household income, the proportio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hey paid, and the perceived burden the participants had of thes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he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in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portio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paid by the participants. Household income, proportio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and perceived burden of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had a direct effect on the old-age economic preparation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When the perceived burden of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was mediated, the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in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ir old-age economic preparation behaviors.

초등학생의 수학 교과 사교육비에 대한 추이적 분석 (Progressive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Mathematics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소민;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43-259
    • /
    • 2021
  • 본 논문은 사교육 현상이 열풍을 넘어 교육 체계의 한 유형으로 인식되는 사교육 고착화시기에 2007년부터 2019년까지 초등학교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교 급별, 지역별, 교과별, 유형별의 각 요인에 대한 사교육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초등학교 수학 교과 사교육의 요인 간 추세를 살펴보고, 나아가 학교 수학교육이 교육 수요자의 기대치를 충족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학 교과의 사교육비는 기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어느정도 일관되게 선형의 완만한 증가 형태의 추세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의 사교육비는 다른 여타 교과와 비교해서 외부 변인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공고한 추세를 보였고, 학교 급별, 지역별, 유형별 추세에서도 일관된 변화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나라 지역별 자녀 양육환경과 출산율에 관한 실증분석 (Childcare Facilities,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Birth Rate: Evidence from Korean Regional Data)

  • 성낙일;박선권
    • 한국인구학
    • /
    • 제35권2호
    • /
    • pp.73-101
    • /
    • 2012
  • 저출산 현상은 우리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사회문제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2009년 기준 우리나라 232개 시/군/구에 대한 횡단면 자료를 사용해 보육시설과 사교육비와 관련된 두가지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본 연구는 각 지역별 보육시설/사교육시설의 사업체 수 또는 종사자 수가 해당지역의 출산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두 번째로, 보육시설의 규모를 보육시설의 품질 또는 신뢰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설정하고 보육시설의 규모가 출산율에 미친 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해당 지역의 사업체 당 종사자 수 평균값과 전체 보육시설 중 종사자 수가 10인 미만인 사업체가 점하는 비율로 보육시설의 규모를 측정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사업체 수나 종사자 수로 측정한 보육시설의 양적 규모는 출산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사교육시설로 측정한 사교육비 규모는 출산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보육시설의 질적 측면, 즉 신뢰할 수 있는 보육시설의 존재가 출산율의 제고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출산율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과 관련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학령기 어머니의 가계소득, 교육소비욕구 및 사교육비와 노후준비금 지출 간의 관계 (Relationship of Income, Education Needs, Private Education Expenses on Preparations for Old Age by Mothers of School-aged Children)

  • 장윤옥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3호
    • /
    • pp.135-15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household income, education needs,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expenditures of preparation for old age for mothers of school-aged children and to discover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among 393 mothers living in Daegu with school-aged children from 8 to 19 years old and with wage-earner husbands. The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s which address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ousehold income, the scale of education needs, the scale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he scale of perceived burden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scale of expenditures of preparation for old age. In order to analyze the study data,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ere used, and structural path analysis using AMOS was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greater the household income, the greater the education needs. Second,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need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s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hird, education needs an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Fourth, expenditures of preparation for old age among mothers of school-aged children was influenced by the education needs,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and perceived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he household income of mothers of school-aged childre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Finally, education needs,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and perceived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for mothers of school-aged children had a direct effect on the expenditures of preparations for old age. On the other hand, in mediating education needs, household income of these mothers had an indirect effect on expenditures of preparations for old age. The perceived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urned out to have the biggest total effect on the preparations for old age of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유아 사교육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f Private Learning Expenses of Young Children and its Determining Factors)

  • 서문희;양미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9-20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만3~5세 유아의 사교육비 실태와 사교육 지출을 결정하는 요인을 알아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아동 연령 및 이용 기관유형, 모 취업여부, 가구소득에 따른 사교육 실시 여부와 사교육비를 살펴보고, 사교육비 지출을 결정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125개 조사구에 거주하는 976가구의 자녀 만 3~5세 유아 1,6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2$검증, F검증, Duncan 사후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3~5세 유아 중 86.7%가 사교육을 받고 있고, 연령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유치원을 이용하는 아동이 사교육을 많이 받았다. 사교육비는 평균 129,700원으로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아동 연령이 높을수록, 어머니가 미취업일수록, 출생순위가 높을수록 유아에게 지출되는 사교육비 규모가 유의미하게 커졌다. 사교육은 아동의 발달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부모의 경제적인 부담은 물론 저출산 문제를 심화시키므로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